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가족복지학-]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448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홀어머니와 성인인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사례로써, 가족관계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자아분화의 문제에 대한 가족치료적 개입방법과 효과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하여 부인(며느리)이 상담을 의뢰하여 시작되었고, 13회기동안 개인 및 가족상담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 축어록과 치료자가 기록한 메모를 중심으로 한 내용을 부호화(coding)작업을 통하여 개념과 하위범주, 그리고 상위범주로 나누었다. 또한 코딩작업을 통하여 발견한 범주들을 Miles와 Huberman(1994)이 제시한 관계망(network)와 매트릭스(matrix)를 활용하여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버지가 사망하자 어머니는 큰아들이 가족을 부양해주기를 원하였지만, 큰아들은 어머니의 기대와 달리 결혼을 하여 분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로의 감춰진 불만이 드러나고 모자갈등이 표면화되었다. 이런 갈등의 저변에는 가족의 경계선문제, 미분화된 자아,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치료자는 모자갈등의 악순환고리를 끊기 위하여 치료적 동맹관계를 형성하였고, 의사소통방식의 지도, 반복되는 패턴의 조명, 재명명, 비유법을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와 큰아들은 자아분화, 기능적 의사소통의 활성화, 인식의 변화, 경계선의 변화를 경험하였고, 모자갈등의 소거와 더불어 가족관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책임감과 기대감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점과 유효한 개입방법들을 보여준다.

    The study had four purpose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Second, the researcher attempted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flict between mother and the eldest son, Third, the study attempted to find the therapist's intervention techniques, which were caused the change of the conflict between mother and the eldest son. Lastly, the study was to find the changed contents of family relationships. The total family counseling was 13 sessions, which included individual and family counseling. The study use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by using open coding method to find the factors. Also, the researcher used Miles and Huberman's matrix and graphical network display to show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the conflicts between mother and the eldest son. The study found the boundary problem of family, family's undifferentiated ego,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and mother's experience from family of origin as factors influencing the conflict between mother and the eldest son. On the other hand, the study found that the therapist used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alliance relationship, guide of communication skills, the reflection of repeated pattern, reframing and a metaphor as intervention methods. The result of study revealed that changed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activating functional communication, changed boundary among family members, differentiated ego of family members, and changed cognition as the changed contents of family relationship.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63-302
    * DOI : 10.16975/kjfsw.2008..23.008
    * UCI : G704-000964.2008..23.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A복지재단 지원 한부모 자조집단 네트워크 사업의 성과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로, 사업의 성과와 성과요인을 확인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3년간의사업진행자료와 기관별 성과보고서 및 평가회의 자료, 8명의 실무자가 참여한 초점집단면접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업 성과는 회원, 자조집단영역에서 ‘새롭고 확장된 정서적 유대를 경험하고 자신감 얻음’, ‘자조모임에 대해 성찰하고 견고해짐’, ‘자조모임 활동이 풍성하고 다양해짐’, ‘자조모임답게 발전되어감’ 4개 주제, 실무자 영역에서 ‘한부모 자조모임에 대해 새로운 인식과 운영 방법을 습득함’, ‘복지관 기반 한부모 자조모임 특성에 대한 생각이 정리됨’ 2개 주제, 공통 영역에서 ‘함께 힘을 얻고 함께 성장함’ 1개주제가 도출되었다. 성과요인으로 회원, 자조집단 영역에서 3개 주제, 실무자, 기관 영역에서 5개주제, 공통 영역에서 ‘네트워크 시스템 통한 연대의 힘과 시너지 효과’ 1개 주제가 도출되었고, 향후 발전방안으로 4개 영역에서 총 11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결과에 기반해 논의 및 제언을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physical health of adolescents who are expanding their developmental domain beyond family boundaries through branch path analysis on the factors involved in the physical health behavior of latent mixed adolescents. In order to conduct a more precise analysis of the mixed-distributed physical health status of mixed-distributed adolescents, an appropriate Gaussian Mixture Model(GMM) was used. And a decision tree model was used to analyze branch paths. Using jamovi and R(ver.4.1.0)/R-studio as an analysis tool, the second year (2019)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panel data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2,590 guardian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GMM, the physical health of adolescents wa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groups that were latent mixed, and they were named the healthy behavior cluster and unhealthy behavior cluster. Second, as a result of t-test for both clusters, the healthy behavior cluster was significantly higher except for youth activities and suburban club activities, which are factors outside the family, and whether or not the mother worked, which is an intrinsic factor in the family. Third, as a result of the decision tree to analyze the branch path that classifies healthy behavior and unhealthy behavior clusters of adolescents, the friend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which are external factors of the family, are positive, and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hich is an intrinsic factor of the family, is positive. This high educational level was predicted to be classified as a healthy behavior clust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9-252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69.2.7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돌봄 경험이 가지는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7명의 말기 암환자 가족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69개의 중심의미와 18개의 드러난 주제 및 7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절망감으로 인해 밀려드는 고통, ‘돌봄 짓눌림’, ‘돌봄 애증’, ‘가족 사랑의 부활’, ‘아픔을 무릅쓴 선택’, ‘서로를 위한 배려’, ‘호스피스 전인적 돌봄의 힘’으로 구성되었고, 이를 관통하는 핵심주제는 ‘좋은 죽음을 위한 선택’ 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말기 암환자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 및 제도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family care givers for their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For this purpose, 7 family care givers from each family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via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The statements of interview were classified into 69 main points, 18 prominent topics, and 7 essential themes. The 7 essential themes were ‘surging distress caused by hopelessness', ’being weighted down by burden of care giving’, ‘mixed emotions of regret and annoyance in care giving’, ‘restoration of love of family’, ‘painful decision’, ‘consideration for each other’, ‘power of holistic care of hospice’. The core message underlies all these essential themes is summarized as ‘choice for a good death’.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and institu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to better support the family care givers for their patient with terminal canc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5-66
