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영유아보육학-]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883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일본의 아동관은 아동이 건강하게 놀이를 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여 아동의 심신 건강을 증진하고, 정서를 풍부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최근 일본의 아동관은 기존 아동건전육성의 기능에서 나아가 지역사회의 자녀양육지원욕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자녀양육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동관의 자녀양육지원네트워크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牧理每治의 네트워크의 3원칙인 ‘협동성의 원칙’, ‘개인존중(다두성)의 원칙’, ‘개방성의 원칙’에 따라 검토하였다. 아동관의 자녀양육네트워크의 특성은 ‘협동성의 원칙’에서는 협력을 통한 상부상조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개인존중(다두성)의 원칙’에서는 누구라도 주체자로서 참여하며 참여자의 성장이 강조되고 있다. ‘개방성의 원칙’에서는 자유로운 참여와 유동성이 강조되고 있다.

    Children`s Centers in Japan is a facility which aims to enrich the emotions, and promot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children by providing the place for children to play healthy. Previously healthy upbringing of children, but the children's Centers in Japan recently are trying to activate of parenting agencies and a network in order to respond efficiently Child-raising Assistance needs of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s Centers of a network of Child-raising,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rinciples of Cooperativity',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individuals', 'the principles of openness'. 'the principles of Cooperativity' is emphasized the functions of mutual suppor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individuals'is emphasized Anyone participated as organizers and the growth of participation. 'The principles of openness' is emphasized the free participation and liquid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53-178
    * DOI :
    * UCI : G704-000724.2013..83.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영아자녀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및 양육 지원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연구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1,283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어머니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과 교차검증(chi-square test), 차이 검증(t-test)을 실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영아자녀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및 양육 지원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영아의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 연령, 영아 양육 지출과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하위변인 중 도구적 가치, 이상 자녀수, 양육 지원 하위변인 중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on additional birth plan.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1,283 mothers of infants using data of the 2008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Mothers were subjected to mother-report and interview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on topics on additional birth pla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In the aspe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ants' birth order, mothers' age, and expenditure for a new baby showed difference in child birth plan significantly. Also, the more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were higher, the more probability for additional birth plan was increased. Seco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dditional birth plan. In terms of relative relevance, infants' birth order and mothers' age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Third,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on additional birth plan was examined in several phas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e most powerful as well as independent affecting additional birth plan. In conclu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would be also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additional birth plan besid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us, for encouraging child birth, it would be wiser to investigate more about mothers' recognition and acknowledgment about child birth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condition of both mothers' micro and macro environment simultaneous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31
    * DOI :
    * UCI : G704-000724.2012..70.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을 재조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속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원감, 담임교사 및 부담임 교사, 원감, 실습학생, 학부형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정 이론에서 출발한 교육과정 모델과는 달리 유치원 현장에서의 교수법 개선을 위한 풀뿌리 운동으로써의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은, 말 그대로의 내면적인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서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부터 주제 활동을 진행하는 전 과정에서 유아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유치원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하는 즐거움을 누리고 있는 교육과정이었다. 한편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문제와 교육과정 개선운동에 대한 쉼 없는 투자, 그리고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을 널리 알리는데 따른 어려움 등은 과제로 남겨져 있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reconside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e thematic unit approach in the kindergarten in the Cung Ang University. Researcher interview with Vice-director, teacher, substitute teacher, student teacher, and parents to collect data and analyzed to find meaningful results. Integrated curriculum with thematic unit is not typical theory model, but the implementation movement of instruction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kindergarten. With integration, subject areas are meaningful and natural. The thematic unit is integrated with a variety of subjects. The teachers find on a subject and provide activities that are creative and interesting around the topic. Moreover, it would be roots move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skills which focus on thematic unit children discussed and select with teacher to develop programs. Integrated curriculum seeks to have particular characteristics. Teachers need to listen what children are talking and share a joy with them in classroom. These activities may be fun for children. Children who are invited to participate and collaborate to this approach select the topic to develop thematic unit and foster the development of important concepts and skills. Additionally, there are still several barriers to overcome to succeed this integrated activity. First, we need to develop the successive program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lementary education. Second, we need to be investing most of time in thoughtful topics and themes and a budget more to implement curriculum. An integrated curriculum requires a fully committed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parents who value and understand and support approach. Finally, we need to allow ourselves time for continuous reflection and challenging to implement and develop meaningful integrated curriculu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1-46
