•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ansition Support Program for Students and Families on Self-determin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Family Empowerment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장애와 고용

2019, vol.29, no.2, pp.135~162(27 pages)

UCI : http://uci.or.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장애와 고용

홍주희

(이화여자대학교);이숙향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환기의 발달장애 학생과 가족이 성공적인 전환을 이루기 위해 각각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Track 1 학생프로그램; Track 2 가족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과 그들의 가족(주양육자 1인) 20쌍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쌍씩 배치한 후, 실험집단에 한하여 학생 프로그램과 가족 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참여가 학생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생이 자신의 자기결정력을 평정한 결과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족의 관점에서 측정한 결과에서는 학생의 자기결정력이 프로그램 참여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이후 두 집단 간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 자녀를 둔 가족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가족역량강화 수준이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환을 준비하는 발달장애 고등학생과 그들 가족의 효과적인 전환준비 과정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Purpos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ransition support program for students and families (Track 1 student program; Track 2 family program), which consisted of the contents required for successfu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wenty pai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udents and their families (one primary caregiver) who enrolled in a special class of high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 pai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o assess the effect of program participation on students and families, the pre-post 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stud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s measured by the family's perspective,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students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program. Thir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family empowermen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direction for the effective transition preparation proces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