    * DOI :
    * UCI : G704-000964.2016..52.006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아동을 입양한 해외입양가족들로 구성된 입양공동체의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 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호주 퀸즐랜드주에 거주하는 한국아동 해외입양 가족들로 구성된 입양공동체, AKFG를 대상으로 한 참여관찰과 입양부모 9쌍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온라인 웹사이트와 커뮤니티, 호주정부의 공식보고서 등 기록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체적 문화기술지 접근을 통해 문화적 구조와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네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입양공동체를 이해하기 위한 큰 맥락으로서 한국-호주간 국제입양체계, 퀸즐랜드주의 공공과 민간 입양체계, 호주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입양 관련 역사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한국아동을 입양한 해외입양가족들의 공동체로서 AKFG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상세한 기술이었다. 세 번째로 살펴본 것은 이들 해외입양가족들이 개별적으로 경험하면서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결국 AKFG를 유지하게 만드는 강력한 동기인, 국제입양절차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한국문화에 대한 공유와 자녀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 자녀 양육에 대한 정보제공과 지지 등이었다. 마지막으로는 AKFG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문화적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그것은 호주라는 다문화사회에서 국제입양가족으로서 또는 국제입양인으로서 독특한 정체성을 형성해 가면서 건강한 하나의 가족으로 살아가기 위해 해외입양공동체라는 이름의 가족공동체를 유지해가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adoptive community(Australian-Korean Friendship Group, AKFG) composed of intercountry adoptive families adopting Korean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 used the ethnographic research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for AKFG, in-depth interview with 9 intercountry adoptive parents, on-line website and community service site, and various documents. Researcher analysed these data by traditional ethnographic approach and found the cultural themes and patterns. Results are constructed as follows: First, the intercountry adoption system between Korea and Australia, public and private adoption system in Queensland, and Australian socio-cultural background including history of adoption, Second, past, present and future of AKFG, Third, individual and shared needs such as difficulties in formal intercountry adoption process, learning and sharing the Korean culture, and rearing the adoptive children, forth, cultural pattern, that is, living as a health family and forming the unique identity as an intercountry adoptive family or intercountry adoptee in multi-cultural society of Australia.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 provided the policy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supporting the intercountry adoptive families. Necessary follow-up studies were also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o ensure more extensive information on families adopting korean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1-318
    * DOI : 10.16975/kjfsw.2011..33.010
    * UCI : G704-000964.2011..33.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민 여성들의 가정폭력 실태와 예측변인을 조사 하였다. 연구대상은 텍사스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136명의 이민 1세대 한인 여성들이었다. 한인 이민여성들의 가정폭력 실태와 예측변인을 발견하고자 한국어로 번역된 질문지 사용하여 한인 이민여성들이 많이 가는 장소에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주된 분석방법으로 응용된 중다회귀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종교적 참여와 남자 배우자의 음주(알코올 소비, 알코올 의존도, 위험한 수준의 음주) 및 아동기의 신체적 폭력 경험은 한인 이민여성들이 경험하는 신체적 폭력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월수입, 문화적응수준, 종교적 참여, 남자배우자의 알코올 소비 및 의존도, 아동기의 신체적 학대경험은 한인 이민여성들의 심리적 폭력경험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인 이민여성들이 경험하는 신체적 상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종교적 참여, 남자배우자의 알코올 소비 및 의존도, 아동기의 폭력경험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사회복지 분야에 주는 함의점이 논의되었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65-188
    * DOI :
    * UCI : G704-000964.2004..13.001서지정보 닫기
  • 한부모가족이 처한 어려움은 다양한 차원에 걸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한부모가족 빈곤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은 매우 단선적인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족의 삶에서 나타나는 중첩적?복합적인 빈곤의 현황과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사회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부모 가구의 경험적 실태를 상세히 분석하기 위해 한부모 가구주 2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각 차원별 빈곤 경험이 강력하게 상호 관련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건강이 취약한 가구원이 존재하는 경우 의료급여 등의 혜택을 받기 위해 소득 빈곤을 탈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고, 탈수급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산형성제도를 활용하기 어려웠으며, 양질의 일자리와 양질의 돌봄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에 봉착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차원은 독립적이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차원에 천착하는 것만으로는 한부모가족이 경험하는 복합적인 빈곤 문제 해결이 요원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mong single-parent families,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reducing the poverty. Poverty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and their difficulties also have multifaceted aspects. Korea’s support systems for single-parent families, however, have the limitation of being more or less unilinea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pare alternative policies by shedding light on the poor situations of single-parent families.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interviewing 25 heads of single-parent households to deeply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experi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to specifically grasp their experience of using related policies. Lastly,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ement by dimension by dividing poverty into income, assets, housing, labor, and multidimensional pover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63-198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2023.70.3.163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수준과 자녀의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방임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중1패널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교 3학년 2,195명(한부모 249명, 양부모 1,946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21.