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한국의 비영리 사회서비스 조직들이 재정자원을 동원하기 위하여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자원동원활동은 조직특성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자원동원활동 간에는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의 논의에 따라 자원동원의 영역을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 활동과 관련이 있는 조직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87개의 사회서비스 조직을 포함하는데, 연구표본의 크기와 지역적 한계 때문에 비모수 통계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비영리 사회서비스 조직들은 자원동원과 관련된 전담인력 또는 조직 내 다른 인력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는 외국의 비영리조직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인력의 활용이 실질적으로 재정자원을 동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과는 별다른 관계를 지니지 않는다.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의 자원동원 활동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경험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what fundraising activities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perform, whethe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he activities, and finally, whether fundraising activities are rela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fundraising domains classified in the study of Hager, Rooney, & Pollak and theoretical assumptions of current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fundraising activitie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fundraising activitie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sample, this study analyzed 87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by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fundraising activities of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did not lead to practically and effectively obtain financial resources from various funders in the environment, although they employed professional staff and strategies. This study had implications to provide not only empirical information on fundraising activ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Korea, but also research ideas for further stud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13-137
* DOI :
* UCI : G704-000143.2004..23.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자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비동일통제집단 사전사후검증 방법을 통하여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우울, 불안, 자존감, 조성행위, 집단의식, 알코올 중독자를 정신병원에 입원시키는 것에 대한 의식 등을 조사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각 종속변수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개입연구방법의 한 부분으로 시행되었다. 개입연구방법은 6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1) 문제분석과 프로젝트 계획 (2) 정보수집과 종합 (3) 설계 (4) 초기개발과 파일럿 테스트 (5) 평가 및 고급개발 (6) 보급 등이다. 본 연구는 5번째 단계인 평가 및 고급개발 중에 평가에 해당된다. 평가에서 요구하는 실험설계를 사용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후에 현장에서 개입을 반복하고, 정교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program for a non-alcoholic member of alcoholic famil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as used to examine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enabling behavior, group consciousness, a sense of guilt being in mental hospital on non-alcoholic member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on each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is conducted as a part of intervention research. Intervention research is composed of sixth phases: (1) problem analysis and project planning (2) information gathering and synthesis (3) design (4) early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5) evaluation and advanced development (6) dissemination. This study belongs to the fifth phase: evaluation and advanced development. This study centered on the two aspects of the evaluation and advanced development phase: selecting an experimental design,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Need for further repeated intervention and elaboration in the field conditions is essential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43-75
* DOI :
* UCI : G704-000143.2004..23.004
서지정보 닫기
-
Physically disabled people usually find many difficulties when seeking a job. The unemployment rate of the disabled is more than 6 times higher than the general public; because their working competence,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disadvantage, is not very widely known to the society. The society has to give them a job opportunity that suits the individual interest and personality; and, this should be preceded by appropriate edu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Right now, they are taught in few of general schools and designated special schools. Those special schools and career-training centers have executed all the job releva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However, now, more of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could receive higher education, thanks to the Supernumerary Special Selection In College Entrance Act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The number of phys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who received the benefits of this system have been rapidly increased. To respond with their high level of knowledge, we have to actively develop diversified and intensified career search programs for them.
