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보육학회지-]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562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 관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아상호작용의 양육관련변인을 확인하고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질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모아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이론적 문헌고찰과 함께, 모아상호작용의 관련변인의 추출과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협력접근법을 통한 미시접근법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는 첫째, 모아상호작용과 관련된 관련변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는 질적으로 어떠한가? 이었다. 첫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에 의하면, 모아상호작용과 관련된 변인에는 영유아의 언어능력, 영아의 연령, 영아의 상황, 영유아의 요구나 동기, 어머니에 대한 유아의 인식, 영아의 기질, 영아의 사회적 능력, 영아의 애착, 영유아의 놀이, 영아의 순응성, 유아의 전략, 어머니의 스트레스?병력?결혼만족도, 어머니의 전략, 사회계층변인, 어머니의 민감성, 어머니의 반응, 어머니의 권력인식, 어머니의 애착, 타인양육, 타인양육유형 등이 포함되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 즉, 소규모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밝혀진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아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양육관련변인에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 합리적-애정적 양육행동, 어머니의 높은 애착정도, 접근적-적응적 자녀의 기질, 자녀의 순응성 등이 있고, 모아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양육관련변인에는 부모역할에 대한 낮은 만족도와 부모역할에 대한 갈등, 애정적-통제적 양육태도, 합리적-권위적 양육행동, 매우 높지 않은 자녀에 대한 애착정도, 중간수준의 어미니 정서표현성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 In this regards, two study issues were set up; Is there any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were communicat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oddler's month ages, situation, needs and motivation of young children, recognition on the mother, toddler's temperament, social ability of toddler, toddler's attachment, play of young children, toddler compliance, interaction styles of young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teraction styles of mother, social stratification, maternal sensitivity, maternal response, maternal perceived power, maternal attachment, types of care.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the mother-toddl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47-17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9.9.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힘이 되는 이야기’로 개인 혹인 주변에서 일어나는 여러 상황의 문제를 다룬 일정한 줄거리를 담은 힐링스토리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성,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성과 탄력성 분류체계에 따라 선정된 힐링스토리 그림책을 활용하여 통합활동을 구성,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주시에 소재한 M어린이집 만5세 2학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임의배정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힐링스토리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 사회성 및 자아탄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바람직한 사회관계 형성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유아 힐링을 위한 적절한 활동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integrated activity using healing story picture books affect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ir sociality and ego-resiliency. In this study, researcher chose the healing story picture books that hav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ir problem behavior, sociality and ego-resiliency were used to organize the integrated activity whose effect was analyzed after application. As study subjects, the two classes with young children's aged five years in M ChildCare Center in the city of J were chosen. Based on the collected date, t-test was conducted with the use of SPSS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integrated activity using healing story picture books positively affected a reduction i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 improvement in their sociality and ego=resiliency. The study result proved the filed applicability of healing story picture books. In the point that the integrative activity using healing story picture books gave a positive effect on a reduction i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 improvement in their sociality and ego-resiliency, this study tries to suggest picture books based education as a method of healing education for creating desirable social relationship.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41-16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6.16.3.008서지정보 닫기
  • 이 논문은 유아들이 환경적 문자(Environmental Print)와 상호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자발적 쓰기, 쓰기에 대한 태도, 쓰기 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 환경적 문자란 유아들이 살아가고 있는 주변 환경에 자주 노출되어 있는 문자로서, 예를 들어, 간판, 과자 봉지, 책 표지, 거리 표지판 등을 말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실험집단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환경적 문자들을 스스로 찾아내고, 그 글자들을 이용한 문자 활동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학급의 유아 42명이었고, 이들은 각각 21명씩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연구의 절차는 1주간의 사전검사, 4주간의 실험처치, 1주간의 사후검사로 진행되었으며, 실험 처치의 4주 동안 주 3회씩 총 12회의 환경적 문자활동이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자유선택 활동 시간을 이용한 자발적 쓰기의 빈도 측정과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수집된 유아의 쓰기 태도검사 점수, 쓰기 결과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환경적 문자를 이용한 교수법은 유아의 자발적 쓰기와 쓰기 수행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유아의 쓰기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is research was planned to inspect how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could affect to the writing behavior, attitude toward writing, and writing level of young children. Several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can learn how to read and write easily through environmental prints. Environmental prints are everywhere around us. They could be found in signs, magazines, newspapers, and many different kinds of daily use products. Children can see the covers of their stuffs, books, milk cartons, etc. This research focus on the idea that it we use those various and meaningful environmental prints, then we could see the marvelous growth of children"s literacy skill. The problem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oes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affect to the voluntary writing of children? Second, does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affect to the attitude toward writing? Third, does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affect to the writing level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as 42 four year old children. They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 group only experienced the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retest, treatment, and post-test. Each data was collected by observation, survey, and writing performance. The rated data was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give positive effect to the level of voluntary writing of children. 2. The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didn"t affect to the attitude toward writing of children. 3. The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affect to the level of children"s writ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09-12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7.7.2.