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의 경제적 수준 및 학교적응은 양부모 자녀보다 낮으며, 방임적 양육태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의 다집단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부모가족은 경제적 수준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한부모가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양부모가족과 한부모가족 모두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임적 양육태도 및 자녀의 정신건강은 양부모가족의 경우 경제적 수준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한부모가족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저소득한부모가족에 집중되어 있는 한부모가족 지원 기준에 대한 문제점, 둘째, 한부모 자녀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한부모가족의 특성을 반영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and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of single-parent famillies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i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iddle School 1 Panel(third-wave)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is study selected 2,195 middle school 3th-grade students (249 from single-parent families and 1,946 from two-parent families). Data were examin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AMOS 21.0, an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parent children reported lower levels of economic status and school adjustment, and higher levels of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than the two-parent children. Second, multi-group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ngle-parent and two-parent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conomic status of two-parent famillies affecte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but economic status of single-parent famillies did not affect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for total effect, the variable that most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as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Fourth,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and mental health di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school adjustment in case of two-parent famillies, but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and mental health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case of single-parent famillie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tressed the following; First, the study suggested that problem of the single-parent famillies supporting standard which is concentrated on the low income single-parent famillies. Second, the study proposed multifaceted support measures which reflects characteristics of single-parent famillie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of the single-parent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7-331
    * DOI :
    * UCI : G704-000964.2016..54.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18세미만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의 정도와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살펴보고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한부모가족의 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배우자와 사별하거나 이혼한 여성가장으로서 284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개인적 변인 중 건강,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등은 1점에서 5점범위 내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적 변인은 전반적으로 모두 3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 변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중 도구적 지지가 정서적 지지보다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3.01, 우울은 평균 3.06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개인적 변인 중 교육수준, 홀로된 원인, 건강수준,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사회적 변인으로는 도구적 지지, 정서적 지지, 교육프로그램참여, 제도적 지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에는 개인적 변인 중 교육수준, 건강수준, 자존감, 정서적 대처가,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사회적 변인 중 정서적 지지, 교육프로그램참여, 제도적 지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도구적 지지,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정서적 지지, 제도적 지원, 건강수준, 홀로된 원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는 가족스트레스, 모자녀갈등관계, 가족자원, 정서적 대처, 교육프로그램참여, 자존감과 제도적 지원, 정서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어야 하겠으며 나아가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제도적 지원에서도 적용할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and the differences of influencing factors of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the 284 of single mother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F-test,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cores of single mothers' individual variables showed higher than median, family variables were lower than median, and instrumental support showed higher than emotional support.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bout median. 2.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ducation, health, self-respect,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monthly income,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3. Life satisfact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health, self-respect, problem-solving coping,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instrument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Depress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self-respect, emotional coping,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In conclusion, to develop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mothers must be used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and implications for alternatives to support single mothers from this study were provid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5-118
    * DOI :
    * UCI : G704-000964.2004..14.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의 초기 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으로, 연구참여자들은 한부모가정의 조부모들로 자녀의 이혼이 3년 미만의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부모가정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족의 생활실태 및 지원에 관한연구들로 조부모의 역할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의 초기 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삶 전체가 이해될 수 있도록 2017년 11월부터 자료가 완전 포화상태에 이르는 2019년 3월까지 약 17개월에 걸쳐 광범위한 영역에 대하여 구체적인 문화기술적 서술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영역구성은 첫째는 한부모가정과 조부모에게서나타난 생활의 변화, 둘째는 한부모가정의 이혼 초기 삶의 변화과정, 셋째는 현실세계에서의조부모의 고민에 대한 영역이며, 마지막으로 한부모가정의 초기 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영역으로 구성 하였다. 본 연구결과 먼저 건전한 정신건강을 위하여 손자녀들에게더 많은 사랑을 베풀고 있었으며, 둘째는 손자녀에 대한 보호자(아빠)와 조부모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었고, 셋째는 자녀(딸)의 사회생활을 위한 후원자로서의 역할수행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상적인 가정생활의 자립을 위한 경제적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한부모가정의 초기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실천적 개입 방향은 첫째는 한부모가정의 자녀(손자녀) 양육에 대한 서비스 제공과 거주공간에 대한 안전이필요하였고, 둘째는 한부모가정의 정상적인 생활을 위한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였으며, 셋째는한부모가정에 대한 지속적인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이 이혼 후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초기 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실천적 개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문화기술적 연구이다.