    * DOI :
    * UCI : G704-000724.2005..40.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후속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 만 5세 유치원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등장인물에 대한 일기, 편지쓰기, 신문/광고 만들기, 자서전 꾸미기, 등장인물 단평, 가상하기의 후속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일반 이야기나누기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후속활동 집단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중 창의적 표현을 제외한 단어 수, 문장 수, 내용일치, 내용연계 능력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후속활동 집단이 유아의 정서지능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즉,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후속 활동은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ollow-up activities through fantasy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five-year-old children, specifically, 25 students at 'J' kindergarten (the experiment group) and 25 students at 'B' kindergarten (the comparison group) in G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 and the comparison groups.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follow-up activities through fantasy picture books can improve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59-79
    * DOI :
    * UCI : G704-000724.2011..69.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환경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 학술지 연구를 비교분석하여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첫째, 연도별 경향에서 환경유아교육은 2014년에, 생태유아교육은 2011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경향은 환경유아교육에서는 유아, 프로그램, 이론, 현직교사의 순, 생태유아교육에서는 유아, 이론, 현직교사, 프로그램, 예비교사,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별 경향은 공통적으로 유아발달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별 경향은 환경유아교육은 양적연구, 문헌연구, 질적연구 순, 생태유아교육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통합연구 순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비슷한 개념이 혼재되어 있던 두 교육의 연구경향을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부모교육의 부족, 양적연구의 편중 등을 제시하여 환경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 연구의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 articles on environment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logical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search trend in environmental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the articles in this field were published in 2014.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were presented in 2011. Second, regarding the trend in subjects, preschoolers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in the articles. Third, concerning a trend in theme, preschooler development was the most dominant theme in the articles of both fields. Fourth, as for the trend in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revalent method used in the studie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and common denominators among research trends, which were different in the beginning yet similar in part,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 education was not covered very much, and that quantitative research was overly prevalent. In addition, it suggests some directions for teacher education, parent education and related national polic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1-44
    * DOI :
    * UCI : G704-000724.2015..94.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시설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요구되는 보육교사의 자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월 2주~3월 4주로 총 12주 동안 4~10년의 시설장 경력을 지닌 시설장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내용은 모두 녹음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설장들은 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전문적 자질로 영유아에 대한 애정과 반응성,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융통성과 문제해결력, 부모관리, 행정 및 업무의 공적 접근을 나타내었다. 둘째, 시설장들은 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개인적 자질로 동기부여와 기꺼이 배우고 실행하려는 자세, 좋은 인성과 인간관계, 성숙된 태도와 행동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qualif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is required in the field of child-care centers. For this study, from January to March, 2012 is seven director with 4-10 years careers of child-care centers were interviewed. All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qualifications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teaching competences. For example, love and responsiveness for children, ability of planning and ㅉ4the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basic administrative skills. Second, the qualifications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attitudes including self-directed attitude, willing to study, good personality, human relationship, and matured attitud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51-178
    * DOI :
    * UCI : G704-000724.2013..77.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 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에 위치한 보육시설에 재원 중인 유아 28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에 대해서는 또래와의 관계, 자기통제, 그리고 자기정서의 이용이 첨가되므로 그 영향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ubjects in this study of young children's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in relation to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286 3- to 5-year-old children in Kangwon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using the SPSS Computer program, The major of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young children's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xplained by "relationship skill with peers",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in sub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and "self-assertion" in sub area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95-213