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환경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교육 활동이 유아의 환경어휘력, 환경보전지식 및 태도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C어린이집 만 3세반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각 15명씩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에 대해 12주 동안 환경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교육 활동을 시행하였다. 처치는 만 3세 유아들에게 적합한 수준의 환경 그림책을 선정하여 매주 읽어주고, 내용과 연관된 통합적 접근의 사후활동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두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에 비해 모든 변인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즉, 환경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은 유아의 환경어휘력, 환경보전지식, 환경보전태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and examine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irty 3-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t a child care center in Seoul.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post-activities with the integrative approach, related to the contents of designated picture books on environment, after being read aloud totally for 12 week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all the variabl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picture book activities was indicated to have effects on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vocabulary,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environmental preserv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65-191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4.14.1.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Y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교사 280명이다. 연구방법은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위해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 F검증,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목표 및 내용, 방법적인 부분에 있어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실태에 있어서도 실제 협동미술활동에 있어 실시횟수 및 방법, 시간, 평가방법, 교사연수 및 지원 등에서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협동미술활동이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동미술활동 프로그램과 유아의 발달에 적절한 활동계획 및 방법, 교사교육 및 연수 등 다양한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activities of cooperative a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0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Y city. The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of the cooperative art activities. For the research problems,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were calculat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 - test, F - test, and χ2 -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need for cooperative art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highly perceiv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in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in the actual cooperative art activities in terms of frequency, method, time, evaluation method, teacher training and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supporting methods such as activities plan and method,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appropriate for the cooperative art activity program and the presentation of young children are sought so that more desirable and efficient cooperative art activities can be opera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ggesting that it should be don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11-15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사회교육 수업에 협동교수학습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에비유아교사의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사회교수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의 D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에서 2012년 유아사회교육을 수강하는 2학년 전체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28명에게는 이론수업과 모의수업에 협동교수학습법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 28명에게는 이론수업에 강의식 수업과 모의수업에 개인적 발표 수업을 실시하였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학업성취도검사, 학습태도검사, 사회교수효능감검사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SPSS/WIN(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는 협동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유아사회교육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사회교수효능감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verify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s, and social teaching efficacy by applying a cooperative teaching-learning for early children social education. For the aim, the study required 56 sophomore students taking the early children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ren education of D university in Daejeon to participate. Thos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28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28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cooperative teaching-learning to theory-classes and practice-classes. The control group implemented individual presentations in practice-classes and lecture teaching in theory-classes. To examine the effects, few 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model application including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s, and social teaching efficac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rogram, SPSS/WIN(18.0). In conclusion, the cooperative teaching-learning for early children soci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s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s, and social teaching efficac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79-20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3.13.1.010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를 활용하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와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의 다문화수용성지수(KMAI)를 조사·분석하여 보육교사와 예비교사 대상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김포시와 안산시에 소재한 34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500명과 동일 지역에 소재한 3개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 및 아동보육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와 예비교사의 KMAI, 수용성 차원 및 하위 구성요소별 수용성이 일반 국민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현직 보육교사가 예비교사에 비하여 KMAI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다문화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KMAI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 toward the multi-culture shown by the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a child care center and the pre-service teachers who are at college using the KMCI, and aims at providing the analysis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child car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an effort to fulfill such a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0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34 child care centers located at Gimpo city and Ansan city in Gyeonggi-do, and 500 pre-service teachers who are taking a 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related studies at 3 junior colleges in the same region as abov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KMAI of child-car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stayed at a higher level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ublic, and day care teachers were higher than pre-service teachers in KMAI. In addition, the day care teachers who received the multi-culture-related teacher training session were found to be higher in KMAI than the teachers who didn’t, and even in case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group that completed the multi-culture-related education was found to be also higher in KMAI than the group that did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23-144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3.13.2.