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04]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374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심리적인 안정을 위한 방법 모색으로,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를 노인들에게 적용한 후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B노인복지관의 추천을 받은 16명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되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03년 3월 26일부터 5월 14일까지 주2회 총16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자아존중감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57, p=0.0001).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자아통합감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0.40, p=.0001).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집단의 정서적 변화와 집단의 사회적 변화를 프로그램 내용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집단발달단계에 따라 연구 대상 집단의 집단응집력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제요소에 있어서 의미 있고 긍정적인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 향상에 기여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정서적인 안정과 자기표현의 증진,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집단미술치료는 노년기에 신체적?정신적?사회적?경제적 능력이 쇠퇴되고 역할상실로 인한 소외감으로 심리적 부적응을 겪고 있는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자아상을 회복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며 다양하게 접근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s finding out method for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aged man, was attempted to assess the effect on self-esteem and self-integration of the aged men.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o groups, which are 8 aged men of experimental group, and 8 aged men of controlled group who were recommended from Seoul B aged public welfar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erformed 2 times per week, totally 16 times from March 26, 2003 to May 14.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came out as follow: 1. After apply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elf-esteem score(t=-7.57, p=0.0001). 2. After apply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elf-integration score(t=10.40, p=.0001). 3. As the result of finding out psychological change and social change of those groups through the content analyse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re was showed up meaningful and positive qualities change of the sample group's cohesiveness and social integration. As for the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group art therapy on basis of recollection contributes to improve self-esteem and self-integration of the aged man. It also brought to positive change of psychological stability, improving self- 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on. The group art therapy will recover the aged men's positive self-concept, contribute to improve their life quality, and be approached diversely to aged men who have declined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ability, and suffered from psychological unadaptation in terms of role-absence, and then alien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53-179
    * DOI :
    * UCI : G704-001512.2004..2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민 여성들의 가정폭력 실태와 예측변인을 조사 하였다. 연구대상은 텍사스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136명의 이민 1세대 한인 여성들이었다. 한인 이민여성들의 가정폭력 실태와 예측변인을 발견하고자 한국어로 번역된 질문지 사용하여 한인 이민여성들이 많이 가는 장소에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주된 분석방법으로 응용된 중다회귀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종교적 참여와 남자 배우자의 음주(알코올 소비, 알코올 의존도, 위험한 수준의 음주) 및 아동기의 신체적 폭력 경험은 한인 이민여성들이 경험하는 신체적 폭력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월수입, 문화적응수준, 종교적 참여, 남자배우자의 알코올 소비 및 의존도, 아동기의 신체적 학대경험은 한인 이민여성들의 심리적 폭력경험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인 이민여성들이 경험하는 신체적 상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종교적 참여, 남자배우자의 알코올 소비 및 의존도, 아동기의 폭력경험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사회복지 분야에 주는 함의점이 논의되었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65-188
    * DOI :
    * UCI : G704-000964.2004..13.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18세미만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의 정도와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살펴보고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한부모가족의 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배우자와 사별하거나 이혼한 여성가장으로서 284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개인적 변인 중 건강,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등은 1점에서 5점범위 내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적 변인은 전반적으로 모두 3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 변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중 도구적 지지가 정서적 지지보다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3.01, 우울은 평균 3.06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개인적 변인 중 교육수준, 홀로된 원인, 건강수준,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사회적 변인으로는 도구적 지지, 정서적 지지, 교육프로그램참여, 제도적 지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에는 개인적 변인 중 교육수준, 건강수준, 자존감, 정서적 대처가,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사회적 변인 중 정서적 지지, 교육프로그램참여, 제도적 지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도구적 지지,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정서적 지지, 제도적 지원, 건강수준, 홀로된 원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는 가족스트레스, 모자녀갈등관계, 가족자원, 정서적 대처, 교육프로그램참여, 자존감과 제도적 지원, 정서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어야 하겠으며 나아가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제도적 지원에서도 적용할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and the differences of influencing factors of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the 284 of single mother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F-test,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cores of single mothers' individual variables showed higher than median, family variables were lower than median, and instrumental support showed higher than emotional support.