    * DOI :
    * UCI : G704-000724.2008..55.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목표 중 ‘수업목표’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설정되고 수업에 적용되는지 알아보고,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매개로 수업목표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실행과 수업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햇빛유치원의 교사 5명을 대상으로, 6주간 실시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의 수업목표 설정방법은 ‘교육이론’, ‘발달수준’, ‘주제’, ‘시기’, ‘동료 교사’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방법이었다. 둘째, 교사들의 수업목표 개선을 위한 실행과정은, ‘신교육목표분류학의 소개와 적용가능성’ 논의, ‘개선을 위한 적용의 시작’, ‘다양한 적용방법 개발과 적용’, ‘개선의 지속과 미래를 위한 종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수업목표에 대한 반성적 논의는 장학의 역할과 교사의 반성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 수업목표의 역할에 대한 재고해볼 여지를 주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s of instructional goal setting, which belonged to educational objectiv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methods of attaining selected goals.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utilized to shed light on their reflective attainment of instructional goals and the process of their impro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as for the ways of instructional goal setting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unshine Kindergarten, they set instructional goals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theories, the developmental level of preschoolers, the selected theme, time period and fellow teachers. And they reflected on their practices of setting goals without taking evaluation into account. Second, concerning the ways of improving instructional goals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had a discussion about the feasibility of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fter they were explained about that. In the next stage of acting, the teachers started to apply it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activities, to use questioning, to make a program evaluation and to offer differentiated guidance customized to the level of preschoolers. Thus, they got to set their instructional goals in a more productive manner. In the final stage of sustainable improvement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they produced new evaluation tools by taking their selected goals into consideration, and carefully thought of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which they particip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some implications: First, having a reflective discussion on instructional goal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of supervis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is study provided diverse perspectives about the roles of instructional goals. Third, this study found that having a discussion on instructional goal setting and its attainment c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o achieve a reflective growt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77-106
    * DOI :
    * UCI : G704-000724.2012..70.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해외귀국 유아의 적응문제를 보육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다문화가정 유아와의 비교를 통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이런 인식이 보육교사의 다문화 보육경험, 다문화 보육효능감 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675명을 대상으로 귀국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예상 적응수준에 대한 기대치를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귀국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기대치 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 보육경험이 있는 보육교사는 경험이 없는 보육교사에 비해 다문화가정 유아보다 귀국 유아의 적응수준을 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 보육효능감이 강한 보육교사일수록 유아의 적응수준을 높게 평가하였다. 이 결과는 보육교사들은 다문화 보육 문제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국적이나 인종의 차이가 아니라, 타문화에 대한 경험의 차이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여기에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보육경험이나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인지가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daption of children returning from abroad by focusing on a comparison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fulfill this aim,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a survey of 657 teachers. The teachers were asked about their expectations regarding the adapting ability (i.e., the adapting abilities of languag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group activity participation, following of social norms, 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who returned from abroad. Also,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a survey of children who returned from abroad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show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returning from abroad and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oreover, teachers who have more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 childcare tend to underestimate the adapting ability of children who returned from abroad compared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lso, the mor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childcare, the higher she tends to estimate children’s adapting ability in general. These results show tha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childcare are not regarding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children’s nationality or race, but rather about whether teachers have experience with foreign cultures. Also, through this study, it has become more obvious that teachers’ efficacy and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 childcare play a critical role in dealing with problems in multicultural childc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3
    * DOI :
