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우리사회에서 중요한 정책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취업취약계층 대상 고용창출정책과 관련된 제기되는 문제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초점은 사회서비스부문에서의 고용창출 및 자활프로그램(한국형 근로연계복지정책)에 맞추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정책들이 주로 실직빈곤층, 취업취약계층 그리고 장애인이나 장기실업자와 같은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추진되어 왔기 때문이다.
우리사회에서 실업문제 및 노동시장정책을 둘러싼 논의에서‘탈빈곤’이라는 용어가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된 지 어언 1 0년이 지났다. 이 탈빈곤 정책은 실직빈곤층을 위한 노동시장정책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추진하던 고용정책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노동을 통한 사회통합’전략은 성과가 낮다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는‘일자리 기근’또는‘미취업빈곤층의 낮은 취업능력’에 기인하는 것일지 모른다.
기존의 고용전략은 공급측면을 강조함으로써‘탈빈곤’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그 결과는 반대로 저임금근로자의 증가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처럼 고용없는 성장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는 <취업취약계층>을 위한 고용창출전략과 관련해서 공급측면의 접근보다 수요측면의 접근을 강조해야 했던 것이다.
이 글은 고용창출정책, 특히 사회서비스부문 고용창출정책에 있어 수요측면의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한국의 근로연계복지나 탈빈곤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취약계층을 인구학적 기준과 취업능력에 따라 다양한 하위집단으로 유형화하고, 노동공급(취업취약계층의 일자리 욕구)을 노동수요와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글은 고용연계프로그램 설계에 있어 엄격한 지원대상선정과 고용창출정책에 있어 수요측면의 접근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an issue arising from the job creation policies for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 in Korea. The specific focus is on policies relating to the job creation in social service sector and the Jahwal program(korean workfare policy), because these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mainly for the unemployed poor, the hard to employ, and the marginal groups like the disabled and the long-term unemployed.
It is over 10 years since 'anti-poverty’emerged as a central concept in debates surrounding unemployment and labour markets in our country. Especially, playing a crucial role in informing labour market policy, this anti-poverty program has been deployed to describe the objectives of the employment strategies promo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owever the strategy “social integration through work”has been faced with the problem of “low outcome”, perhaps because of ‘job penury’and ‘low employability of jobless poor’.
The existing employment strategy emphasizing the supply-side approach was difficul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social intergration through work’. On the contrary the result was an increase in low wage workers. Faced with the problem of ‘jobless growth’, the government should emphasize the demand-side approach in relation to job creation strategy for rather than the supply-side approach.
This study highlight the demand side approach on job creation policies, especially in social service sector. In the effective policies for the workfare policies or anti-poverty policies, it is important to classify the vulnerable group into divers subgroup by the demographic criteria and employability, and to match the labor supply(the hard to employ) to the labor demand. In this sense, this study propose the rigid targeting in job match program design and the demand side approach in job creation polic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15-146
* DOI :
* UCI : G704-001872.2006.16.1.006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여성지체장애인의 구직 및 직업유지 과정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긍정적, 부정적 경험들을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8명의 여성지체장애인과 심층면접을 한 결과 6개의 주제묶음과 18개의 소주제들이 나타났다.
여성장애인들이 구직하게 되는 데에는 다양한 동기가 존재했다.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립이나 사회참여욕구, 정신건강욕구도 구직 이유로 작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을 시도할 당시에는 일을 하고 싶거나,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시도하나 장애편견이나 여러 가지 물리적, 환경적, 제도적 제약으로 인한 차별과 어려움에 부딪혔다. 직장을 구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여러 번의 시도를 해야 했고, 열악한 조건이나 어려움을 감수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게 구직을 포기하지 않고 시도하게 하는 이유로는 참여자들의 성취욕구와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성격, 가족의 지원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을 유지하기 위해 참여자들은 의식적으로 노력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어려움을 견뎌내었다.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직업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일에 대한 보상을 통해 만족감을 얻고 독립적 생활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가족의 다방면의 지원과, 직장 동료들을 통한 동기부여, 경험과 성취에서 오는 자신감이 일을 중단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이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장애인들의 구직과 직업유지 및 발전에 있어서의 제한점과 한계는 낮은 교육수준, 건강의 문제, 물리적, 제도적, 인식적 제약, 여성역할 부담과 여성성에 대한 이중적 태도라는 소주제들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여성장애인의 구직과 직업유지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is phenomenological study aims at exploring the experience of job searching and job maintaining process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8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6 theme clusters and 18 sub-themes have
appeared.