The statistics reveal that one of their career preferences is license or certificate holding jobs, such as high level public service members, teachers, social welfare workers, psychology counselors, computer specialists, and rehabilitation trainers. To provide and guide them to appropriate career path, the college should hire more field specialists who have specific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this field. Furthermore, we have to study and store case studies for those who have successfully found a desirable job upon individuality, so the students could have role models in their lives. All this should be based o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more specialized career institutes for those students, where they can find their field of interests and have proper career relevant consulting servi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69-195
* DOI :
* UCI : G704-000143.2004..23.003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5-41
* DOI :
* UCI : G704-000143.2004..23.002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39-167
* DOI :
* UCI : G704-000143.2004..23.001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77-111
* DOI :
* UCI : G704-000143.2004..23.007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의 특정 지표를 사용하여 한국에서의 장애출현의 비시설거주 인구 추정치와 미국의 추정치를 비교하였다. 한국의 ‘2000년도 장애인실태조사’와 미국에서 1999년에 실시된 ‘1996년 소득 및 프로그램참여 조사(Survey of Income and Program Participation)'를 이용하여 자료의 이차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목적은 국제 수준에서 장애의 정의와 장애출현 인구의 추정치에 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한국은 미국보다 훨씬 더 낮은 장애출현율을 보였다. 한국은 장애차별금지법을 제정하고, 동법에 의거한 좀더 포괄적인 장애 정의를 사용하여 장애출현 인구의 추정을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non-institutionalized population estimates of disability prevalence in the Republic of Korea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using specific indicators of disability. Secondary analyses of data were performed utilizing the 2000 National Disability Survey for Korea and the 1996 Survey of Income and Program Participation (conducted in 1999) for the U.S. The purpose was to provid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s of disability and the population estimates of disability prevalence on an international leve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Korea had much lower prevalence rate of disabilities than the U.S. did. In Korea, a disability anti-discrimination law needs to be enacted and the population estimates of disability prevalence should be made using more comprehensive definitions of disability based on the law.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97-222
* DOI :
* UCI : G704-000143.2004..23.006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허쉬(Hirschi)의 사회유대이론과 학교적응 영역의 기존연구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사회적 관계 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사회적 관계 모델에는 부모관계변인, 친구관계변인, 교사관계변인이 포함되었다. 연구 대상은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생 351명과 전국 쉼터에 머무르고 있는 청소년 143명으로 총 494명이었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사회적 관계 모델이 청소년의 전반적 적응과 학업적 적응(성적)을 설명하는 데 유의미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는, 부모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친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청소년의 학교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은 교사관계 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교사?친구?부모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social relation model of youth school adjustment, based on Hirschi's social bonding theory and the previous findings in the area of youth school adjustment. The social relation model included parent-child relation, peer rel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 variables. The sample consisted of two groups, 494 adolescents: 351 high school students and 143 adolescent residents at the shelter for runaway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finding was that the social relation model of youth school adjustment was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general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better relations with parents, peer, and teachers, the higher the degree of youth school adjustment. Among the significant variables, teacher-students relation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ome practical suggestions to effectively enhance the relations with teachers, peer, and paren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35-252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6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학대의 범위와 하위유형에 따라 학대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을 판별하고, 노인의 특성과 상황적 맥락에 따라 노인학대의 위험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학대의 예방을 위한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율적 군집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노인 770명에 대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과 가족의 특성, 비공식적 관계망과 사회문화적 요인이 노인학대의 발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연령, 일상생활 동작능력,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도, 가족통합성이라는 6개 변인은 협의의 학대와 광의의 학대 모두에 결정적인 위험요인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동거가족의 규모와 가족주의 의식은 협의의 학대 그리고 자녀동거여부, 가족의 지지도, 비공식적 관계망의 지지도는 광의의 학대를 일으키는 위험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노인의 의존성을 통제하였을 경우 일상생활 동작능력, 인지기능, 자아존중감이라는 3개 변인만이 노인의 의존성에 관계없이 학대를 유발하는 원인적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연령, 결혼상태, 용돈액수, 질병 유무, 사회활동 참여도, 자녀동거 여부, 가족통합성, 비공식적 관계망의 지지 등의 변인은 의존성 노인집단의 특성에 따라 영향력이 각기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해볼 때, 노인의 특성에 일상생활 동작훈련, 가정도우미 파견, 치매예방 교육, 사회활동 참여도 제고, 가족통합성과 지지 강화 프로그램, 비공식적 관계망의 조직화 등이 노인학대의 예방에 효과성을 지닐 것이지만, 노인의 의존성을 고려한 세부적인 개입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aimed at differentiating the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the elderly abuse by its categories and subtypes and among different groups of vulnerable elderly and at suggesting the intervention strategies preventing it. The 770 persons of aged 65 and over selected using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s were interview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chi-squar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elderly's activity of daily living, age, cognitive functioning, self-esteem,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family cohesion were the casual factors of all categories and subtypes of elderly abuse. The family size, supports of family and informal network, familism had the different effect on the elderly abuse by its categories and subtypes. The three variables such as elderly's activity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ing, self-esteem were the casual factors of the abuse of all vulnerable aged group.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ous service programmes for the elderly, such as services for supporting the daily living, dementia education, services for improving of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and family cohesion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19
* DOI :
* UCI : G704-000573.2004.24.1.005
서지정보 닫기
-
신노동당 정부에서 뉴딜이 도입된 이래 5년이라는 시차(time difference)는 뉴딜이 청년실직자, 장기실직자, 편부모, 장애인 등 사회적 배제집단을 노동시장에 편입시키고, 근로연령세대를 위한 소득관련 급여지출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노동시장에서 근로연령세대의 고용률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뉴딜은 일자리우선모델보다는 인적자원개발모델에 보다 근접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뉴딜은 근로능력이 있는 복지수급자를 일자리로 유인하기 위하여 근로연계복지를 지향하는 국가들에게 다음과 같은 정책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첫째, 개인에게 책임과 의무를 부여함과 동시에 교육 및 직업훈련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 노동시장사업을 통하여 개인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지역단위에서 복지와 고용을 연결하여 통합관리할 수 있는 분권적 전달체계를 갖추고, 다양한 고용사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민간부문, 특히 기업가들과의 협력체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근로능력이 있는 복지수급자 개인에 대한 사례관리의 도입이 필요하다. 끝으로, 확고한 정치적 리더십에 의하여 주도되고 뒷받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New Deal under the New Labour government in Britain and examines the nature of New Deal with respect to workfare. The time difference of five years after the New Deal was put into effect shows that New Deal has contributed not only to include the socially excluded groups such as the young unemployed, the long-term unemployed, single parents, and the disabled into the labour market, but also to decrease the amount of income-based benefits providing for working gener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nature of New Deal under the New Labour is near to human capital development model rather than labour force attachment model.