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 및 아동에게 발달에 적합한 색채교육 및 색채 환경을 마련해주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색채교육과정의 기본 틀을 제시해놓고 있으며, 발달단계별 유아와 아동의 색채표현 및 색채감각의 특징을 고려한 색채교육, 유?아동 개개의 색채심리가 반영된 색채 환경, 심리적 자유와 물리적 자유가 바탕을 이루는 개성과 자유가 존중된 색채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아동 색채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유?아동기 발달에 적합한 색채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동 색채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고찰, 색채교육과 관련된 현행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이해 등의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유?아동을 위한 색채교육과정의 개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색채교육과정의 개발안은 다음과 같다. 유?아동을 위한 색채교육과정의 목적은 다양한 색채 활동을 통해 유?아동의 정서발달, 인지발달, 창의성 발달을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발달시켜 조화로운 인격체로서의 인간을 기르는 데 있으며, 색채교육과정의 내용범주는 색 속성, 색 인지, 색 감성, 색 연상, 색 구성, 색 통합 등의 여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lor education for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To meet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firmed by the following three issues. : (1)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lor education, (2) study of previous research on color education, (3) the study of National Curriculum related to the color education. The goal of the curriculum for color education would achieve the emotion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creativity development for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content categories of the curriculum for color education were composed of color property. color cognition, color emotion, color image, color design, and color integration. And the each of these content categories were included the content area 7-8.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403-434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3.13.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서양문화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한국의 관계문화, 특히 부모-자녀관계 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의 특성을 밝히고, 동시에 이제까지의 이들 연구에서 문제점은 없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또한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가족문화 가운데 앞으로 부모-자녀 관계 연구에는 어떤 연구가 필요한지를 제안하고자 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이제까지의 부모-자녀관계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그 연구동향을 5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다.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나 양육행동과 자녀의 사회 정서적 능력과 관련된 연구,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의 형성에 미치는 연구,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기 효능감이나 성취동기와 관련된 연구, 자녀의 성역할과 관련된 연구,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문화와 부모 자녀관계 및 사회, 정서발달에 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금후는 한국의 부모-자녀관계는 서구의 개별적, 독립적 관계와는 달리 자식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더욱 친밀하고 결속력이 강하기 때문에 한국 문화에 맞게 만들어진 새로운 한국적인 척도를 사용하여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iew the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es of family rel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ent-child relations. To obtain this goal, I investigated the traditional many researchers that is related to the parent-child relations, and I suggested a wen research paradigm on the parent-child relations. According to making analysis of traditional researchers that is related to the parent-child relations, I can to make classify 6-types of researchers on the parent-child relations, as fellow. 1)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upbringing and children’s social skill, 2) the effects of mother’s upbring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concept, 3)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upbringing and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4) a study on the children’s sex role, 5) a study on the adolesce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 in the digital age, 6) a study on the traditional the parent-child rel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95-110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7.7.1.004서지정보 닫기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al representation of child rearing practice in Korean society. Here social representation is, as the form of cultural expression in one society, the value and model used for the definition of children who have important status in the society. In this perspective we have analyzed traditional child rearing practice by historico-ethnological approach. The traditional child rearing practice is sequence of behavior so commonly used by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so thoroughly intergrated into the lager culture. Although at the group level these customs can be seen as adaptions to the larger environment or ways of coping with developmental issues, they are more likely to be regarded by members of culture as the "reasonable" or "natural" things to do. As such, they also are behavioral strategies for dealing with children of particular ages, in the context of particular environmental constraints.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children have been shaped very attentively even from uterus according to social demand. This conception remains to these days but with little atten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249-26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4.4.2.014서지정보 닫기
  • 관혼상제로 대표되는 전통의례 중 제례교육과 관련하여 설·추석 명절은 매년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전통의례로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민족 대 명절이다. 유아기 명절차례 교육은 단지 전통사회 문화를 배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대에 맞는 새로운 가치창조를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설·추석 명절을 세시풍속의 하나로 국한시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단편적 민속놀이 형태로 다루고 있어 민족문화로서의 교육적 의미 전달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족문화로서 전통의례 중 명절차례 교육의 가치를 고취시키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전통문화 교수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교사 384명을 대상으로 전통의례와 명절차례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유아교사의 전통의례 교육에 대한 관심은 보통의 수준이었고 연구 대상 교사들 중 63%가 전통의례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둘째, 명절차례 교육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 경력 교사들이 명절차례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셋째, 명절차례 교육의 실태는 낮았고, 대학원 이상의 학력교사들과 5년 이상 경력 교사들의 명절차례 교육 실태가 높게 나타났다.