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bout median. 2.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ducation, health, self-respect,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monthly income,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3. Life satisfact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health, self-respect, problem-solving coping,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instrument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Depress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self-respect, emotional coping,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In conclusion, to develop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mothers must be used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and implications for alternatives to support single mothers from this study were provid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5-118
    * DOI :
    * UCI : G704-000964.2004..14.005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7-153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12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0-100
    * DOI :
    * UCI : G704-000500.2004..18.003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03-233
    * DOI :
    * UCI : G704-000330.2004.56.1.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빈곤의 여성화 현상과 빈곤의 성적 격차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16.9%로 남성가구주 가구 7.9%의 2.6배였으며, 특히 20-64세 연령계층의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위험이 남성가구주 가구에 비해 2.2배 높았고, 65세 이상 가구의 경우에도 빈곤위험이 1.9배였다. 경제위기를 전후한 빈곤의 성적격차의 역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경제위기 절정기에는 양성간에 빈곤의 보편화 현상을 보였으나, 남성가구주 가구가 경제위기에서 비교적 빠른 회복을 보이는 반면,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경제위기 이전의 2/3 수준으로만 회복되며 빈곤 고착화 현상을 보여, 경제위기의 회복과정에서 성적 격차가 확대되었다. 또한, 빈곤의 영향요인 분석결과, 성 자체 뿐만 아니라 성의 특성을 사회적으로 규정하는 교육수준, 취업상태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빈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노동시장, 사회보장체계 등의 중층적 결절점에 성(gender)이 놓여져 있기 때문에, 성의 차원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빈곤문제의 본질에 제대로 접근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빈곤문제에 대한 효과적 접근을 위해서는 성적 차원을 고려한 여성친화적(women-friendly) 가족, 노동시장, 사회보장정책이 개발되고 채택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This paper examine the gender-poverty gap and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Korea with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Household Income & Expenditure(1996, 2000) and the Urban Survey Household Income & Expenditure (1996-2002)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overty rate in 2000 was 16.9 percent for female-head families and 7.9 percent for male-head families, which means that female-head families were 2.6 times more likely to be poor than male-head families. With examining impact of economic crisis in 1998 on gender-poverty gap, it show that both the poverty rate of female-head and male-head increase radically in peak of economic crisis, while, in the stage of recovering economy, the poverty rate of male-head families recovered mostly the level before economic crisis, but that of female-head families recover only the 2/3 level before and the 1/3 remain still under poverty. Thus gender-poverty gap appeared bigger during passing through economic crisis. With analyzing on influence factors of poverty, it appear that poverty is influenced by gender itself as well as education level, working condition which is reflected substantially characteristics of gender. Such an analysis results mean that the considering gender dimension is necessary to resolve poverty fundamentally because gender is a point intersection among family, labour market, and social security. Therefore it appears certain that to develop and adopt of women-friendly social policy is effective approach, which could resolve poverty and social problems related to social righ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67-194
    * DOI :
    * UCI : G704-000330.2004.56.2.010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7-78
    * DOI :