    This study is an ethnographic study for the role of grandparents to support the early independ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Participants were the grandparents of single-parent families whose children divorced less than 3 year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ingle-parent families have studied the living conditions and support of single-parent families, so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role of grandparents. For about 17 months from November 2017 to March 2019, specific ethnographic descriptions were conducted for a wide range of areas. The domain composition in this study is the change of life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grandparents. The scop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change of life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grandparents. Secondly, the process of change of life in the early stages of divorce of single-parent families. Third, the areas of grandparents’ concerns in the real world. Finally, the grandparents who support the early independ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y are giving more love to their grandchildren for healthy mental health, protecting them and serving as grandparents, and supporting their children’s social life. And lastly, they provide economic support for independent normal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practical intervention on the role of grandparents who support the early independ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provide care of parenting and safe living places. Secondly, economic support is needed to live normal life. and third, the need for continuous social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ies is raised. As such, this study is an ethnographic stud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ractical intervention on the role of grandparents to support early independence so that single-parent families can live a happy life after divor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9-76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2019..66.002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A복지재단 지원 한부모 자조집단 네트워크 사업의 성과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로, 사업의 성과와 성과요인을 확인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3년간의사업진행자료와 기관별 성과보고서 및 평가회의 자료, 8명의 실무자가 참여한 초점집단면접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업 성과는 회원, 자조집단영역에서 ‘새롭고 확장된 정서적 유대를 경험하고 자신감 얻음’, ‘자조모임에 대해 성찰하고 견고해짐’, ‘자조모임 활동이 풍성하고 다양해짐’, ‘자조모임답게 발전되어감’ 4개 주제, 실무자 영역에서 ‘한부모 자조모임에 대해 새로운 인식과 운영 방법을 습득함’, ‘복지관 기반 한부모 자조모임 특성에 대한 생각이 정리됨’ 2개 주제, 공통 영역에서 ‘함께 힘을 얻고 함께 성장함’ 1개주제가 도출되었다. 성과요인으로 회원, 자조집단 영역에서 3개 주제, 실무자, 기관 영역에서 5개주제, 공통 영역에서 ‘네트워크 시스템 통한 연대의 힘과 시너지 효과’ 1개 주제가 도출되었고, 향후 발전방안으로 4개 영역에서 총 11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결과에 기반해 논의 및 제언을하였다.