The participants have started job searching under various reasons, although economic needs was the foremost for most of the participants. During this process, they tried hard in enthusiasm but have had to confront a lot of physical,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barriers. However, all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at last succeeded in job finding. The reason for this result seemed to come from their active personality and positive thinking
and the continuous support and help of their family. In order to maintain their job, the participants have worked very hard and put up with many difficult situations. This has resulted from the help of their family and peer support as well as the participants'
confidence which is acquired from their job-related achievement and various experiences. Although most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eir positive experiences regarding job activities, there remains some limitations and barriers in their job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 have made a number of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support the job searching and maintaining activities of the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67-92
* DOI :
* UCI : G704-001872.2006.16.1.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장애인의 고용상태와 비장애인의 고용 상태를 비교하였다. 또한, 장애인들 내에서 장애의 종류·수·발생시기에 의하여 서로 다른 소집단들의 고용 상태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의 '2000년도 장애인실태조사'와 미국에서 1999년에 실시된 '1996 SIPP(Survey of Income and Program Participation, 소득및 프로그램참여 조사)'를 이용하여 자료의 이차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목적은 국제 수준에서 고용 상태에 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의 고용 상태에 있어서 한국과 미국 사이에는 차이점 이외에도 유사점이 있었다. 두 나라의 장애인, 특히 정신지체인 또는 정신장애인은 각각 비장애인과 지체장애인보다 고용 면에서 훨씬 뒤처져 있었다.
This study compared the employment status of adul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lso, the study compared the employment status of different sub-groups within a larger disability group by types, number, and onsets of disabilities. Secondary analyses of data were conducted utilizing the 2000 National Disability Survey for Korea and the 1996 Survey of Income and Program Participation (conducted in 1999) for the U.S. The intent was to provid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employment status on an international leve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esides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S. in the employment statu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study. In both countries, adults with disabilities, more particularly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or mental disorder, were far behind their counterparts - adults without
disabilities and adults with physical impairment, respectively - in terms of employmen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45-66
* DOI :
* UCI : G704-001872.2006.16.1.00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전국적인 청각장애인의 직업적 차별실태를 고용차별과 직장내 차별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장애관련 특성, 취업특성 등의 측면에서 파악해보고 각 특성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한 연구로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인의 고용차별에 있어서는 중소도시 지역일수록 차별의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장애특성 가운데에서는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언어에 있어서는 수화만 사용하는 장애인보다 구화나 필담 등 다양한 의사소통방법을 활용하는 장애인이 차별을 더 인지하는 경향이 있다. 청각장애인의 직장내 차별에 있어서는 중소도시 지역과 가구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장애특성에 따라서는 수화만 사용하는 장애인이 구화나 다른 의사소통방법을 사용하는 장애인보다 직장내 차별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직업적 차별을 해소,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고용 및 직업유지를 위한 수화통역 배치와 거시적 측면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제정, 그리고 수화통역센터를 활용한 인권전담기구와 인권교육의 확대 등이 필요하며, 청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화언어의 보급에도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with hearing impaired people, and als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decreasing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among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discrimination with hearing impairment are region,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etc. Second, discrimination in the working places were affected by region,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verage wag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to solve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it is needed to preventive services and programs against discrimination in the working place. And companies must put efforts on making good working environments for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Second, to decrease employment discrimin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enact make a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hird, the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y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public and social education for increasing awareness level forwar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93-114
* DOI :
* UCI : G704-001872.2006.16.1.003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인의무고용제도를 뒷받침하는 가장 중요한 제도 중의 하나인 장애인 고용 부담금의 성격을 짚어보고 그 속에서 어떤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장애인고용 부담금은 행정의무이행확보수단으로서의 성격과 유도적, 조정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사업주들의 장애인 고용 의무를 이행시킴과 동시에 장애인 고용사업주와 미고용사업주간의 형평성을 도모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부담금 제도 운용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부담금의 역할이 모호하다. 즉, 부담금이 장애인 고용을 촉진하는 제도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부담금의 부담기초액 산정 방법이 비합리적이다. 부담금 산정 원칙을 장애인 고용사업주와 미고용사업주간의 고용 손실비용 보전에 두고 있으면서 실제, 부담 기초액은 장애인 고용에 따른 특별비용과는 별개로 산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부담금 용도의 불명확성이다. 부담금의 납부 근거는 장애인 고용사업주에 대한 비용 보전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용도는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기금에 편입시켜 지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고용 장려금의 지급기준이 부담 기초액 산정과 연동되고 생산성 손실에 대한 고려를 통해 지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부담금제도가 안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부담금에 대한 명확한 성격 규명과 그 성격에 합당한 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one of the most important system supporting the employment quota system for the disabled, the employment levy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employment levy system.