    * UCI : G704-000330.2004.56.4.01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의 부담과 수혜의 공평성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의 공평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의 공평성 결과를 OECD 11개국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의 재원부담은 조세는 근로자가 보다 누진적으로 부담하고 있지만, 사회보험과 본인부담은 사무직 근로자가계가 보다 역진적으로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의료 수혜의 공평성을 측정하는 루그랑계수는 자기 건강평가 지표로는 0.506, 한정적 만성질환 지표로는 0.285로 나타나, 고소득 계층에게 유리한 불공평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의 의료비지출의 집중도 계수는 OECD 12개국 가운데 유일하게 정의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이 보건의료 수혜의 불공평성을 확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수혜의 불공평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제는 공적의료보험제도에 있어서 비급여 항목을 축소하고 본인부담의 상한을 설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비급여 항목의 축소와 본인부담의 상한설정을 통해서 의료필요가 높은 저소득 계층의 의료비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f the equity in the finance and delivery of health care in Korea, and comparing with results of OECD countries. First, in Korea, equity in the finance of health care is progressive in taxes, and regressive in social insurance and direct payment. Social insurance systems tend to be progressive in taxes, and regressive in social insurance and direct payment. Second, total of equity in the finance of health care is regressive in OECD countries that adopts to social insurance system. but progressive in Korea. Third, equity in the health is regressive in OECD 12 countries, and concentration index of health expenditure is regressive in OECD 11 countries. but in Korea, concentration index of health expenditure is progressive. it means that the higher income groups are more intensive users of health care than the lower income groups. Forth, Le Grand index that measure equity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s progressive in Korea, it's means that advantages to the higher income groups. but, the result of Japan is regressiv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59-81
    * DOI :
    * UCI : G704-000662.2004.20.1.003서지정보 닫기
  • 본고는 OECD 국가들의 1970~1997년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부담율(조세부담율+사회보장부담율)의 변동을 설명하는 모형을 도출하고, 우리나라가 이들 선진국의 전철을 따르는 경우를 상정하여 장래의 국민부담율을 추계하였다. OECD 국가들의 국민부담율은 유형별 복지이념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네가지 경우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즉 OECD 평균, EU 15개국 평균, 미국, 일본 등이다. 추계결과, OECD 평균이나 EU 15개국의 과거의 추세를 따를 경우 2020년 39%에서 2050년 50%까지 상승하리라 전망된다. 일본이나 미국의 추이를 따를 경우 2020년 26~29%에서 2050년 34~38%까지 상승하리라 전망된다. 이들 네 가지 경우의 중간선, 즉 서유럽식 고복지국가를 따르지도 않고 미국식 시장경제 국가나 일본식 정교한 복지국가도 아닌 중도적인 입장을 견지한다면 2020년 35.5%에서 2050년 43.6%까지 이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형성된 한국의 재정, 사회보장제도를 유지할 경우 2050년경에 45~47%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지속가능한 재정,사회보장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개편이 필요하리라 판단한다.

    This paper forecasts the long-term total tax rate('TXR') of Korea, where total tax rate includes tax rate and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and from which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An econometric analysis is introduced to explain the trend of TXR, using OECD countries' data from 1970 to 1977. The coefficients result is applied to calculate the future Korean TXR. The OECD countries are divided by four cases considering the different approaches to welfare state; OECD average, EU 15 average, USA, and Japan. Thus the results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cases. If Korea follows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OECD average or EU 15 average in the future, TXR would be 39 percent in 2020 and 50 percent in 2050. In the otherwise, if Korea follows Japan or USA's case, TXR would be 26 to 29 percent in 2020 and 34 to 38 percent in 2050. Finally if Korea takes the middle line among these four cases, TXR would be 35.5 percent in 2020 and 43.6% in 2050. However, when Korea maintain the current public finance and social security system, TXR will be increased to 45 to 47 percent by 2050. Therefore Korea needs some reform actions to make public finance and social security system sustainable if she takes the middle line position toward building welfare stat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57-82
    * DOI :
    * UCI : G704-000662.2004.20.3.004서지정보 닫기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al representation of child rearing practice in Korean society. Here social representation is, as the form of cultural expression in one society, the value and model used for the definition of children who have important status in the society. In this perspective we have analyzed traditional child rearing practice by historico-ethnological approach. The traditional child rearing practice is sequence of behavior so commonly used by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so thoroughly intergrated into the lager culture. Although at the group level these customs can be seen as adaptions to the larger environment or ways of coping with developmental issues, they are more likely to be regarded by members of culture as the "reasonable" or "natural" things to do. As such, they also are behavioral strategies for dealing with children of particular ages, in the context of particular environmental constraints.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children have been shaped very attentively even from uterus according to social demand. This conception remains to these days but with little atten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249-26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4.4.2.014서지정보 닫기
