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중?고령자가 경험하는 불안정노동은 성별에 따라 분절적으로 나타나는가?

Is Precarious Work Experienced by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Divided according to Gender in Korea?

노인복지연구

2022, vol.77, no.1, pp.69~97(28 pages)

UCI : http://uci.or.kr/

한국노인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노인복지연구

전예지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 중?고령자가 노동시장에서 경험하는 불안정노동을 각각 유형화하고,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불안정노동의 이질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1차(2006년)∼7차(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성과 여성 각각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남성은 불안정노동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거나 불안정성의 심도가 깊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여성은 남성보다 불확실성이 높은 노동을 지속하는 양태를 띠었으나, 9.1%는 불안정노동의 위험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안정노동의 성별 분절을 실증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서 남성과 여성 중?고령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맞춤형 정책이 시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precarious work experienced by middle-aged and elderly men and women respectively in the labor market and to examine the heterogeneous changes in the gender division of precarious work. Data are employed from the 1st(2006) wave to the 7th(2018)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and the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i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trajectories are derived respectively for men and women. Men are continuously exposed to the danger of precarious work or show a deepening pattern toward danger. On the other hand, women continued to work with higher uncertainty than men, but 9.1% of them were out of the risk of precarious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ustomized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to resolve the risk of gender division of precarious work in the labor market.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