The employment levy system functions as a method to acquire administrative performance, inducement, and mediation. In other words, the levy system influences employers to employ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controlling economic burden between those employers hiring and not hiring the disabled.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implementing the system. First, the effects of the levy is ambiguous. The purpose of the levy system is to enhanc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However, the actual effects are minimal. Second, the method of deriving the initial burden amount is unclear. The principle for deriving the initial burden amount is based on the need to preserve the employment cost generated by the employers that hire the disabled. Third, the implementation of the levy system is unclear. Even though the purpose of the levy system is to preserve the costs of employing the disabled, in reality the levy is incorporated into the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und. Finally, the basis for providing employment incentives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loss of productivity. This should be linked with the initial burden amount. The principle of the employment levy system - derivation, process, and implementation - should be reexamined to resol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5-21
* DOI :
* UCI : G704-001872.2006.16.1.002
서지정보 닫기
-
한국사회는 세계 유래 없이 빠른 고령화를 경험하면서, 최근 고령화를 동반한 노인 관련 여러 이슈들-노인부양, 소득보장, 의료보장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무엇보다 노후의 독립적인 생활을 지지하면서, 심리적 자립, 사회적 지위확보를 위해 취업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지원하려는 정책방향이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처음 맞이하는 장수의 시대, 고령화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노인과 관련한 문제 해결에 집중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 반면, 정작 더욱 보호를 필요로 하는 집단에 대한 관심이 배제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인구의 고령화란 장애인의 고령화를 포함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일을 통한 복지’라는 정책기조 속에서 대표적인 근로빈곤층이라 할 수 있는 장애인 중 연령으로 인해 이중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고령 장애인을 중심으로 고용정책의 측면에서 중복소외에 대해 논의하고,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으로서 특수한 욕구를 해결해야 하면서, 동시에 장애를 경험하는 고령 장애인의 "중복 소외(double disadvantage)"에 대한 문제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It is expected that over the coming years the pace of change along with the growth of
older people in Korea will accelerate. However, for the most part it fails particularly to be
appreciative of the diverse and indigenous processes of transformation taking place and
their enormous impact on the lives of elderly people. In order to fulfil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 growing numbers of elderly people in Korea and to overcom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later life, such as, ill-health, poverty and isolation, it is vital to
construct effective and inclusive social systems for the elderly. Over the last couple of decades Korea has experienced a strengthening of the notion of ‘roductive welfare’in the context of the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the changing domestic situation. ‘Productive welfare’aims to enable people to help themselves rather than just giving benefits to especially poor people to maintain a basic existence. Similar policies have been adopted by western governments, namely ‘the third way’, ‘workfare’ or ‘welfare to work’(Jessop, 1994; Giddens, 1998; Kim 2003). Along with this recognition, greater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employment policy concerning and promoting independence for elderly people. However, it can hardly escape notice that because this form of welfare is related to work it consequently excludes the vulnerable social classes who have difficulties in getting work opportunities such as elderly people. It is furthermore acknowledged that elderly people who are disabled can be more stressed with work related policy in ageing society of Korea. However, great influenced by ageing society of Korea, their double-stress has seen ignored in public policy. The main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highlight the need for urgent concern of this phenomena and the reconsideration of ageing as a new concern in the context of these various changes. This paper will develop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and dynamics of the ageing population in Korea through a description of the demographic,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 of this population. It will go on to explore the patterns and forms of employment policy in Korea and focus on the elderly and disabled people concerning their stressful reason in ageing society. The analysis will draw on secondary data to address the circumstances of older people especially who are disabl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22-44
* DOI :
* UCI : G704-001872.2006.16.1.00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국민기초수급대상 여성장애인 중 자활대상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노동시장 진입 실태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여성장애인 노동시장 진입 실태 관련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보충적으로 질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국민기초 수급 여성장애인들의 경우 거주지역, 장애유형, 자활의지가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드러났다.