  • 한국사회 도시노인들의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본 연구는 도시노인의 삶을 건강과 주거,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 여가활동의 제 영역들에 대한 객관적 지표와 욕구, 영역별 만족도 차원에서 각각 파악하고 관계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도시노인의 삶의 객관적 지표는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 직업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노인의 삶의 욕구는 건강욕구, 가족 및 사회관계 욕구, 소득욕구, 여가활동 욕구 순이며, 노인의 삶의 제 영역별 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객관적지표 욕구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삶의 종합적 만족도는 인구 사회학적 변인들을 비롯하여 건강과 소득, 주거, 가족 및 사회관계, 여가활동의 객관적 지표와 욕구, 주관적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전반적으로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그리고 본 연구는 도시노인의 삶의 질의 분석틀과 개념화, 측정방법은 향후의 노인분야 연구를 포함하여 삶의 질 연구에 방법론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정책의 기초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nd explain the urban elderly's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through analyzing comprehensively their health condition, housing, family relation and social relation in terms of the objective indicator, their desire and degree of satisfaction to all kinds of their activities in leasure hours. From empirical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as follows. The objective indicator in the urban elderly's life quality shows wide divergence according to social factors such as the distinction of sex, ag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The priority of their life desire is ordered in health, family and social relation, income and activities in leasure hour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 their life area come under the meaningful being influenced on the social factors and the objective indicat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 their life, the total satisfaction to their life has significantly constant correlations to the social factors and the objective indicator as well as health, income, housing, family and social relation, the objective indicator and desire of their activities in leasure hours, and the degree of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 I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form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analysis frame to elderlies' life quality, And fur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ave sufficient values in furnishing basic data for elderlies' welfare polic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113-142
    * DOI :
    * UCI : G704-001012.2004..19.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들이 체험하고 있는 노후의 삶을 이해하고 그 체험의 본질을 탐색하여 성공적인 노후에 대한 한국 노인들의 의식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노인 40명이었으며, 이들을 2003년 3월부터 5월까지 2회에 걸쳐 개별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체험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의 공통의 속성은 복(福)이었으며, 본질적 범주는 9가지로 나타났다. 9가지 범주는 ‘부부 복’, ‘자식 복’, ‘친구 복’, ‘여가생활 복‘, ’거처 복‘, ’재산 복‘, ’건강 복‘, ’마음 복‘, ’죽음 복‘이었다. 노인은 자식과 가족의 연계 속에서 자신의 삶과 죽음을 인식하고, 자신의 노후에 자식에 대한 의존을 극도로 자제하려는 모습을 보여 죽음마저도 자식을 배려할 수 있고 깨끗하게 맞이할 수 있다면 그것이 하늘이 내려준 복이며 곧 성공적 노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적 문화 안에서 노년기 삶을 이해함에 있어서 통합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노년기 삶에 대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노인의 욕구에 맞는 개입방향 및 방법을 마련함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to explore the nature of successful aging experiences of Korean elderly. 40 elderly aged 65 and ov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of the experiences of successful aging were collected by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respondents from March, 2003 to May 2003. The analysis of data was made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by suggested by Colaizzi. Meaning of experience was categorized as '9 fortune'. This is consisted of nine theme-cluster: The couples live in health; They live happily in their neighbor which is familiar and convenient for them; They can even participate in daily activity such as doing volunteer work and doing some sports; Their children live better life than they did; They have a friend who can talk to and share their emotions with; They keep their health condition as good as now; They afford their daily living expense; They will die in peace; They accept current situation and live their life in a more positive way for the rest of their lif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y understanding elderly's successful aging experience it will help the researchers, educators and practitioners to develop appropriate social services for th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9-95
    * DOI :
    * UCI : G704-000573.2004.24.2.01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가족관계망 유형을 분석하고, 이것이 노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망을 관계망의 형태, 상호작용 빈도, 그리고 내용으로 구분한 후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서울 지역 거주 노인들의 인구학적·경제적 상황과 더불어 가족관계망의 특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K-평균집락분석을 통해 노인들의 가족관계망 유형을 분석하였다. 