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한부모가정의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부자-모자가정의 비교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Resiliency among Father-Headed Families and Mother-Headed Families

학교사회복지

2012, vol.23, no., pp.29~50(21 pages)

UCI : http://uci.or.kr/G704-SER000009000.2012.23..008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학교사회복지

강부자

(이화여자대학교); 김은혜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변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부자-모자가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학교사회복지 및 아동?청소년복지의 임상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패널데이터(KCYPS)의 1차년도 자료를 토대로 한부모가정 중학교 1학년생 청소년 총 284명(부자가정 123명, 모자가정 16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 적응관계에 있어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지 못했지만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모자가정에서는 ‘양육태도→자아존중감’, ‘양육태도→학교생활적응’ 경로가 유의미한 반면 부자가정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아 부자가정과 모자가정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양육태도→자아탄력성→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부자가정 청소년의 간접효과가 모자가정보다는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 및 아동청소년복지의 함의를 논하였다.


The study aims to test mediating roles of self esteem and 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hile comparing differences in predictive factors between father headed families and mother headed families so as to find implications for school social work and child/youth welfar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t used '2010 Korea Child and Youth Panel Data (KCYPS)'. Overall 284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who have been raised in a single-parent family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123 from father-headed families and 161 from mother-headed famil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of all, self esteem didn'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hereas resiliency did. Second,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 testing mediating effects of self esteem and resiliency, different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youths in father-headed families and mother-headed families. That is, although total effects were almost same between two groups,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y were larger among youth from father-headed families while parenting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self 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youth in mother-headed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discussed implication for school social work as well as child/youth welfare.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