    Th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outcomes of the single parents self-help groups network service sponsored by the OO Welfare Foundation which was carried out between July 2018 and June 202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outcomes and the outcome factors of the service and to seek the methods for future progress. Three years’ service progress materials, institutional output report materials, overall evaluation meeting materials, and the recordings by the 8 social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outcomes of the service from the analysis revealed, 4 themes from the member/self-help group level: ‘Obtain new and expanded emotional bond and confidence’, ‘Reflect on the self-help group and gain solidity’, ‘Enrichme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self-help group’and ‘Progress worthy of the self-help group’, 2 themes from the social worker level: ‘Gain new awareness on the single parent self-help group and operational skills’, ‘Organization of the thought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center based single parent self-help groups’, and 1 theme from the common level: ‘Gain strength and achieve progress in union’. The outcomes factors were; 3 themes from the member/self-help group level: ‘Stimulation of the self-help groups by unified activities’, ‘Meaningful communications and search on management of the self-help group’, ‘Experience the impact reaching beyond the local community and formation of the relational network’; 5 themes from the social worker /institutional level: ‘Formation of tight relations and emotional support between the sympathetic coworkers’, ‘Sharing and implementation of other institutional experience’, ‘Strengthening the interest and the awareness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Formation of effective supervision/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Participation of the researchers’; 1 theme from the common level; ‘Synergistic effects and collective power of the network system’. Eleven methods for future progress from 4 areas including sustained progress of the network, unified activities, social worker level network, and boost of social activit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proposals on the single parents self-help groups network service is presen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37-186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69.2.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본질을 자녀양육 경험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부모 이주여성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5년12월부터 약 2개월간 일대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참여자의 고유하고 독특한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했다. 분석 결과, 201 개의 의미단위, 29개의 하위 구성요소 및 13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했으며 이는 ‘기대와 달리힘들고 어려운 결혼 생활’, ‘내면의 상처 때문에 자녀와 갈등’, ‘이주여성이자 한부모로서 겪어내야 하는 이중고’, ‘견디고 이겨내며 가장이 되어감’, ‘어머니의 능동적 사랑과 그 원동력인자녀’의 5개 본질적 주제로 구조화되었다. 연구를 통해 파악한 한부모 이주여성의 삶과 경험의본질을 바탕으로 관련 정책의 개선 및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immigrant single mothers’ parenting experiences. Seven immigrant single mothers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for each participant and analyzed by using a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o delineate about participants’ individual and unique experiences.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divided into 201 meaning units, which were analyzed into 29 sub-elements, 13 elements, and then structuralized with 5 intrinsic themes of ‘marriage with unexpected hardships’, ‘troubled relationship with children due to emotional trauma’, ‘double whammy of being an immigrant woman and a single mother’, ‘struggles in becoming a head of household’ and ‘power of mothers’ love for childre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ocial work practi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9-6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한부모 결혼이주여성의 주거경험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부모 결혼이주여성 5명을 심층 인터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부모 결혼이주여성의 주거경험과 관련하여 16개의 범주와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주제는 ‘타국에서 홀로 표류함’, ‘가난이 일상이 되는 집’, ‘아이와 함께 가난을 공유하는 집’, ‘바람과 현실사이 최선의 선택지’, ‘일과 돌봄 사이에서의 짓눌림’, ‘덕분에 살아내고 있음’이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한부모 결혼이주여성의 주거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첫째, 법정 한부모가 되기 전기거할 수 있는 일시 주거 지원,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일자리 지원방안, 셋째, 자녀의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족초청제도 점검, 넷째, 실제 자녀와 거주하고 있는 양육자가 대리인으로서 공공임대주택 신청 가능하도록 기회 부여, 다섯째, 초기 정착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주거 복지와 관련된 정보 안내와 기관 간 연계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부모 결혼이주여성의 주거 경험에 대한 당면 현실을 심층 탐색하여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sidential experiences of single-parent married immigrant wome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single-parent married immigrant women,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integrated analysis, 16 categories and 6 topic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residential experience of single-parent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ix themes were “drifting alone in a foreign country”, “A house where poverty becomes everyday life”, “A house to share poverty with children”, “the best choice between the wish and reality”, “Pressure between work and care”, and “being alive thanks to you.”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plan to support housing for single-parent married immigrant women was proposed. First, temporary housing support is needed to live before becoming a legal single par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support jobs for married migrant women.