셋째, 가족관계망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003년 한림대학교 소속 고령사회연구소는 한국 노인의 삶의 질을 조사하기 위해 서울 및 춘천 지역 노인들 2529명에게 설문을 실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 중 서울지역 거주 65세 이상 노인 760명으로 자료를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가족관계망의 특성은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반대로 자녀 및 배우자가 없거나 또는 있어도 거의 접촉하지 않는 노인들 역시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가족관계망 유형은 세 가지로 구분되었는데, 자녀와 긴밀한 관계를 보이는 자녀중심형 외에 자녀보다는 배우자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배우자중심형, 그리고 자녀/배우자 모두와 긴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는 무관계형 등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셋째 이들 유형에 따라 삶의 만족도도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만족도는 배우자중심형에서 가장 높은 반면, 무관계형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사회관계망은 가족 및 친구 공동체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본 연구는 배우자 및 자녀에 대해서만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을 넘어서서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포함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family network of elderly and its effects on th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In order to classify the family network, the authors used the variables of three categories (morphology, interaction frequency, and interaction content). In addition, the authors described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situations of samples and basic characteristics of family network, and classified three types of family network by K-means cluster analysis method. The data based on survey for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South Korea, conducted by Center for Aging Study in Hallym university in 2003. The original data contained 2529 cases. However because the study focused on the elderly who was the over 65 years old and live in Seoul, the cases for analysis were 760. The results were in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network of elderly were very diverse. Some had traditional family network consisting of wife and children, but others only have either of them. In addition, Even though they had children, some elderly did not contact his/her children often. Second, the family network of Korean elderly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independent type, spouse-centered type, and children-centered type. This result implied that traditional children-centered family network was not dominant in South Korea anymore. Third, th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mily network type. In the spouse-centered type, the satisfaction was highest; on the contrary, in the independent type it was lowest. The social network of elderly consists of diverse element like family, kinship, friend and community. In this respect, the study focusing on only family had the limitation to analyze the one aspect of broad social network. Thus, broad scope of study would be necessary in order to supplement the narrow scope of this stud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69-185
    * DOI :
    * UCI : G704-000573.2004.24.1.009서지정보 닫기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로서 노인간병보험 구상을 제시하고, 2005년부터 시범사업을 거쳐, 2007년부터의 시행을 목표로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제도는 사회보험의 운영원리를 기본 틀로 제시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고려한다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보다 앞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인 개호보험제도를 도입 시행하고 있는 일본의 제도 도입당시의 환경과 우리나라의 환경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조세방식이 아닌 보험방식을 통한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의 도입은 시기상조임을 다음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첫째로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긴 하지만 고령화율이 이제 겨우 8%를 넘은 상황에서 사회보험을 통한 장기요양서비스의 제공은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다. 둘째로는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정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의 시행은 제도만이 존재하고 서비스의 부재가 우려된다. 셋째, 노인 장기요양에 대한 1차적 국가책임의 범위와 한계가 논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넷째, 노인간병보험의 기본 이념과 목적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섯째, 제도도입을 위한 국민적 합의도출 노력이 미약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도도입을 위한 준비와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입의 당위성이 미약한 현 상황에서 또 하나의 사회보험을 도입하는 것은 국민의 국가정책 특히 사회보험에 대한 불신을 더할 뿐이다.

    Recently 'Nursing Insurance for Elderly' was proposed as a long-term care scheme for the elderly. The demo project will be performed in 2005 and the full-scale service will be performed from the year 2007. Although this scheme proposed the operational principles of social insurance as a basic framework,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f the environments surrounding senior welfare systems are considered. Accordingly, the environments were compared between Korea and Japan at the time of introduction, which has introduced a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before us and executed the scheme stably. Through this, it was addressed that introducing the long-term care scheme not through taxation but through insurance is much too early for us to accommodate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First of all, although our society is aging quickly, the rate of the aged is a little more than 8% only.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induce the national agreement on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as a form of social insurance. Second, as there is not a secure foundation for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service, it might be the absence of service while the institutions are there, if the scheme is introduced hastily. Third, the scope, the preliminary respon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 on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have not been discussed. Fourth, the basic philosophy and purpo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are not apparent or clear. Fifth, enough efforts to induce national agreement to introduce the corresponding institution were not made. If another social insurance is introduced under these circumstances where the environments to introduce a new institution were not prepared as seen in above, it will add distrust national policies, in particular to social insuran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99-323