    * UCI : G704-000724.2015..91.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러시아에서 A국제학교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들의 삶을 직?간접적으로 함께한 어머니의 인식을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국제학교 유치원의 교육적 특성과 가치를 발견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러시아의 A국제학교 유치원에 유아기 자녀를 보낸 경험이 있는 한국인 어머니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이 인식한 A국제학교 유치원의 교육적 특성은 부모참여의 당연성, 실제적 경험교육 지향, 능동적 주체로서의 유아, 다름과 차이의 존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이 인식한 A국제학교 유치원의 교육적 가치는 세계에 대한 예의 ‘배려’, 공존을 위한 ‘다양성’, 가능성으로 이끄는 힘 ‘주도성’, 공동체 유지의 기본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국제학교 유치원 교육을 이해하고 국제학교 유치원 교육에 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의 공급자인 교사, 유치원, 정부가 교육의 수요자인 어머니의 시각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보다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s to fi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an international school kindergart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South Korean mothers living abroad. Nine mothers with children at an international school in Russia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t Y international school were natural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pursuit of practical experience education, infant as an active identity, and respect for difference and deviation. The educational values of mothers at Y international school mothers were consideration for the world, diversity for coexistence, the initiative leading to the possibility and responsibility to maintain a community. These characteristics and values can only be applied to an international school kindergarten an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an international school kindergarten through detailed stories.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teachers, kindergartens and the government provide better and high quality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insights of mothers as potential consum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01-12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가 같은 주제의 한국화와 서양화의 비교감상활동에 따른 유아의 미적 반응과 그림변화는 어떠한 지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W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이며, 남?여아 각 8명씩 모두 16이고, 연구 기간은 2019년 4월 15일∼6월 8일까지 총 10회에 걸쳐 한국화와 서양화의 비교감상활동을 실시하고,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한국화와 서양화의 비교감상활동에서 유아들은 한국화와 서양화에 대한 그림 이미지를 비교하고, 두 명화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여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화와 서양화의 비교감상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그림 변화는 비교감상활동 후 그림내용이 구체적이고, 정교한 선, 다양한 색상 및 적절한 공간 구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화와 서양화의 교수단계에 따른 비교감상활동이 유아미술 감상지도를 위한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and changes of the paintings through the comparison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6 five-year-old children from a public kindergarten in W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10 times from April 15th to June 8th, 2019.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young children compared their images of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and the children’s interactions discover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and Western ones. Second, the changes in the paintings of young children were more specific and showed more elaborated lines, various colors and proper space posi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parative appreciation activities can be a new way of teaching art appreciation for young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45-6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가 같은 주제의 한국화와 서양화를 대조적으로 보고 느낀 점을 자유롭게 이야기 나누는 감상활동과 통합한 미술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W시에 소재한 2개 공립유치원의 만 5세반 각각 1학급 유아 20명씩으로 총 40명(남 19명, 여 21명)으로 그 중 1학급은 실험집단, 나머지 학급은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 교사는 한국화와 서양화의 비교감상과 통합한 미술표현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반면 비교집단 교사는 감상활동 없이 표현 위주의 전통적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독립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화와 서양화의 비교감상과 통합한 미술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구성 요소인 자기인식 능력, 자기조절 능력, 타인인식 능력, 타인조절 능력의 증진과 미술표현력의 구성 요소인 색, 형태, 공간구도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effects integrated art activities with art appreciation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and Western paintings under the same theme have on developi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rtistic expression.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1. Will integrated art activities through comparison of appreciation betwee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improv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2. Will integrated art activities through comparison of appreciation betwee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improve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While the experimental group did art activities with appreciating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and Western paintings through comparison, the control group did just art activities without appreci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tegrated art activities with art appreciation through comparing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and Western paintings, are shown to have effects o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awareness of self emotion, management of self emotion, emotional awareness of others, emotional management of others, and artistic expressions such as color, shape and space composi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4
    * DOI :
    * UCI : G704-000724.2013..81.002서지정보 닫기