질적 분석을 통해‘노동시장 진입 장벽’, ‘노동시장 진입 경로 상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사회 관계적 특성과 제도적 요인이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던 한계를 지적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민기초 수급 여성장애인의 탈 빈곤을 위해서는 노동시장 진입 수준을 높이기 위한 특화된 서비스 및 제도적인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conditional welfare women recipients with disability who are under the double torture of poverty and handicap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entry into the labor marke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entry into the labor market such as residential district, the attribution to disability,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Secon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e found the barrier and problem of entry process into labor market. We pointed the limitation of social support system and institutional system.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5-26
* DOI :
* UCI : G704-001872.2006.16.2.001
서지정보 닫기
-
면접형태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채용관리 및 면접형태 연구의 전반적 수준은 일반노동시장과 비교할 때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채용형태 및 면접경험에 대한 새로운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기업의 채용 형태 및 면접전형 과정, 장애인 구직자들의 면접 경험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채용방법, 채용절차, 선발도구 및 면접형태를 분석하여 장애인력 채용형태를 규명하고, 면접경험 분석을 통해 면접 준비행동 및 면접형태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단의 정책고객시스템(PCRM : Policy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에등록된 장애인을 채용하였거나 채용의사가 있는 기업체 인사담당자들과 구직을 희망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2.0을 이용하였으며 채용형태 및 면접관련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본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채용·면접 형태 분석 결과 면접시험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었다. 장애인 신규채용시장에서도 전통적인 선발기법에서 벗어나 면접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 채용 면접 시 주된 평가는 능력적인 요소보다 인성적인 요소가 강조되고 있다. 성실성과 장애정도, 긍정적인 가치관과 적극성을 장애인 채용면접 시 주된 평가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셋째, 채용 면접 시 시각적 요소가 언어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에 비해 더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넷째, 채용 면접 시 장애인이 가장 부족한 부분은 장애로 인한 능력의 부족이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연결된 자신감부족과 면접경험과 면접교육의 부재로 인한 면접스킬 부족이었다. 다섯째, 면접의 중요성이 다른 선발기법에 비해 선호도와 중요성이 점차 중시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장애인을 대상으로 면접 경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장애인을 채용하고 있거나 채용하고자 하는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접형태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job interviews, study on the types of interviewing and recruiting proces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lacking compared to those for the nondisabled. This study reflects the new tendency of the recruitment process and interviewing proc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various recruiting processes of companies, job interviewing process, and interview experiences of job-seekers with disabilities was the main point of foc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ous recruiting typ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recruiting methods, recruiting processes, recruitment tools and types of interviewing.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job interview preparations and types of job interviews by analyzing interview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 e-mail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job-seekers with disabilities and corporate human resource personnels who have recruited people with disabilities or who plan to recruit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are registered in the Policy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PCRM) database of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SPSS WIN12.0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and crossstabulation analysis and frequency study was carried out on questions regarding recruiting type and job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interview plays a decisive role in a corporate’s recruitment process. Therefore, people with disabilities need to prepare for job interviews, which their importance is growing compared to traditional recruiting methods. Second, the interviewee’s character is more important than their ability. Sincerity, severity of disability, positive attitude, and active personality ar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 of the interviewer. Third, appearan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interviewee’s speech and voice during the job interview process. Fourth, the main problem of job seekers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job interview was not their lack of ability but their lack of self confidence and interview skills. Finally, few studies are conducted on job interviews even though they have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recruiting proces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71-99
* DOI :
* UCI : G704-001872.2006.16.2.005
서지정보 닫기
-