    * DOI :
    * UCI : G704-001512.2004..24.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실시로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의 자활사업 참여를 통해 나타나는 자활효과의 정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자활효과의 측정은 정서적 자활, 사회적 자활, 경제적 자활의 3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다.연구결과, 첫째, 자활사업 참여 수급자의 정서적 자활은 평균 3.65점(5점만점), 사회적 자활은 평균 3.96점(5점만점)으로 자활사업을 통해 근로태도의 변화보다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를 더 긍정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경제적 자활은 2.83점(5점만점)으로 보통이하의 결과를 보여 현재의 자활사업은 수급자의 소득증가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가지 차원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으로는 근로조건만이 유의한 인과적 영향을 보였다. 즉, 자활사업의 효과에 자활사업의 참여환경(임금, 작업환경, 노동시간, 실무자의 지원과 관심 등)의 중요도를 반영한 결과라 하겠다. 연구의 정책적 대안으로, 첫째, 현행 자활사업의 단계적 발전모델로 자활근로에서 자활공동체의 이행을 설정하고 있는 정책적 실행목표에 있어 소득중점목표를 둘 것인지, 근로중점목표를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이원화된 정책적 목표설정이 시급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근로태도의 향상과 사회적 관계망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자활후견기관에 사례관리자의 배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수급자의 세 가지 차원의 자활효과가 각기 어느 정도인지 상대적으로 효과가 미약한 자활효과는 어떤 차원의 자활효과인지를 밝힘으로써 향후 자활사업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f-sufficiency effect of Workfare among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recipients. Basing on a field survey, the study measures the self-sufficiency effectiveness at three levels: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91 workers who were being benefited by the Act and working at 8 different Self-Sufficiency Promotion Agenc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a as of August, 2003.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levels appear moderate, their economic self-sufficiency is still lagging behind the average. This means that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doesn’t guarantee the increase in their income levels. The fact reinforces the necessity of setting up two-tiered policy goal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self-sufficiency promotion programs. The policies should give more attention to the income of the recipients as well as to their work itself. Second, since the income from the self-support programs covers most of the public income transfer among the recipients, the policies need to be developed or to be supplemented in ways to contribute for the increase of their earned income by adjusting the range of income deduction. Third, for the purposes of improving the recipients’ work attitudes and extending their social network, case managers need to be placed in promotion agenc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217-244
    * DOI :
    * UCI : G704-001012.2004..20.008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7-58
    * DOI :
    * UCI : G704-000662.2004.20.1.001서지정보 닫기
  • 최근 사회복지학 분야에서는 문제 집단에 대한 긍정적 관심, 즉 그 집단의 강점을 강화하고 문제에 대한 대응과 해결점에 관심을 두는 ‘강점관점’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것을 적용한 연구 범위가 다양한 인구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노인영역에서도 노화의 긍정적 측면을 탐색하고 ‘어떻게 행복한 노년을 보낼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점관점’을 토대로 그동안 간과되었던 노인들의 잠재적 역량과 자원을 규명하고자 여성노인들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즉, 우리 사회 여성노인들이 과거와 현재의 삶을 통해 직면한 역경과 위기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현재에 이르렀는지를 여성노인들의 생애이야기를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생애사 자료는 65세에서 88세에 이르는 27명의 여성노인으로부터 수집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생애의 적응유연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주제는 “억척모성”, ‘시대 탓’, ‘동병상련의 힘’, ‘신념’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노년기 삶의 적응유연성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들로는 ’자신감과 의욕의 원천으로서 건강’, ‘사회적 활동’, ‘가족’, ‘불가항력 위기 극복을 위한 신앙의 힘’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면접노인들의 적응유연성은 다양한 인생역정 속에서 시간의 흐름과 시대적 환경에 따라 변화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노년기 삶에서 적응유연성은 과거와 달리 가족으로부터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결국, 본 연구는 위기를 극복하는 노인의 역량과 방법을 규명함으로써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노년기 성공적 적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nique dynamics of resilience in the Korean elderly women through their life histories. Understanding their resilience mechanism can provide a crucial insight to developing effective adaptive strategies for the elderly. This qualitative study extracted personal narratives from tape-recorded interviews of 27 Korean elderly women and analysed key themes of resilience in their life stories. First, major adversities experienced during their life courses included wars, poverty, ideologies oppressing the life of women, and death of family members. Participants developed their strengths and resilience with a variety of strategies despite these difficulties: 'role of mother', 'laying a fault at that period', and 'faith'. Second, major challenges in their old ages were loss of physical functions, death of spouse, and loneliness. This study found that their overcoming strategies were: maintaining physical independence, social involvement, success of adult children, and spiritual practices. Out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elderly women were actively negotiating with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s to adapt themselves to crises through their life courses. This resilience in the Korean elderly women is not a static trait but instead is a life long process affected by a variety of facto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49-83