  • 최근 보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수준 표준보육과정 개발의 이념적 기초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표준보육과정의 법적근거 및 개발과정, 표준보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표준보육과정의 성격, 영역 및 내용,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등 표준보육과정 현황을 소개한 후 이에 따른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표준보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로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지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사회적 통합과 연대 및 공동체 의식 강조, 보육대상별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재설정, 발달특성 중심에서 복지욕구, 지역 및 계층특성, 사회적 필요성을 추가, 보호 측면 강조, 연령의 세분화,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이원화, 영유아 중심의 운영과 이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 강화, 표준보육과정 실천을 위한 교수방법 및 활동방법 제시, 보육내용을 1, 2, 3수준을 0-5세로 구분, 표준보육과정 이행 여부 점검 및 평가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Since quality of child-care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ed to reform task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legal foundation, developmental process, goals and content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1) promoting, 2) emphasizing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ty spirit, 3) resetting the child care goal according to subject of child care, 4) adding need for social welfar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or class, social need, 5) emphasizing dimension of care, 6) age-segmentation, 7) dualization of goal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nd those of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8) child-oriented operation, 9) facilitating of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10) guiding teaching metho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9-37
    * DOI :
    * UCI : G704-000724.2010..60.001서지정보 닫기
  • 본고는 우리나라 저출산 현상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에 대비한 미래의 유아보육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우리나라 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사회 적합도’, ‘미래사회 예측도,’ 그리고 ‘출산가정 체감도’ 세 변수를 종합한 저출산 영향도라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미래의 저출산 정책의 올바른 방향제시를 위해 주요 국가들의 유아교육?보육 정책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아보육 정책에 대한 시사점과 두 가지 가족정책, 즉 출산/육아 휴가 분야와 아동보육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차후에는, 본고에서 개념화한 저출산 영향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량적 요인분석의 변수들이 개발과 더불어 여성들의 사회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출산/육아 및 아동보육 지원책들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discusses on the causes of continuing low-fertility rate of Korean society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s of child-care policies. To do this,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several normally suggested causes of low-fertility rate by contemplating how each of the causes i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s in Korea. Having done this,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contributing factors on low-fertility rate, which consist of fitness to Korean society, predictability of future society, and sensibility to familie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this paper, then, analyzes the child-care policies of developed countries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ose policies on our ow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69-95
    * DOI :
    * UCI : G704-000724.2014..85.005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보육이 보건복지부에서 여성부로 이관되면서 발생하는 재정지원체계를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논의한 것이다. 보육은 많은 가족에게 필요한 사회적 서비스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고, 이제는 공보육의 개념이 보편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현행의 재정지원체계, 특히 여성부로 이관되면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하였고, 문제해결을 위하여 아동복지의 원칙에 근거하여 정책적 함의, 특히 왜 보육은 아동과 부모의 권리에 근거하여 시행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전문성, 개발성, 보편성에 근거한 발전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and what kind of changing procedures has been undergo on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system to child care fields, and to find out how these procedures have influenced on today's child care practice by the means and significance based on 2005 fiscal year budget. This study also examined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are influencing present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whether the operations of present system are reasonably estimated and distributed or not.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discuss who holds the responsibilities to operate and support child care programs under the basic principles of child welfare concept.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implications to promote and improve successful child care services to th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rough more effective distribution of governmental support; the financial supporting system and child care service fees have to be based on the principles of child' and parents' right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universal concep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se systems have to develop functioning more effectively satisfying the child and their family. To distribute and estimate the financial assist has to be under the principle of professional and technical basis, because this researcher believes, like other researchers also agreed that the child care services are now in the hand of public responsibilities and then the governmental budget should be divided into balanced between welfare recipients and able famil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401-427
    * DOI :
    * UCI : G704-000724.2005..41.006서지정보 닫기
  • 최근 민간, 가정어린이집의 서비스 수준을 국공립어린이집 서비스 수준으로 끌어올려 공공성(publicness)을 강화하겠다는 ‘제3의 보육체계’가 지자체별로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민간어린이집의 준공영화가 보육의 공공성을 담보하고 보육서비스 질적 개선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표적으로 ‘제3의 보육체계’ 중 하나인 ‘서울형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질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울형어린이집은 완전한 국가개입하의 공공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보긴 어렵지만, 지배적인 민간보육시설의 보육서비스 질적 개선효과 및 향후 국가개입하의 공공성 담보 가능성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Local governments recently try to introduce ‘the third system of childcare’, which aims for enhancing the publicness of childcare. These are mainly carried out through the way giving publicity to private facilities, and then pursue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quality in those facilities like as the level in public childcare facilities. We will identify this change in private facilities as the term of ‘the third system of childcare’, which represents the semi-publicizations in childcare, since there should be the state intervention for service management. This research aims for analyzing whether those trials in private markets are effective in terms of service quality. ‘Seoul type childcare’ is currently mentioned as one representative example among those experiments. We there for evaluate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in ‘Seoul type childcare’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third system of childcare’.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assuring the publicness of childcare with the state intervention. However, there still exists a doubt to say that ‘Seoul type childcare’ ideally accomplish the publicness of childcare through complete state interven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07-137