    Lunar New Year's and Chuseok are annual holidays that involve important cultural traditions of Korean Society. Education of ancestral rites during early childhood does not only teach customs of traditional society but provide opportunity to learn novel values appropriate to our era. However, education of ancestral rites is limited to folk plays in current education institutions and can only have fragmented educational significanc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ed 384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various kindergartens and nurseries to determine how they perceive and practice education of ancestral ri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moderate interest in education of ancestral rites but did not carry out this education in the field. Second, while awareness of ancestral rites education was high among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5 years longer work experience demonstrated higher interest in education of ancestral rites. Third, while practice of educating ancestral rites was low, teachers with more graduate education and 5 years work experience more likely practiced education of ancestral rit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291-314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2.12.4.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만 20~80대의 세대별로 유아기에 즐겼던 놀이의 다양한 내용과 방법들을 조사하여 한국 유아기의 놀이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유아기 놀이의 연령별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만 70∼80대(1924∼1943년 출생)의 놀이에서는 땅과 자연으로 하는 놀이, 먹을거리와 함께 발전하는 놀이, 자연과 일상으로 놀잇감 만들기와 같은 특성을 보였다. 둘째, 만 50∼60대(1944∼1963년 출생)의 놀이는 전쟁을 소재로 한 놀이, 논과 밭에서의 놀이, 운동 형식이 있는 놀이와 같은 특성을 보였다. 셋째, 만 30∼40대(1964∼1983년 출생)의 놀이는 이름이 있는 놀이, 아지트에서의 놀이, 가족과 동네에서 전수받은 놀이와 같은 특성을 보였다. 넷째, 만 20대(1984∼1993년 출생)의 놀이는 가족에게서 전수받은 놀이, 상품화 및 기계화 된 놀이, 유아교육기관과 실내에서의 놀이와 같은 특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한국 유아기 놀이의 변화를 살펴보면,‘놀이장소가 자연에서 실내로 바뀌다’,‘함께하는 놀이에서 혼자 하는 놀이로 바뀌다’,‘일상생활의 놀이에서 구조화된 놀이로 바뀌다’,‘가정과 자연에서의 놀이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로 바뀌다’의 놀이 변화 특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유아기 놀이의 시사점을 살펴보면,‘놀이대상은 공동체와 함께하는 놀이로’,‘놀이내용은 의식주 생활과 관련된 놀이로’,‘놀이방법은 교류와 움직임이 있는 놀이로’,‘놀이환경은 자연 속에서 찾아가는 놀이로’가 유아기 놀이의 시사점으로 나타났다.