    * DOI :
    * UCI : G704-000964.2004..14.007서지정보 닫기
  • 이 논문은 현행 한국아동복지정책의 목표와 내용을 변화하는 제도환경에 비추어 정책목표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대안적 정책목표에 따른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변화하는 제도환경은 인구구조와 가족의 변화,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적 협약기준, 서비스의 다양성과 전문화, 전달체계의 변화를 포함하였다. Chambers의 가치비평적 정책분석틀과 평가기준을 활용하여 현행 정책목표의 타당성을 평가하였고, 정책목표와 급여, 자격, 재정, 서비스전달의 정책내용간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정책내용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한국아동복지제도의 장기적인 발전목표로서 사회보장, 가정보호, 지역사회중심보호, 아동안전과 권리보장을 포함한 네가지 체계의 아동복지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영역별 정책의 목표는 명확성을 갖고 측정가능한 세부목표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 지적되었다. 각 영역별로 정책목표의 실현에 적합하도록 급여와 서비스, 자격, 재정과 서비스전달이 명시적인 정책목표를 반영한 정책내용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not only to evaluate the goal and contents of current child welfare policy of Korea in view of the changing environment of policy and institutions, and also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policy.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re included the structure of population and family, international standard of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 diversity and professionalization of services and delivery system. The verification of policy goal was estimated by the framework an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value-critical appraisal of social policy & programs, which was developed by Donald Chambers. Analysis is focused on the policy goal & objectiv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policy goal or objectives and benefit, entitlement rules, financing methods and service delivery. Also this study presented an alternative model of Korean child welfare policy, composed of four-fold systems, including social security, family care, community-based care, children's safety and rights. It is stressed that each policy goal and objective should be presented with clarity, measurability, and manipulability. Furthermore, benefits, entitlement rules, financing methods and service delivery of child welfare policy and programs should reflect the policy goal and objectives. And the government policy should be evaluated by the quality standard of child welf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131-150
    * DOI :
    * UCI : G704-000946.2004..17.005서지정보 닫기
  • 소득이전 제도는 공적이전과 사적이전과 같은 이전소득 체계뿐만 아니라, 직접세와 사회보장기여로 구성되는 이전지출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소득이전 제도의 효과성을 소득불평등 및 빈곤의 감소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소득재분배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가구를 대표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원인 통계청의 2000년 가구소비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소득분위분배율, 지니계수, 빈곤율, 빈곤갭을 측정, 소득불평등 및 빈곤감소 효과성의 주요 지표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소득이전 제도는 전반적인 소득불평등 수준 및 빈곤의 규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효과는 대부분 이전소득의 재분배 효과에 기인하는 것이며, 또 이전소득 중에서는 사적이전이 공적이전의 효과성을 압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이전지출의 경우 소득불평등 감소 효과성은 미미하였으나, 빈곤 규모의 변화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가복지제도의 개선, 조세와 사회보장기여의 형평성 제고, 지속적인 소득분배 실증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Income transfer system includes the transfer expenditure of households like direct tax and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as well as their public and private transfer in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iveness of income transfer system in Korea, in terms of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eduction effects. Utilising 'Household Expenditure Survey 2000', which was hel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tudy estimates Gini-coefficients, poverty ratio and poverty gap as the main indicators of the effectiveness.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come transfer system of Korea reveals substantial levels of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eduction effects; secondly, such effectiveness is largely due to the redistribution effects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 thirdly, the effectiveness of private income transfer overwhelms that of public social security benefits; fourthly, households' expenditure to direct tax and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does not cause a significant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but significantly increases poverty rate and poverty ga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expansion of state welfare programmes, the enhancement of equity in direct tax and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empirical studies on income distribu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171-196
    * DOI :
    * UCI : G704-001012.2004..20.003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