장애인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보조공학기기의 제공이다. 보조공학기기의 제공은 감각, 지각, 인지, 운동능력 등을 전문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에 의해 선택, 적용, 훈련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인간공학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작업분석, 직무조정이 가능한 전문가에 의해 보조공학기기가 제공된다면 잔존기능의 향상 뿐 아니라 업무동안 바람직하지 못한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발병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공학기기의 이론적 배경과 인간공학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고, 적절한 보조도구를 제공한 장애 근로자에 대해 근골격계 질환 위험요인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한 자세보완이 장애 근로자의 작업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객관적으로 밝히는 평가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장애인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려면 다양한 전문가들의 팀 어프로치가 필요하며 체계적인 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수준을 높이기 위한 특화된 서비스 및 제도적인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One of the methods to improve functions of the disabled person is to supply assistive devices. It is important for the disabled person that the devices should be supplied by an expert, who is capable of evaluating their sensory, perception,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Moreover if the expert have knowledge about ergonomics, he or she will also prevent the musculo-skeletal disease which may be happen in work place. In this paper, we introduc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assistive devices and ergonomic approach, and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the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disabled worker who was equipped a proper assistive device, and presented objective experimental results that posture intervention by using assistive device can be useful to improve work function of the disabled worker.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27-48
* DOI :
* UCI : G704-001872.2006.16.2.004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장애인고용정책의 설명을 위해 Douglas와 Wildavsky의 문화이론을 도입하여 문화적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이는 사회적 가치와 신념 및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혼합하여 문화에 관한 체계적 유형론으로 정립된 문화이론은 장애인차별 및 고용문제와 같은 문화적 민감성이 높은 정책이슈들에 내재하는 가치 갈등의 문제를 설명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연구는 장애인고용정책의 문화론적 접근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토하고, 운명주의·계층주의·평등주의·개인주의의4가지 삶의 양식으로 구분되는 문화 유형에 따라 장애인고용의 정책논리와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의 장애인 고용과 정책에 대한 문화론적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를 통해 장애인고용문제는 운명주의와 계층주의적인 삶의 양식, 형식적 평등주의와 실질적 계층주의의 정책, 그리고 개인주의적 삶의 유형이 혼재하는 평등주의 지향의 장애인운동 속에서 가치갈등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토대로 장애인차별을 해소하고 평등과 사회통합을 실현하는 바람직한 장애인고용정책을 위해서는 직업재활과 개인적 서비스 공급에 한정되는 계층주의를 극복하고 적극적 고용정책을 처방하는 평등주의적 삶의 양식의 실질적 확립을 위한 문화변용자로서 역할 수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ocess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applying cultural theory developed by Douglas and Wildavsky. Cultural theory proposes four ways of life as culture types with the two dimensions of group and grid. Those four ways of life are hierarchy, fatalism, egalitarianism, and individualism. Using this analysing lens of cultural theory,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provide cultural interpretations on the disable's way of life, a way of life lied at the basis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and the way of life intended by the emerging disability movement. This research shows that issues of the disabled employment take a value conflict situation which it is mixed characteristics of fatalistic or hierarchic way of life in labor market and features of hierarchic or egalitarian way of life in area of pubic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aper concludes with a proposal for a cultural view of pubic policy as a catalytic agent for acculturation and asserts that the civic movement and public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focused in the intervention toward the egalitarian way of lif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49-70
* DOI :
* UCI : G704-001872.2006.16.2.003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노동권 보장을 위해 사업주의 편견이 실제 정신장애인의 고용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입직이후 정신장애인근로자가 다른 장애인들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별을 받는지 임금격차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신장애인과 다른 장애유형 사이에서의 임금차별을 분석한 결과, 장애특성으로 인한 임금격차는 39.5%, 차별로 인한 임금격차는 6 0 . 5 %로 분석되었다. 즉, 정신장애인들은 노동시장에서 장애인으로서의 차별 뿐 아니라‘정신장애’라는 특수성으로 인한 차별을 받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업주의 편견이 실제 차별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전문기관은 정신장애인의 경우 다른 장애유형과 다른 근로 및 취업에서의 특수성을 깨닫고 이들의 근로를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힘써야 하며, 특히 사업주를 표적 집단으로 인식개선 사업을 통해 특히 정신장애라는 편견으로 인한 차별을 줄여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정신장애인 근로지원에 있어 평등적 접근을 넘어선 적극적 우대조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main premi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wage discrimination effect on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 the labour market. The data in this analysis come from 2001 survey of the employed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 used Oxaca formul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wage difference caused by disabilities effect is 39.5% of total difference, whereas 60.5% in caused by discrimination effect. Such result implies that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s greater than other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ternatives for promot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ere propo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01-117
* DOI :
* UCI : G704-001872.2006.16.2.002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참여정부의 장애인 공직임용 확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장애인 공직임용 확대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장애인 관련 통계자료와 기존 연구를 참조하는 문헌분석, 그리고 전문가의 심층면접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장애인 공직임용정책이 전통적인 대표관료제적 접근에서 다양성 관리적 접근으로 변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참여정부의 장애인 공직임용확대정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으로, 첫째, 장애인의 다양성에 기반한 다양한 대응방식의 부재, 둘째, 중증 장애인과 여성 장애인에 대한 대책의 미비, 셋째, 공직 임용이후의 장애인 인사관리의 부재, 넷째, 획일적인 할당제 방식에 치중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향후 정책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성에 기초한 장애인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중증장애인과 여성장애인 공무원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 공무원의 보직관리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각 기관의 상황을 부합하는 표적있는 방식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장애인에 