    And so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period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lay culture by surveying the various contents and methods of early childhood games enjoyed by 7 different generations; people in their 20s 30s, 40s, 50s, 60s, 70s and 80s. Also, we will explore how the games’characteristics changed throughout generations, and check where this culture is heading. The result of the study above is the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arly childhood plays according to generations are: 1. The plays of people in their 70-80s(born 1924-1943) showed characteristics of games using earth and nature, games advancing by using edible materials, and making toys out of nature and everyday life. 2. The plays of people in their 50-60s(born 1944-1963) showed characteristics of war-related games, games possible in farmlands, and games in athletic forms. 3. The plays of people in their 30-40s(born 1964-1983) showed characteristics of games with specific names, games using hideouts, and games taught by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4. The plays of people in their 20s(born 1984-1993) showed characteristics of games taught by family members, games that had been commercialized and mechanized, and games conducted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nd indoors. Next, when we looked into the changes of Korean early childhood plays, there wer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such as:‘playground changed from nature to indoors,’ ‘sociable play to solitary play,’‘everyday life games to structured games,’and‘in home and nature to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Lastly, looking in to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plays of Korea, we discovered that‘children should play all together as a community,’‘contents should be related with everyday life,’‘methods should be interactive and with activity,’‘environment should be in nature, discovering new thing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263-293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5.15.2.001서지정보 닫기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ing cycle of children, and the teacher"s style of interacting of learning cycle. In the present study, the interacting styles of 20 teacher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for an hour per one person in the free-play time. According to those data,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were assessed with Gardner"s eight interaction pattern and learning cycle of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Utilization" was observed most among learning cycles of children. "Inquiry" and "awareness" followed that. "Exploration" was found least. 2. "Acknowledge" was used most for the interacting styles of teachers, and in amount "model", "facilitate" and "scaffold" went after that in. 3. Teachers used the most efficient teaching style differently in stage of learning cycle for children to get knowledge in active. The teacher used "demonstrate" most in awareness. "facilitate" in exploration, model in inquiry, "acknowledge" in utilization was used much for teacher"s interaction styl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27-140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3.3.1.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멘토링을 통해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에게 전공에 대한 관심과 학습의욕을 지원하려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육과 1학년 23명의 멘티와 유아교육과 졸업생 5명의 멘토이다. 연구는 약 6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멘티와 멘토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멘티와 멘토의 저널, 멘티의 참여일지와 멘토의 지도일지, 협의회와 면담자료, e-메일 등이며,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멘티는 친밀함과 유대감으로 마음트기, 맞춤형 조언자, 생동감있는 현장체험, 전공에 대한 이해와 높아진 학습동기, 역할모델로서의 선배라는 의미를 경험하였다. 반면 멘토는 멘토역할에 대한 부담과 자부심, 경험을 바탕으로 지원자 되어주기, 멘토간 새로운 관계형성과 재충전의 기회를 경험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선배와의 멘토링은 학습동기뿐 아니라 대학생활의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있으므로 멘토링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the interest and learning motiv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reshmen to their majors through mentoring. The participants were 23 freshmen and 5 graduat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The study was conducted for six months and explored the mentee and mentor's experience during mentoring.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mentee and mentor's journal, mentee's participation journal, mentor's teaching journal, interview, and e-mai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rough the mentoring mentees experienced many things: mind daylight through intimacy and bond, custom adviser, vivid work experience, understanding and high learning motivation to major, the meaning of senior as a role model. Mentors, on the other hand, not only felt burden and self-confidence about the role as a mentor, but also experienced the role as mentee's supporter and the opportunity of recharge for new relationships between mentors. Mentoring with seniors revealed to affect positive effects on mentee's learning motivation and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needs for expansion on mentoring based on their experien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269-289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2.12.4.