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family invitation system to prevent a child’s care gap. Fourth,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actual child and the caregiver living in to apply for public rental housing as an agent. Fifth, information guidance related to residential welfare and a linkage system between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for early settled multicultural famil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43-74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2023.70.2.4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기간이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중1패널 1차년, 2차년, 3차년의 3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3차년의 가족구성에서 양부모와 한부모로 응답한 학생과 학부모 2,195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부모, 한부모 1년, 한부모 2년, 한부모 3년의 네 집단 간 경제수준, 부모의 삶 만족도, 방임적 양육태도, 자녀의 자존감, 자녀의 정서적 적응의 차이분석 결과 경제적 수준과 부모의 삶 만족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족의 기간은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경로를 분석한 결과는 한부모 기간→경제적 수준→자존감→정서적 적응, 한부모 기간→경제적 수준→방임적 양육태도→자존감→정서적 적응, 한부모 기간→경제적 수준→방임적 양육태도→정서적 적응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자존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athways that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influences in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Data was obtained from the wave 1st, 2nd and 3rd for 3 years in Middle School 1 Panel of the survey on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is study selected 2,195 objects who are from single parenthood or two parenthood in the wave 3rd. Analysis method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results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two parenthood, single parenthood one year, two years and three years) in economic status, life satisfaction and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of parent,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adjustment ha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 Second,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had not direct influences but had indirect influences in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to analyze the pathways were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 economic status → self-esteem → emotional adjustment,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 economic status →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 self-esteem → emotional adjustment,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 economic status →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 emotional adjustment. Third, as a results of examining through a total effect, the variable that influences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most is self-esteem influe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28
    * DOI : 10.16975/kjfsw.2015..47.001
    * UCI : G704-000964.2015..47.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성인자녀가 노부모와 구성한 근거리 가족의 삶을 중장년 기혼 자녀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자는 노부모로부터 도보로 20분 이내 거주하는 중장년 기혼 자녀 15명을 의도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으로 선정하고, 심층 면담하여 획득한 자료를 주제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상위주제인 ‘암묵적으로 예속시키는 배경요인’, ‘자발적으로 예속되기’, ‘근거리 가족의 양가성 경험’, ‘근거리 가족의 예속으로부터 벗어나기’, ‘근거리 가족관계의 재배치’와 관련된 2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가족가치와 사회적 효용성 강조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족담론에서 상호 예속적이면서 주체적인 가족관계를 구성해 가는 근거리 가족을 가족정책 및 가족서비스 지원의 새로운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midlife married-children life with the residential proximity form their elderly parents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conducted a couple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fteen participants selected by purposeful or snowball sampling method and employed thematic analysis method of Braun and Clarke(2006) to analyze qualitative information collected. As the results in this study, revealed twenty sub-themes in five themes: ‘the implicitly subjugating background factors’, ‘attribute of voluntarily servitude’, ‘ambivalence phenomenon of family proximity’, ‘breaking out of the subjugation’, and ‘rearrangement of relationships within family proximity.’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for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to understand intergenerational subordination, conflict, and coexistence in South Korea. We presented importance of family’s proximity in sharply family discourse on traditional family norms and feasible intergenerational utility in South Korea. finally, finally, to facilitate intergenerational subjectivity getting away subordination of family proximity we need to balance between inter-dependence and inter-independence between middle aged children and elderly par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1-221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2023.70.1.18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저출산 정책과 서비스가 ‘ 저출산 문제 해결에 많은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의문으로 출발했다. 연구의 목적은 다자녀 어머니의 일상과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가족사회복지 실천과 서비스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자녀 어머니를 중심으로 초점집단을 구성했고, 집단 면접과 개별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비 부담과 개인 시간 부족, 다자녀 가족을 바라보는 사회의 이중 시각에 대한 경험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저출산 정책과 서비스 기준에 대한 형평성과 공동육아 서비스, 교육 정책의 변화, 믿고 맡길 수 있는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자녀 가족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보편적 ? 선별적 지원이 이루어지기 위해 정부와 지역차원에서 가족사회복지실천의 여러 역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started on the question that if the policies and services against Korea’s low birthrate would be eff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directions of family social welfare practice and services based on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three or more children. To conduct this research a focus group has been formed,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and the data has been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 As the results the lack of child care expenses and private or resting time and the prejudice of society on them, who have many children, have been revealed. The mothers were asking the equity of the policy and service criteria, home care allowance, changes in education policy, and child care services that they can trust. Lastly it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have to conduct various roles in family social work practice to fulfill the need of reducing the prejudice against multi-child family and universal and selective suppor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39-167
    * DOI : 10.16975/kjfsw.2012..38.005