대한 공무원의 의식변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홍보전략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problems and finding possible remedies of current policy by analysing the Balanced Personnel Policy of the Handicapped Personnel in the Participated Governmen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direction of the Balanced Personnel Policy of the Handicapped Personnel in the government: ① to introduce the "managing disability-based diversity" approach in the Balanced Personnel Policy of the Handicapped Personnel in the government; ② to meet actively with the needs of the severly disabled and the woman disabled; ③ to improve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of the handicapped personnel; ④ to introduce a "target-based" policy corresponding with a situation of governmental agencies; ⑤ to enlarge the education and/or training programs for strengthening the sensitivity of the disabl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5-32
* DOI : 10.15707/disem.2007.17.1.001
* UCI : G704-001872.2007.17.1.001
서지정보 닫기
-
직업재활의 과정과 취업은 정신장애인의 사회기술, 증상관리, 심리정서적 상태, 경제상황 등 다양한 요인들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을 충족시키고 직업재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 기관들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활성화시켜서 적합한 자원을 극대화시키고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들을 위한 지역사회 내 서비스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방안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부산지역의 재활서비스기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n=70)와 각 기관이 네트워킹을 실시한 310개 기관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서비스네트워크의 특성과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트워크의 구조에서, 전체적으로 네트워크밀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는데 네트워크 구성체계간 네트워킹 정도는 많았지만, 네트워킹 수준이나 내용은 정보제공이나 대상자 의뢰 및 전화접촉이나 대면접촉수준이었다. 둘째, 네트워킹의 정도에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 네트워킹의 경험, 친분정도, 자원중요도에 대한 생각, 기관의 서비스 수, 기관의 설립기간, 정신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의 설치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킹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서비스 수, 정신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의 설치여부, 서비스제공자의 근무기간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rehabilitation service network for employment of the mentally ill. Agencies engaged in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ill in Busan were surveyed about their network size, network contents, and natures.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2.0 and NetMiner 2.6 to explore the characters of service network for the mentally ill and the factors affecting network size and ac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density of network was high(density=0.722). Second, most networkings were constructed by using 'phone-contact'. The contents of networking included 'exchanging informations' and 'committing clients'. Third, The degree of networking was affected by seven factors;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networking experience, degree of interpersonal intimacy in network, resource importance, the number of service served in agency, a period that each agency was founded and whether or not existing the programs for the mentally ill. The three factors had influence on the level of networking; work duration, whether or not existing the programs for the mentally ill, and the number of service served in agency.
These study finding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focused on the staff education, developing instruments for networking, and a meeting for forming friendship, in order to facilitate the mentally ill's rehabilitation and strengthen the networking between the agenc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65-192
* DOI : 10.15707/disem.2007.17.1.006
* UCI : G704-001872.2007.17.1.007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필요성과 그 제정을 위한 사회적 토대의 구성에 대한 것이다. 한국사회는 장애인복지법을 비롯한 장애 관련 법률들을 마련하여 장애인의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현행 장애 관련 법률들은 장애의 의료적 모델에 따른 복지시책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따라서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제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제정을 위한 사회적 토대를 구성하고자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 반영되어 있는 미국장애인법을 비교분석하였다. 미국사회가 장애의 사회적 모델에 입각한 미국장애인법을 마련할 수 있었던 입법과정을 검토하여, 한국사회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제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토대가 무엇인가를 규명하려는 시도였던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제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토대가 요구된다. 첫째,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합의를 이뤄내기 위해 장애인 수당과 같은 사회적 비용을 실질적인 수준으로 증가 및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강력하고 끊임없는 장애인단체의 사회운동을 통하여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켜나가야 한다. 셋째,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위해 복지담론이 아닌, 경제적 담론으로 장애 관련 논의들에 접근하여야 한다.
Recently in South Korea, there is an active mov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ct for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In order to establish the act, the organizations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the disabled have formed the supporting associ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ct for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and persistently held the public hearing.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ADA) in the U.S. could be regarded as the exemplary case for this act, without any related research work in South Korea. This dissertation has analyzed and inquired into ADA, which is based on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It also examined the backgroun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the actual results of execution after establishment. By so doing, it looks over the influence or meaning of the same act in South Korea.