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음악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과 포트폴리오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40명의 예비교사이며, 이들에게 15주간의 학습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음악 수업을 적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남미아, 2000; 방은영, 박찬옥, 2005; 손유진, 황해익, 2004; 안진경, 2011; 홍난숙, 2000)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한 질문지와 반성적 저널쓰기가 사용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두 종속 표본 t검증과 주제별 약호화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학습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음악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고, 예비유아교사의 포트폴리오 인식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music classes with the learning portfolio affect on the music teaching efficacy and portfolio recogni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department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y were applied the 15-week-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the learning portfolio. The major research tool was the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made properl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Ahn, 2011; Bang, Park, 2005; Hong, 2000; Nam, 2000; Sohn, Hwang, 2004), having been referred from the preceding research. In addition, the reflective journal writing activity was also used for the research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pendent sample t-test and encoding subjec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sic classes with the learning portfolio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econd, music classes with the learning portfolio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nhancement of the preservice teachers' portfolio recogni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241-26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5.15.2.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충동성, 또래관계, 부모 양육태도를 변인으로 선정하여 그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대구시내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3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충동성, 부모 양육태도, 또래관계를 인터넷 게임중독의 원인변인으로 선정하고, 각 변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개의 측정모델과 1개의 구조모델이 존재하는 구조회귀모델을 설정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AMOS 17.0을 사용 하였다. 연구 결과 학령기 아동의 충동성과 또래관계는 인터넷 게임중독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부모 양육태도는 학령기 아동의 충동성과 또래관계에는 직접효과를 미치고, 인터넷 게임중독에는 또래관계를 통해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충동성은 또래관계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choolage children's impulsiveness, peer relationship an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6 fifth grade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Daegu city. Children's impulsiveness, peer relationship an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s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s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17.0,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stimate the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First, it was found that children's impulsiveness, peer relationship was found to affect internet game addiction directly. Second, parenting attitude haven't direct effect on internet game addiction, while having indirect on internet game addiction through peer relationship. Third, children's impulsiveness haven't direct effect on peer relationship. To sum up, internet game addic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impulsiveness, peer relationship and to have a indirect effect on parenting attitud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49-16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0.10.3.002서지정보 닫기


  •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attempting to introduce assistante maternelle system for the plan of activation of care and education of infant/toddler. It is very suggestive to investigate the qualification criterion, procedure, control and support method of assistante matemelle with a focus on the cases of the foreign countries adopting assistante matemell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istante maternelle that French, in which the public care and education system of infant/toddler was well established and adopting the joint childcare type, was institutionally conducting. This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matters : first, what efforts French had made to activate assistante maternelle system ; Second, the method and degree of government support of the childcare expenses, Third, the criterion and procedure for the qualification of assistante maternelle, Fourth,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rench family welfare policy as well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assistante maternelle till its emerge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suggestive points that the French assistante maternelle system could guide the care & education of infant/toddler system in Korea.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89-20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2.2.1.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하여 보육시설에서의 식품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표준보육과정'의'기본생활영역'을 중심으로 교사와 유아에게 건강하고, 위생적이고, 안전한 생활을 위해 가져야 될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탐색, 교수목표를 설정하고, 보육관련 전문가의 조언 을 얻고, 활동을 구성하고, 관련 교수매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하여 보육시설에서의 식품안전교육의 내용, 범위와 방법을 구성하고, 주제에 따른 식품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미생물(박테리아), 2) 식중독, 3) 개인위생, 4) 식품첨가물, 5) 부정ㆍ불량식품 식별요령, 6) 식품 및 식기 취급, 7) 환경호르몬 등을 영역으로 구성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 교육내용, 활동목표, 활동명, 활동유형, 그리고 활동자료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food safety education for teachers of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to improve their ability. The program provided teacher and children with information on how to take care of their food safety. This program development was based on a 'Standard Educare Curriculum'. The process included review of literature, setting an instrutional goal, getting advice from various experts, designing instruction, and instructional media. The products of this program were the teacher's guide book. This guide book included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These programs provided a systematic content of food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ir teachers, and useful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child care centers. For the practical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s, the diverse subjects of food safety education and related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for child care, and furthermore the audio-visual materials matched with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 would be produc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83-101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7.7.