    * UCI : G704-000964.2012..38.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감독의 측정을 위해 개발된 Parental Monitoring Instrument(PMI)의 한국어판을 개발하는 것이다. 부모가 자녀의 감독을 위해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부모감독 척도는 부모감독의 개념을 자녀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로 축소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PMI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부모감독척도로써 기존 척도들과는 달리 부모가 자녀에게 적용하는 기술들(직접적 감독, 간접적 감독, 제한적 감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감독의 영역도 건강, 학교, 컴퓨터, 전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을 다루는 척도이다. 총 327명의 중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한국어판 PMI에 대한 평가결과는 양호하였다. 첫째, 1차순 확인적 요인분석은 각 요인에 적재된 문항들이 해당 요인의 지표들로 적절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2차순 요인분석은 7개 요인이 2차순 요인인 부모감독의 하위요인들로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둘째, 한국어판 PMI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3가지 방법으로 평가되었으며 7개 하위척도의 신뢰계수는 모두 .60 이상이었고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와 문항 간 상관계수들 대부분도 기준을 초과하였다. 셋째, 한국어판 PMI의 타당도 또한 양호하였다. 요인적재값, 분산추출값, 개념구성 신뢰도 모두 권고 기준 이상으로 나타나 한국어판 PMI의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판별타당도는 분산추출값과 상관계수의 제곱 값의 비교를 통해서 평가되었으며 모든 분산추출값이 상관계수의 제곱 값들보다 크게 계산되어 한국어판 PMI의 7가지 하위요인은 서로 구별되는 개념을 측정한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al Monitoring Instrument(PMI) which measures how frequently parents employ a variety of specific monitoring strategies. PMI is different from existing monitoring scales in that unlike most existing scale, it measures various monitoring skills that parents actually use to monitor their children. The Korean version of the PMI was validated with a sample of 327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MI like the English version is composed of 7 factors. The Korean version of the PMI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good construct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PMI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parental monitoring skills used by Korean parents. However, validation with more representative samples is needed to improve its util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7
    * DOI : 10.16975/kjfsw.2012..38.001
    * UCI : G704-000964.2012..38.011서지정보 닫기
  • Gardner와 동료들(2008)은 가족의 보호요인이라는 개념이 ‘적은 수의 스트레스원’, ‘적응적 평가’, ‘사회적지지’, ‘보상적 경험’과 같은 4개의 하위요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에 기반하여, 가족보호요인척도(Inventory of Family Protective Factors)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가족보호요인척도(IFPF-K)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내적일관성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구조화된 조사도구를 활용한 설문조사가 2014년 8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약 6주간 서울S구에 거주하고 있는 가족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470가족의 응답내용이 분석되었다. IFPF-K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먼저 1요인 모형과 4요인 모형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결과 4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1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IFPF-K의 경우 문항중복의 가능성이확인되어 4개 문항을 삭제한 축약형 척도를 만들게 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및 Cronbach’s α값 산출 등을 통해 원척도와 축약형 척도를 비교하였다. 축약형 척도는 요인구조 및 하위요인간 상관관계에있어 IFPF-K 원척도와 매우 유사하였을 뿐 아니라, 보다 향상된 적합도 지수를 보여주었다. 내적일관성 신뢰도의 경우 IFPF-K 원형이 축약형 보다 약간 더 높은 α값을 보였으나 축약형 역시 .90 이상의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논의에서 연구의 의의, IFPF-K 원형 및 축약형 척도 활용에 대한 제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 등이 기술되었다.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concept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was consisted of 4 factors(fewer stressors, adaptive appraisal, social support, and compensatory experiences), Gardner et al. (2008) developed “Inventory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IFPF).”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orean version of IFPF (IFPF-K). For this study, a survey utiliz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rom mid August to late September, 2014. The study sample was the families living in S-Gu, Seoul, Korea and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470 famil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 structure of IFPF-K,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implemented. At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process, the fit indices of 1-factor and 4-factor model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latter. Since item redundancy was detected, however, a short version of IFPF-K was newly presented and the two versions of the scale were compared at the later stage of the analysis process. The short version displayed the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the original version in terms of the interfactor correlations and factor structure. In addition, it showed a little higher fit statistics than the original IFPF-K. Although the original version had a higher Cronbach’s α, the α of the short version was also above .90, indicating a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In discussion, some critical issues regarding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IFPF-K as well as the implications and meaningfulness of the study results were describ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5-111
    * DOI : 10.16975/kjfsw.2015..48.004
    * UCI : G704-000964.2015..48.001서지정보 닫기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공공화와 함께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도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아동학대사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아동학대에 영향을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아동학대 사례 유형화의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학대 사례 유형화를 목적으로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학대 위험요인들의 유무뿐 아니라 포괄적 위험요인들의 심각성 수준을 동시에 고려할수 있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동학대 사례는 모든 위험요인의 수준이상대적으로 낮은 ‘기본형’ 집단(78.9%), 가족내 위기와 스트레스 위험요인 수준이 높은 ‘가족위기스트레스형’ 집단(8.2%), 주거환경 및 사회적 지지체계가 취약한 ‘환경취약형’ 집단(5.7%), 행위자의 잘못된 인식 및 행동, 보호자의 양육무관심이 두드러진 ‘양육문제형’ 집단(3.6%), 보호자 질환 위험요인 수준이 높은 ‘보호자 질환형’ 집단(3.5%)의 다섯 가지로 구분되었다. 