In order to enact the act for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in South Korea, three social contexts are required. Firstly, social expenses such as disability benefits have to be increased. Secondly, disability movement should be strengthened. Thirdly, disability-related discussions have to be made by the economic discourse instead of the welfare discourse to change the social recognition about disabili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33-52
* DOI : 10.15707/disem.2007.17.1.002
* UCI : G704-001872.2007.17.1.006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잦은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보기 위해 이직과 관련된 요인을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개인적 특성,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으로 구분하여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전국 14개 지사로부터 고용관리(수화통역)비용 지원을 받고 있는 수화통역사의 사후관리서비스를 받고 있는 청각장애인과 생산직 외의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경증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1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t-검정(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nter Method)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진·대인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오히려 이직경험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역량에 비해 처우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이직을 한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에 대한 적합한 대우를 해 줄 수 있는 고용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둘째, 임금의 실질적인 보상에 따라 이직을 하지 않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서 청각장애인의 열악한 임금구조에 대한 개선이 다양한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보다 이직경험횟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점에 대하여 청각장애인의 고용관리 차원에서의 충분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the factor effects of a frequent change of occupation to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which is related individual character,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ense. This study made up a survey for the persons with mild hearing impaired who is duty on except manufacturing jobs, related individual character, and the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in follow-up service which supported employment management expense by KEPAD. The study subject is probated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Enter Metho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satisfaction measurement of promotion and personal relations is higher, the numbers change of occupation is high. This point is interpretative they think under reward compare to themselves. So, employment management plan is needed. Second, the wage is very important factor to the change of occupation, so wage construction of the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must be reformed. Third, The high sense self-control efficacy sense group is higher founded the numbers change of occupation, on the whole, the employment management part must be enough considered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41-164
* DOI : 10.15707/disem.2007.17.1.005
* UCI : G704-001872.2007.17.1.005
서지정보 닫기
-
Twenty years post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Equity Act; people with disabilities continue to experience high unemployment rates and workforce participation level of less than 50 percent of working age population (15 to 64 years old). The other three designated groups affected by this Act, women, visible minorities and Aboriginal peoples, each has s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workforce participation rates at all levels of the federally regulated workforce; howeve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not benefited equally from this law. Other researchers and writers have done a substantial amount of work to identify the reasons why employment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ppear to be incompatible, and to identify employment-related barriers. This paper will build on the knowledge published by preceding writers, but instead of focussing on employment barriers, it will focus on factors which can enable over 800,000 self-identifie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to be currently employed in the Canadian workforce.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will evaluate several key component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then, it will review biographical recor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successfully employed despite being confronted by existing barriers.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draw conclusions about success factors which are instrumental for some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thrive in the competitive world of work. The researcher anticipates identification of these success factors may be used by othe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similar positive outcomes in employment, thus increasing the workforce participation rate in line with the members of the other three equity groups designated in the Employment Equity Ac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91-140
* DOI : 10.15707/disem.2007.17.1.004
* UCI : G704-001872.2007.17.1.004
서지정보 닫기
-
In the United States(U.S.), since 1985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SA) Disability Insurance(DI) program has experienced significant growth in the number of people receiving disability benefits, such that by 2005, some 6.5 million disabled workers were drawing benefits. Since that time, except for a few years,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new benefit awards has continued a constant, often significant growth, with awards tending to keep pace with new applications. As would be expected, this growth has resulted in spiraling expenditures, in large part because once on the benefit rolls, very few ever leave for any reason, but particularly not because of return to work.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n explanation of the United States public program efforts, particularly those of the U.S.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SA), to promote employment and return to work by Americans with disabilities. The authors focus on the various programmatic and policy changes aimed at encouraging work and reducing existing barriers to employment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context within which Social Security Insurance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perates in the U.S. is described, as are SSA’s disability program and definition of disability, Social Security Disability Insurance(SSDI), Supplemental Security Income(SSI), and existing work incentives for each. Also presented are the new work incentives available through the more recent legislation entitled the Ticket to Work and Work Incentives Improvement Act, including expedited reinstatement of benefits, Medicaid Buy-in, and extended Medicare coverage.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escription of some complementary government programs to further address these issues, and suggested approaches to research, practice applications, and key policy issues and implication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53-90