New Deal provides the opportunity of policy learning for the countries which pursue the reform of social security system to moving welfare beneficiaries being able to work into jobs. Policy learning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mposing mutua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s on unemployed person should be accompanied by implementing active labour market programmes of education and job training. Second, the delivery system which administrates workfare programmes should be decentralized in a local society. The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enterprises will be critical in implementing various employment programmes and moving unemployed person into jobs. Third, the case management for individual participating in workfare programme is necessary. The personal adviser should continue to provide employment services for the unemployed until he or she get a job and enter the state of self-reliance. Finally, the workfare programme should be firmly backed by the political leadership in order to overcome the oppositions of beneficiary groups under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3-43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5
서지정보 닫기
-
오늘날 노인관련 정책에서 핵심적인 주제는 노인독립이다. 본 연구는 독립의 의미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어떤 의미의 독립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정책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독립이 실제 노인들의 관점을 어느 정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0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독립, 의존, 삶의 질 등에 대한 노인들의 주관적 의미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적으로 주장되고 있는 노인들의 경제적 독립, 공간적 독립, 신체적 자립 등은 노인들에게 외형적인 현상에 불과했다. 노인들은 이러한 독립을 구성하는 보다 내밀한 의미들을 언급하였는데, 그들이 인식하는 독립의 개념은 사생활, 자존감, 자율성, 자유 등의 핵심적 개념들로 구성된 복합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의존에 대한 인식 또한 사회적 고정관념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의존은 독립과 마찬가지로 그들 경험이 존중되는 삶의 한 방식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놓고 볼 때, 독립, 참여 등과 같은 개념으로 노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는 최근의 정책은 여전히 노인의 관점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The notion of independence is currently a focal point in public discourses in relation to the elderly. In most countries, the promotion of independence, not the alleviation of dependence, has been addressed as a priority goal in the formulation of social policies for the elderly and the term of independence is used in policy documents as if it were unproblematic. In most cases, policy documents do not offer a clear definition of independence, but generally the term is interpreted as self-sufficiency and health. Accordingly, in order to promot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concrete strategies such as employment, social activities, participation, direct payments are being introduced in many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se discourses and strategies, and attempts at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how independence and dependence is constructed in contemporary social policies for the elderly. It is our critical point that we explores the meaning of the independence and depend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ded to construct the meaning of 'independence' as privacy, self-esteem, autonomy and freedom. They also tended to perceive and interpret, from their perspective, the 'dependence' as a natural law and process, affection among human beings, reward and fruit of their lives, social justic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current policies for the elderly have not fully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Therefore, it is argued what is important in policy formulations for the elderly is to make efforts to reflect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on policy-makings for the elderly in terms of independence and dependenc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22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4
서지정보 닫기
-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는 폭력행동을 음주의 탓으로 돌리면서 폭력을 정당화하고, 음주문제에 대해서도 그리 심각한 정도는 아니라고 부정하므로 실무자 사이에서는 임상개입이 매우 어려운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기증진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및 두 모델 통합의 근거를 바탕으로 폭력행동감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프로그램 사전, 사후, 3개월 후 조사를 통해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양적분석 결과 음주 및 폭력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폭력프로그램만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한 폭력행동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집단간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왜' 발생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 실시된 동기증진치료는 음주문제를 가진 가해자의 변화동기를 증진시키고, 집단성원의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 정서로 