    * DOI :
    * UCI : G704-000724.2011..69.014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383-420
    * DOI :
    * UCI : G704-000724.2002.31..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아교사와 독일유아교사가 갖는 교사 자신에 대한 교사이미지 평가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나라 교사의 교사이미지 평가와, 두 나라 교사간의 이미지 평가 경향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독일 중소도시에 있는 유아교사 98명과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2004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이미지 평가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분석결과 한국의 유아교사는 교사이미지의 6개요인 중 직업의식과 교사의 인성적 특성에 관한 요인의 이미지를 높게 지각하였고, 독일의 유아교사는 전문성 인식과 교양지식에 관한 요인의 이미지를 각각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독일 유아교사 간에 6개의 이미지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교사가 독일의 교사보다 전문적 기능 요인과 직업의식 요인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arly childhood teachers' evaluations of the "Teachers Image" which developed by Rue(1998). Participants are 98 Germ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06 Korean teachers working in Taejon City. The research was performed from August 2004 to December 2004 in German and Korea by mean of evaluation forms on the "Teacher Image". From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it was found that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conception on the categories that "job attitude" and "Teachers' personality". However German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conception on the categories that "conception on professionalism" and "knowledge on culture". Korean teachers show the high concept level on the categories that "professional skill" and "job attitude" than German teach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37-155
    * DOI :
    * UCI : G704-000724.2005..41.01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 전래동요의 노랫말 난이도 분석을 통해 보육교사가 전래동요 활동의 계획 시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전래동요를 선정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 아울러, 노랫말 난이도 교사 교육이 보육교사의 전래동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전래동요의 노랫말(구성형식, 어휘 수) 난이도는 어떠한가?2. 노랫말 난이도 교사 교육이 보육교사의 전래동요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한국 전래동요 112곡을 선별한 후 ‘노랫말 난이도 지수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노랫말 난이도를 검사하였다. 또한 보육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전래동요 난이도 지수 검사 결과에 관한 교사 교육을 실시하였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동요 노랫말의 난이도 검사 결과 구성형식과 어휘 수 난이도에서 Ⅰ, Ⅱ수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래동요의 노랫말 난이도 지수가 영유아에게 적합한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래동요와 관련된 교사 교수효능감 전체점수에 있어서 사전-사후검사 간의 차이는 38.15로 노랫말 난이도 분석에 따른 교육 실시 이후에 유의미한 점수 상승이 있었다(t=-13.37, p<.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difficulty in lyrics of Korea traditional nursery rhyme and to provide a guidelin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elect an appropriate level of nursery rhyme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for the planning of nursery rhyme singing activity. The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two questions. 1. What is the difficulty in lyrics of Korea traditional nursery rhyme?Firstly, what is the difficulty in lyrics factors(the number of vocabulary, a form of storytelling)?Secondly, what is the difficulty in lyrics overall?2. What is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 of the difficulty test in lyrics of Korea traditional nursery rhyme?This research analyzed 112 nursery rhymes which appropriate for children. To analyze the degree of difficulty in lyrics of nursery rhymes, Kim's DDICS(Degree of Difficulty Index for Children's Song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ly, The degree of difficulty in lyrics of groupⅡ is the highest one which is 42%, and it is followed by group Ⅰ and Ⅲ. It proves the difficulty in lyrics of nursery rhyme is appropriate for children, especially group Ⅰ has the 26% difficulty so it is suitable for infants. Secondly, it provide a guidelin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elect an appropriate level of nursery rhyme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for the planning of nursery rhym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7
    * DOI :
    * UCI : G704-000724.2011..69.009서지정보 닫기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children's folk psychology is being influenced by their own culture or not. For this, I compared behavior explanations of Korean children with those of American children, of age 7, 9, and 11, asking them to explain others' good and bad behaviors. The scheme of the internal-external categories was used to code children's respons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in the two cultures were different in behavior explanations with internal reasons. Less Korean children than American children explained others' behaviors with internal reasons. Developmentally, Korean 11Y children tended to use external explanations, in comparison to American 11Y children with internal explanations, for others' good behaviors. Moreover, when to explain specific situation offered by the researcher, the cultural differences were more evid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4
    * DOI :
    * UCI : G704-000724.2002.31..004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