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한국의 위험분포와 사회보장 지지도 - 실업 발생가능성을 통해 본 미래소득상실 위험의 분석을 중심으로-

Risk Distribution in Korea and Social security Support

사회복지정책

2019, vol.46, no.3, pp.203~227(24 pages)

UCI : http://uci.or.kr/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정책

이상은

(숭실대학교);정찬미

초록


이번 연구는 인구고령화 시대를 사는 노인의 삶의 질 문제를 중심으로 노인 관련 담론의 특징과 시기별 변화 추세를 논의한다. 여기서는 고령사회 관련 핵심 주제어들의 언급빈도와 이들의 상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각종 소셜 미디어를 통해 수집한 온라인 빅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앞서 먼저 고령자의 삶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4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로 명사형 주제어 사전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소셜 빅데이터 분석법의 하나인 웹 크롤링을 통해 시기별로 주제어 언급빈도의 추세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언급량이 많은 상위 100개 빈출단어를 추출해 주제어들 간의 연결 관계를 사회연결망 분석을 적용해 시각화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의 삶의 질과 상관성이 높은 요인은 노인의 경제 상태와 건강?기능 상태이며,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시기를 막론하고 빈곤, 일자리, 치매 등은 가장 두드러지게 공론화된 주제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소외감과 고립감 역시 노인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 문제와 긴밀히 연계되고 있다. 이런 결과는 한국의 많은 노인이 직면하는 빈곤, 질병, 고독이란 문제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으며 전반적인 삶의 질 수준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과거에는 주로 노인 관련 문제의 현상에 대한 단편적 언급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이를 해결할 구체적인 제도나 정책에 대한 담론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아울러 노인들의 적극적인 사회활동참여가 나날이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이들을 수동적인 정책의 수혜자로 바라보던 시각은 능동적인 정책의 수요자로 바뀌는 상황이다. 이상의 소셜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기존의 노인 대상 설문조사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온라인이라는 공론장에서 일어나는 사회 전반적인 여론을 반영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종래의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한 담론의 특징과 변화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isk distribution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future loss of income, and to predict the level and direction of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in Korea in the future. For this goal,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risk distribution and its changes. We calculated the unemployment rates by industrial and occupational status by using the data from the survey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applied them as potential risks for the future of individuals. Risk distributions in 1996, 1998, 2006, 2008, and 2016 are compared to see changes in risk distribu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isk distribution and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to identify if social risks also affect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in Korea. For this goal, the data from 2016 Korea General Social Survey are analyzed.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South Korea's risk distribution, analyzed in terms of exposure to future risks, belong to the low risk group, also suggest that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may be small across society. Second, in terms of changes in the risk distribution, it suggests the overall risk exposure has increased, according to IMF risk, leading to an increase in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In 1998 to 2016 after IMF crisis, the level of risk is reduced and the difference of risk distribution is also large in the form of risk distribution and inequality, which seems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Thir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isk and social security support showed that social risk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 effect on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The facts that a majority, especially middle ranking voters belong to the low risk, and the difference of risk got bigger even though the risk level got lower after IMF risk, suggest some negative aspects of Korea's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However, since many Koreans experiencing the possibility of increased risk at the same time during the IMF crisis, those who belong to low risk may have a great anxiety about the future. Also, considering the relatively high sense of community in Korean society, it is hard to predict that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will be lowered in Korea.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