전환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폭력행동감소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가해자 개입 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의 임상 활용가능성을 제시해 줌으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court-mandated spouse abusers with drinking problems not only resist and complain about taking the court-mandate but also have the low motivation to change their problem drinking and violent behavi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gram is developed to decrease violent behaviors of spouse abusers with drinking problems. Also, the usefulness of this program is examin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s pre-to-post variation is decreased by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s variation in drinking problems. Regarding violent behaviors among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pre-to-post and pre-to-followup variation are decreased significantly. It is assumed that Motivation Enhancement Therapy(MET) influences the differences of motivation to change violent behaviors in both groups. The reason is that MET is considered to have influences on the group's dynamics and interaction. Also, it is helpful to change the negative emotions to the positive emotions and to stimulate the group interaction and the participation.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promote the speciality on providing services for family in a domestic violence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 suggested future implications in research, practice, and political side on spouse abusers with drinking problem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3-126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3
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영국 블레어 정부의 근로복지 개혁이 유럽대륙 국가의 개혁과는 다른 한편으로, 미국식 신자유주의적 재편과도 다른 성격을 가지고 발전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규명할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근로복지형 제도의 도입과정을 영국 노동당의 이념적 변화, 특히 당헌 제4조의 개정을 둘러싸고 나타난 당내(黨內) 좌ㆍ우파간의 갈등과 타협을 통해서 신노동당 프로젝트가 성립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제2장에서는 영국 노동당의 제3의 길과 신노동당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노동당의 이념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권리와 의무의 상호주의 원칙'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이러한 상호주의 원칙이 1997년 집권 이후 전개되고 있는 영국의 근로복지 개혁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 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영국의 근로복지 개혁이 유럽대륙 국가와 다른 한편으로, 미국식 근로복지 개혁과도 다르게 전개되는 배경과 그 원인을 영국의 독특한 정치질서에서 찾고, 특히 노동당의 이념적 체질변화 과정에서 확립된 상호주의 원칙이 근로복지 개혁을 지도하였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도출한다.
This study purports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lfare reform of Britain and that of either European countries or USA. For this purpose, Chapter two documents and reviews the inter-party debates around the Clause Four in the Labour Constitution, and duly ascertains the role of the reciprocity principle in the development of New Labour Project. Then, Chapter three argues that this reciprocity principle guides and controls the whole process of workfare reform of the Labour Government since 1997. Finally, Chapter four concludes that the salient features of the British workfare reform originated from recent changes of the British political climates, that is, the ideological change of the Labour Par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45-70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2
서지정보 닫기
-
사회복지시설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고도 심각한 문제를 표출시켜 왔는데, 지역복지를 상위분야로 한 각 대안들이 국내에서 사회복지시설을 지역복지실천의 영역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시설의 본연의 역할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대안들은 논리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서 본고는 일본에서의 지역복지 중 지역복지의 구성내용, 지역복지에서의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규정, 지역복지 범주에서 논의되고 있는 시설사회화론을 이론적으로 제시한다는 연구목적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역복지의 중요한 요소로서, 그리고 지역복지를 발전시키는 추진력으로서 사회복지시설이 규정되고 있다는 점과 시설사회화론 또한 지역복지를 발전시키기 위한 주요한 실천이론으로서 논의되고 있으며, 지역개방 측면만이 아니라 이를 포괄한 시설의 근본적인 개혁의 논리로서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It has been said that there were many problems in a social welfare institution. Community welfare in Japan is being presented as an alternative solving these problems and underlying theories are deinstitutionalization, normalization, and community care.
Recently, in Korea, these alternatives are connected with the logic th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re useless. But if we think the inborn duty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we can know the logic problem of these theories. Also, 'the socialization theory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has been presented as a solving method. But studies in Korea are having a partiality only to opening to community and are researched separately from community welfare.