추가적으로 각 유형별 인구학적 특성, 학대유형, 재학대발생율, 행위자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학대사례 유형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 아동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As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response system to child maltreatment progresses in South Korea, its Child Protection Agencies are expected to provide professional and standardized services to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To reduce the complexity of child maltreatment cases where case managers have to factor in multiple variables, the present study applies a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a recent dataset (N=44,347) extra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Child Abuse Information System. A five-profile solution provides the best fit for the data. The five profiles are 1) minimal risk profile comprising 78.9% of all cases with the lowest average scores in all risk factors, 2) family crisis and stress profile(8.2%), 3) poor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connections profile(5.7%), 4) parenting problems profile(3.6%), and 5) a caregiver with diseases profile(3.5%). Cross-profile comparisons of key demographic, maltreatment type, and ab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presented to describe each profile. Practice implications are provid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1-207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69.4.6
    * UCI : 서지정보 닫기
  • 최근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청년실업 문제와 더불어 한국사회에는 새로운 유형의 젊은 세대가 등장하여 사회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들은 이른바 부모의존 독신성인이라 불리는 청장년층으로서, 일반적으로 학교를 졸업하고 자립할 나이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취직·구직을 하지 않거나, 또는 취직을 하더라도 부모와 함께 동거하면서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20대 후반에서 40세 미만의 미혼 성인자녀들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부모의존 독신성인 가구의 규모, 부모의존 독신성인가구의 부모와 자녀의 특성, 동거관련 생활실태 및 부모-자녀 동거관계만족도 등을 분석·파악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며, 또한 이들에 대한 후속 연구와 사회적 개입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부모의존 독신성인 가구는 전체 응답가구의 34%로 조사되어, 독립하지 않고 부모에게 의존하며 함께 거주하는 성인자녀의 비율이 상당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존 독신성인 가구의 부모는 일반가구의 부모에 비해 높은 연령, 낮은 수준의 최종학력 및 소득수준 등 다소 불리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존 독신성인은 약 90% 이상이 전문대 이상의 학력을 소지하고 있으며, 비교적 높은 경제활동 참가율과 정규직 중심의 안정된 고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부모의존 독신성인과 부모와의 관계만족도는 일반적 우려와는 달리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존 독신성인가구의 부모-자녀 관계만족도와 관련 있는 변수로는 독신성인의 연령, 학력수준, 경제활동 여부 및 부모의 연령과 학력수준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존 독신성인에 대한 기초조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에서 이와 같은 결과를 도출해냄으로써 부모의존 독신성인에 대한 학문적 노력의 출발점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Along with the worsening situation of youth unemployment, an increasing group of young generation has recently received much social attention. They are called "parasite singles" who refer to non-married single children aged 25-40, economically depending upon their parents.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parasite singles in Korea and their living conditions family relations, through which it would suggest important bases for effective social interventions for problems facing parasite singles and their family.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bout 34% of the sample have parasite singles in their family, indicating that the prevalence of parasite singles cannot be overlooked any longer; (2) the main reason of parasite singles for depending upon their parents is "not having married," although economic independence matters more for male parasite singles than for female parasite singles; (3)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child relation is generally high among parasite singles and their parents, as opposed to public concerns and (4) among characteristics of parasite singles, age, education level, and labor market participation are proven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rent-child relation, while parental age and education level are also related to the satisfaction leve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0
    * DOI : 10.16975/kjfsw.2011..31.001
    * UCI : G704-000964.2011..31.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를 키우면서 사회적 돌봄 및 공적 교육제도와의 접점에서 어머니로서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찾아가고 정립해 나가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결혼이주여성으로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녹취된 자료는 근거이론 분석방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중심현상은 ‘낯선 곳에서 길잡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사회적 참여’와 ‘불리하지 않기 위한 준비’라는 인과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며, 맥락적 조건은 ‘교육역량’과 ‘주변의 인식’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문화적 배경 활용하기’, ‘한국사회 따라잡기’, ‘버티기’, ‘우호적 환경 만들기’로 나타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은 ‘남편과의 관계’와 ‘주변이 도움’과 같은 지지체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작용/상호작용으로 인해 ‘당당하게 키우기’, ‘국제적으로 키우기’, ‘흘러가는대로 키우기’의 3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은 낯설고 잘 알지 못하는 상황 가운데에서도 자녀를 위해 최선을 다해 길을 잡아가고 있으며, 주체적으로 어머니 역할을 찾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ow immigrant mothers in Korea determine and establish their role as a mother when encountering the formal social care and education system. A qualitative inquiry approach was selected, and 8 immigrant women who had at least one child involved in social care or formal education system were recruited for in-depth interview. The transcribed material was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core phenomenon that immigrant mothers experienced while establishing their mothering role was ‘pathfinding in unfamiliar places’. Its causal conditions were ‘social participation’ and ‘striving not being disadvantaged’.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affected the process was ‘educational competence’ and ‘others’ percepti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employed were ‘actively utilizing own cultural background’, ‘catching up the mainstream’, ‘taking a firm stand’, and ‘creating a favorable environment’.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influenced the action/ interactions were ‘relationship with husband’ and ‘others’ support’. The process resulted into 3 categories: ‘raising a self-confident person’, ‘rearing internationally’, and ‘going with the flow’.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51-279
    * DOI : 10.16975/kjfsw.2013..41.010
    * UCI : G704-000964.2013..41.001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