* DOI : 10.15707/disem.2007.17.1.003
* UCI : G704-001872.2007.17.1.003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위해 자립생활센터가 하고 있는 일을 조사하고, 이것이 중증장애인 고용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자립생활센터의 중증장애인 고용 실태와 장애인 고용지원 서비스의 실태에 초점을 두었다. 조사는 20개의 자립생활센터에 대한 전자우편 설문과 직접 면접을 통하여 2006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립생활센터는 장애인, 특히 중증장애인의 고용에 있어 적극성을 보였다. 자립생활센터에 고용된 중증장애인들의 근속기간도 길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립생활센터의 중증장애인들은 근로자로서의 신분을 지니면서 다양한 내용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자립생활센터는 장애인에게 취업 전 지도 및 교육 서비스를 비롯한 고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에 자립생활센터의 중증장애인 고용과 고용지원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at independent living centers (ILCs) were doing to increase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intended to analyze what the roles of ILCs suggested with reference to their employment. For that purpose, the study focused on the state of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LCs and on the state of employment-support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July to August 2006 through e-mail questionnaires to and in-person interviews with 20 ILC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LCs were very active in employing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 particularl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Employees with severe disabilities have served in ILCs for a long time.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LCs were carrying out their various duties as employees. Also, ILCs were providing employment-support services, including pre-employment coaching and training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Hereupon, the study came up with several suggestions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LCs and to expand employment-support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93-219
* DOI : 10.15707/disem.2007.17.1.007
* UCI : G704-001872.2007.17.1.002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적자본이론과 차별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2005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근로 중 장애가 발생한 중도장애인을 선별하고 이전직장복귀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자본이론은 중도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가능성을 설명하는 유효한 이론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인적자본이론의 주요 변수인 교육정도의 경우, 교육기간이 1년 증가하면 이전직장복귀 확률은 평균적으로 0.7% 증가하고, 근속년수가 1년 증가하면 평균적으로 2.3%의 이전직장복귀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장애인은 남성장애인에 비해 이전직장에 복귀할 확률이 평균적으로 6.5% 낮은 것으로 나타나, 중도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에도 여성장애인에 대한 이중차별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셋째, 장애유형 측면에서는 눈에 쉽게 보이는 신체외부장애인이 장애사실이 부각되지 않는 신체내부장애인보다 이전직장에 복귀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장애 발생이후 복귀 여부 결정에 있어 장애에 대한 선입견과 낙인이 작용한다는 의미로서, 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여부를 설명하는 데 차별이론도 일정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This study analyzes factors determining job retention of the workers with acquired disabilities, focusing on human capital theory and discrimination theory. Using 2005 Survey of the Employed with disability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we attemp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odel specification in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job retention probability into three categories; demographic, human capital, disability factor. Based on the pertinent results i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workers, implications in theory and policy would be induc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uman capital theory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for explaining the job retention probability of the disabled workers. The educational factor, one of the factors based on that theory, has been influenced the job retention. Holding other things the same, as the educational year goes up by one unit, the job retention probability goes up by zero point seven percent on the average. Likewise, as the length of service increases by one unit, the probability increases by two point seven percent on the average, holding the other things constant.
Second, holding the level of other things fixed, on average, women's job retention probability is less than men's by six point five percent. This result has been implied that the dual discrimination on the women disabled workers still exists in the job retention process of the disabled labor market.
Third, one of the disability factors, the disabled type has effected on the job retention probability. Remaining other things the same, the externally corporeal handicapped workers' job retention probability is lower than the internally corporeal handicapped's, on the average. This result has suggested that the determinant of the job retention would be affected by the prejudice or stigmatization on the disabled. Consequently, the discrimination theory seems to be effective for elucidating the job retention probability of the disabled worker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37-162
* DOI : 10.15707/disem.2007.17.2.006
* UCI : G704-001872.2007.17.2.00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정신장애인 지원고용 서비스 실천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12개월 이상 지원고용서비스 전 과정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지역의 사회복귀시설 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경험의 본질은 '끌어들이기', '이해시키기', '밀어붙이기', '가능성의 확인', '부족함을 절감함', '복지서비스의 수혜자인가? 값싼 노동자인가?', '역할 딜레마 속의 혼란', '새로운 도약을 위한 위험한 시도인가? 열악한 현실에의 안주인가?', '또 하나의 상급자였던 서비스 제공자', '횡적인 관계로의 힘의 이동' 등 10개의 주제로 드러났다. 이는 다시'개척자', '딜레마 속의 혼란', '관계의 성장'이라는 세 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지원고용서비스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고용 활성화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in supported employment program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5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have worked on supported employment program over 12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10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analysis: ‘Bring in on’, ‘deepen one’s understanding’, ‘push’, ‘feeling of deficiency’, ‘client or laborer’, ‘confused’, ‘jump or comfortable life’. 3 categories appeared from 10 themes above: ‘frontier’, ‘dilemma’, ‘growing relationship’. The study provides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as service provider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upported employment program for mental health consumer.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81-106
* DOI : 10.15707/disem.2007.17.2.004
* UCI : G704-001872.2007.17.2.002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