Under these problem percep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ion contents of the community welfare in Japan, the relation of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rela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and the socialization theory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the concept and content of the socialization theory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cussions in Japan, for studies in Korea are generally based on those of Japan and the domestic community welfare policy has been influenced immensely by Japa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not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 a category of community welfare is excluded, but is prescribed as an essential post, a premise condition, and a composition post of the community welfare. Secondly, the socialization theory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s also discussed in a category of the community welfare and in the side of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Thirdly, the socialization theory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s presented in the side of not only opening to community, but also a basic practice theory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reformation including tha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1-201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1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7-153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12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53-282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1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학대받은 아동들의 경험을 연구한 현상학적 연구로 아동들의 생활세계의 체험을 아동의 입장에서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아동학대는 저항할 수 없는 힘의 구조에서 받는 억압과 자유로운 발달환경의 박탈이다. 학대란 가장 친밀한 관계에서 경험한 매우 왜곡되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아동에게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내면세계를 만들어 놓았다. 학대받은 아동들은 그러나 탈출구가 없는 억압 속에서도 그들 나름대로 생존을 위한 최선의 전략을 구사하며 가족 지향적인 삶을 원하고 있다. 현상학적 반성을 통해 학대아동의 경험에 대한 8가지 본질적인 주제를 찾았고 이 주제들을 바탕으로 학대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주제들은 학대받은 아동을 위한 상담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of the physically abused children.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utilizing van Manen's method to present the children's inner worl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 children, in the age of 8 to 12, who were physically abused by their parent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by the workers who regurally contacted children at the service agenci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line by line' reflection by two graduate level students and by the researcher. Eight essential themes were drawn and used for the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which reveals the meanings given by the children experiencing abuse. There were some suggestions for the abuse counsellors based on these finding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71-102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10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03-233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9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와 가족을 돕고 지원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가족인식을 비교한 연구이다. 또한 가족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써 인구사회학적인 요인, 원가족에 대한 인식, 자기효능감이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가족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사회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134명과 가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131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통한 서베이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가족개념, 가족주의, 남녀평등의식에 있어서 두 집단간 비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가족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클라이언트에게는 연령과 원가족에 대한 인식이었으며, 사회복지사는 성별과 자기효능감이 가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인식에 대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사회복지사가 다양한 가족형태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가족주의에 대한 차이는 사회복지 실천과정에서 가족가치, 가족집단주의, 가족내 성별 역할분담에 차이를 가질 수 있음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사회복지사간에도 성별에 따라 가족인식에 차이를 미칠 수 있음으로 사회복지 교육에 있어서 성인지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n family of social workers and clients. Perception of family concept, family function is changing as times passes. But social worker is facing a dilemma because of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n family.
In order to compare between social worker and client concepts on family, this study compare family concept, familism, gender egalitarianism.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131 social workers and 134 clients who were purposive sampled.
Social worker's recognition of family concept is more acceptable than client's family typology, functional family concept. Analysis shows that client group more higher familism and clients have a low opinion of gender egalitarianism. Thus, social worker may have conflicted with client's family while social worker practices case management or prograss family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perception, the defined factors were self-efficacy, family of orgin perception. Controlling for sex, old, marriage on family perception were examine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 of old, family-orgin perception to the client's family concept, familism, gender egalitarianism. On the contrar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 of sex, self-efficacy to the social worker's familism, gender egalitarianism.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 of family perceptions between social worker and client.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social work procession or intervention will be investigated concretel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83-307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8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현행 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주도하는 직업훈련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장애인직업훈련시설수료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애인 직업훈련의 효과성은 '생산성 효과'와 '취업효과'로 개념화하였고 '생산성 효과'는 자격증 취득, 자아효능감, 교육성취도 변수로 측정되었으며 분석결과 훈련시설유형, 훈련직종, 훈련기간이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취업효과' 즉 훈련수료 후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훈련시설로 나타나 훈련생산성보다 훈련시설의 취업노하우와 훈련생관리가 취업에 더 중요한 요인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직업훈련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과 교육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공공, 민간, 보건복지부산하 훈련시설의 기능을 재정립하여 훈련시설 간 직업훈련 효과의 격차를 줄이고, 지역별 훈련사업을 특성화시키며, 장애인고용촉진기금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실적에 따른 지원차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iveness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vacational training programme for the disabled guided by the Ministry of Labour and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This research employed quantitative approach. The quantitative research used the samples of 853 disabled people who had finish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me during recent 3 years. In this research the effectiveness is categorized into two ; product effectiveness and employment effectiveness.
Product effectiveness is influenced by the kind of train-center, train-area, train-length. The KEPAD, non-IT job area and train-period over 6 month are more effective. Employment effectivenes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emo-sociological factor rather than disability factor. Especially the kind of train-center is very important to be employed for the disabled. This implicates that choice of train-center by the disabled and effective management of it by the public sector is very important in developing employment.
Effective management, stated above, includes reengineering programmes and functions accountable to the need form the trainee, bridging the gap among train-centers in terms of performance, differentiation of finan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product to save the public fund, encouraging one special programme in one train-center.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55-179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7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