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한부모 가정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 성별, 한부모 기간, 교급에 따른 차이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Single-Parent Families on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Ego-resilience of Adolescents: Multi-Group Analysis on the gender and duration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school grade

학교사회복지

2016, vol.35, no., pp.275~302(27 pages)

UCI : http://uci.or.kr/G704-SER000009000.2016.35..010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학교사회복지

김현숙

(원광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한부모 가정의 사회자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한부모 성별, 한부모 기간, 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초4패널, 중1패널의 1, 2, 3, 4차년의 4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한부모 자녀 394명(중1학년 168명, 고1학년 226명 / 부자가정 173명, 모자가정 220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21.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가정은 부자가정보다 사회자본(양육태도)과 학교적응의 수준이 더 높았으며, 중1은 고1보다 사회자본(양육태도, 지역사회인식)과 자아탄력성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 가정의 사회자본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결과 교급에 따른 연구모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1 학생은 중1 학생보다 사회자본이 학교적응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1 학생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고1 학생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ego-resilience of adolesc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f single parent famil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differences the gender and duration of single parent family and school grad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were obtained from Wave 1, 2, 3, 4 for 4 years in Elementary school 4 and Middle school 1 panel of the survey on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2010). This study selected 394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middle school first-grade 168; high school first-grade 226 / sigle father, 173 ; sigle mother, 220). Data were examin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 group analysis using AMOS 21.0, an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rearing attitudes) and school adjustment level of the sigle mother families were higher than the sigle father families, social capital(rearing attitudes, perceptions of the local community) and ego-resilience level of the middle school first-grad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high school first-grade students. Second, ego-resilience of adolescents di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school adjustment. Third,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chool grade. The social capital of the high school first-grade students more strong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than the middle school first-grade students, ego-resilience of the middle school first-grade students affected school adjustment but ego-resilience of the high school first-grade students did not affected school adjustment.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