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한국인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

Health Status and Early Retirement among Korean Middle-aged and elderly

한국노년학

2013, vol.33, no.2, pp.397~418(21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573.2013.33.2.016

한국노년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노년학

우혜경

(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6년과 2008년에구축된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패널조사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2006년 조사시점에 취업자였던 45세부터58세까지의 중.고령자 총 2,16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기은퇴자는 2006년 조사시점의 일자리에서 은퇴하고, 더 이상 일을 할 의사가 전혀 없는 58세 이하의 대상자로 정의하였다. 건강은 주관적 건강상태, 장애, 만성질환, 활동제한 및 우울증 등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였고, 조사시점 사이의 건강의 변화여부를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추적기간 동안 총 88명이 조기은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노동이탈이나 은퇴의 결정요인으로 대부분 분석되었던 경제적 수준, 교육수준, 가족유형, 그리고 거주지역이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육체노동자인 경우 불안정한 경력이동을 경험할가능성이 높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조기은퇴 할 확률이 매우 높았다. 한편, 건강을 다양한 수준으로 측정하기위해 활용되었던 건강지표 중에서 주관적 건강, 장애, 만성질환, 활동제한, 우울은 조기은퇴의 직접적인 건강결정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강사유에 의한 비자발적 은퇴상황은 고령자 개인차원에서 소득상실뿐만 아니라, 의료비용까지 감당해야 하는 이중고를 수반하게 되어 빈곤으로 이행되는 하나의 구조화된 경로가 될 수 있다. 불안정한 경력이동 및 조기은퇴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건강문제를 가진노동자가 노동시장에서 보호 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검토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애나 질병으로 인한 노년기의 사회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일할 수 있는 건강한 노년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대안은 국민의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early retirement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the 2006 and 200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he study subjects were 2,165 individuals aged 45 to 58 years who had been employed at the 2006 baseline surve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predictors of early retirement. People who were retired from the time of survey in 2006 and had no intention to work any longer were categorized as early retirement. For health conditions,various indicators such self-rated health, disability, chronic disease, activities limitation, and depression were used. And changes in health status were considered. A total of 88 individuals reti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Early retirement was associated with age, gender and several common health outcomes, but socioeconomic status, region and type of household were not related to early retirement. Common health outcomes such as self-rated health, disability, chronic disease,limitation of activity by health and depression are strong predictors of early retirement. Health interventions targeting these conditions may reduce the rates of early retirement, and encourage middle-aged and elderly workers to remain in the labor market.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