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장애인 고용서비스 판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예비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Classification instrument for the Employment Servic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와 고용

2020, vol.30, no.1, pp.159~187(28 pages)

UCI : http://uci.or.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장애와 고용

홍성두

(서울교육대학교);이미지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총 6개의 세부영역, 65문항의 장애인 고용서비스를 판정 도구를 개발하고, 파일럿연구를 통해 예비타당화를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및 관련 도구 분석을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 델파이 조사(2회), 현장적용성 검토를 실시하여 검사 세부영역 선정 및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타당화 절차로 신뢰도 검증을 위한 신뢰도 계수(Cronbach’sα값)을 산출하였고, 타당도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차이검증(독립표본 t검증: 장애정도, 일원배치 분산분석: 장애등급)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1650명의 성인장애인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결과, 내적일치도는 전체( .851)와 세부영역(.808~ .941) 모두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차 기초 검사(신체-인지)는 2개, 2차 심화 검사(자기관리-사회관계-정서) 는 4개의 하위요인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지수(NFI, IFI, CFI, RFI, TLI)가 모두 .9 이상, RMSEA 값이 .081로 요인구조모형이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검증 결과, 세부영역 모두 장애정도(장애가 심하지 않은 자, 장애정도가 심한 자) 차이가 통계적으로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등급(1~6급)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장애인의 개별적 요구를 반영하여 수요자 중심의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제안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파일럿 연구를 통해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는데 주요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인 고용서비스 판정기준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본) 판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매우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Research Purpose: This study presents the criteria for judging work a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evelops a classification instrument that can assist customized employment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ducts a pilot study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 for judging work a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studies and analysis of related tools, expert consultation, Delphi survey (2 times) and field applicability review were conducte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for preliminary validation. The Cronbach'α value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To verify the validity, the content validity was calculated by the Delphi survey, and the content validity (CVR) value was calculated. Results: A total of 1650 adults with disabilities were tested and foun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appropriate at all levels (.851) and sub-regions (.808 ~ .941).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ity test, it was found that the 1st part of the instrument had two subfactors and the 2nd part had four subfactor structure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actor structure model was found to be relatively suitable with goodness-of-fit index (NFI, IFI, CFI, RFI, TLI) of more than .9 and RMSEA value of .081.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ubdivis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egree of disability (persons with mild disabilities,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 disability rating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instrument and perform preliminary validation to comprehensively present criteria for determining employment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consumer-oriented employment services by reflecting individual needs related to employment suppor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meaningful that the foundation of the employment service classification instru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ould be expected to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