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2세 영아보육프로그램」의 미술 관련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2세 영아보육프로그램」, 총 3권에 제시된 73개의 미술 관련 활동으로 미술 내용, 미술 표현유형, 미술 표현재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내용은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 중 ‘예술적 표현하기’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표현유형별 분포는 평면표현이 입체표현 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표현재료별 분포는 평면활동에서의 바탕재료는 종이류, 채색재료는 물감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입체활동에서의 재료는 인공재료, 자연재료, 재활용재료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2세 영아보육프로그램」내용에 대한 개선방안과 조화롭고 균형 있는 영아 미술활동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t-related activity of 「2-year-old infant & toddler care program」 based on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The subject to be analyzed were 73 art-related activities presented in a total of 3 books in「2-year-old infant & toddler care program」. With regard to basis for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art contents, art expression type and art expression material of art experience area in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n analysis was made. The activities were data processed into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contents of art experience area, ‘artistically expressing'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with regard to distribution according to expression type, 2-dimensional expression was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3-dimensional expression. Third, with regard to distribution according to expression materials, in 2-dimensional activity, paper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support materials, and color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coloring materials. In 3-dimensional activity, artificial materia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being followed by natural material and recycled material.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a scheme for improving the contents of「2-year-old infant & toddler care program」and harmonious and balanced infant and toddler art activity was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55-175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6.16.2.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과정에서 유아의 자기평가가 가지는 교육적 의미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프로젝트 중심교육과정에서 유아의 발달 평가에 적용시켜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법에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는 사랑어린이집 누리반을 선정하여 유아들의 강점을 활용한 프로젝트 실제와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포트폴리오 평가에서의 과정적 현상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질적 단일 사례연구의 구조 하에서 총 1년 7개월 동안 만 4,5세 누리반 유아 26명을 참여 관찰하였고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를 내용 분석하였으며 2명의 담임교사와 부모와의 심층면담 그리고 문서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첫째, 다양한 자기평가와 부모의 직접적 평가참여 방법을 적용하는 누리반의 포트폴리오 평가체제에서 유아들은 창의성 즉 ‘창의적 생산성 발현’이 주도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계속된 자기반성과 반영은 유아들의 반성적 사고를 이끌게 하여 이를 통한 메타인지 능력, 즉 ‘앎을 더 알게 하는 사고전략’이 나타났고 계속된 평가과정을 통해 차츰 발전됨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몰입에서 드러나는 자신의 강점을 탐색하고 평가하면서 유아는 능동적인 활동의 참여와 주도적인 학습자가 되어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 즉 ‘자기-활동의 플로우’에 빠지게 됨을 살필 수 있었다. 넷째, ‘긍정적 자기-가치성 부여’로 유아는 부모의 평가참여에 따른 관심과 칭찬의 증대, 그리고 자기반성의 기회를 부여하는 교사와의 긴밀한 상호작용으로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강한 성취감과 자신감을 표명하게 되어 스스로에게 가치 부여를 함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방법적 다양성을 지닌 누리반의 포트폴리오 평가는 유아들의 사고와 학습을 확장시키는 도구로서 미래 사회의 적응력을 위한 창의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 그리고 정의적 발달과 자발적 학습태도를 자극하는 교육적 효과를 가진다는데 의미가 있다.

    B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re-schoolers’ self-assessment in the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and in a project-based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educational effects of an alternative assessment. To this end, pre-schoolers in Nuri class at Sarang Day Care Center were chosen for applying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o the project approach, in order to determine the actual project that utilizes the strengths of the pre-schoolers as well as the continuous and integrated process phenomena of the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Over a period of one year and seven months, 26 children in Nuri class aged 4 to 5 were studied in participation observation in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The portfolio assessment data was analyzed;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made possible by in-depth interviews with two teachers and parents and document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Children’s creativity, in other words, "the expression of creative production", appeared dominantly under an assessment system that applied diverse methods of self-assessment and direct parental participation. The second, the continuous self-assessment and reflection encouraged children to adopt reflective thinking and thereby display their meta-cognition, that is, their “thinking strategies that promote knowledge of knowledge”;the continuous assessment process even showed the gradual development. The third, By exploring and assessing his strengths revealed through immersion, the preschooler―through active participation―became an active learner that took the lead in learning, absorbed in the “flow of self-activities.”The fourth, That is to say, as a result of being invested with "positive self-worth through increased interest and compliments", as well as intimate interaction with teachers who provided opportunities for self-assessment, the preschooler came to express a strong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which led to greater self-worth. In conclusion, the diverse methods of portfolio assessment had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by stimulating their future-oriented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s well as emotional development and active learning attitud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329-353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3.13.3.008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