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05]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423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학, 간호학, 교육학을 포함하는 세 학문 분야에서 인간의 죽음과 죽음과정에 관한 교육 실태와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기위해, 각 학문 분야의 대표적인 교과목의 교재를 분석과 학도들의 욕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일 대학의 사회복지학, 간호학, 교육학 교과과정에서 인간발달과 노년기를 주제로 하는 교과목에서 채택한 주 교재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상기 학문영역의 학도 179명을 대상으로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접근방법에 대한 욕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교재가 죽음과 죽음과정에 관련된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각 과목에 선택된 교재에 따라 죽음관련 내용을 다루는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제간의 차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욕구조사 결과에서 조사대상자들의 90%가 죽음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죽음교육에 대한 접근방법으로는 토론과 사례중심의 교수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휴먼서비스 학문 분야의 죽음과 관련된 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uman service areas regarding Social Welfare, Nursing, and Education address topics related to death and dying and students' needs of death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tent analysis in text books and need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179 graduate students at three above areas in an university located in Daegu. Specifically, 2-3 textbooks from each class, selected by professor in the department,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reality of death education and the number and the type of concepts related death and dying were coded and discussed.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ll textbooks included some information about death and dying, most frequently, death attitude and anxiety, however, among the textbooks in the same class showed a great amount of differences in terms of numbers and types of concepts related to death and dying. The result of need assessment showed that 90% of subjects considered death education was necessary, and discussion and case study was selected as teaching approach for death education. In the end, implications for death education for human service area as well as recommendation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63-286
    * DOI :
    * UCI : G704-001512.2005..30.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을 재조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속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원감, 담임교사 및 부담임 교사, 원감, 실습학생, 학부형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정 이론에서 출발한 교육과정 모델과는 달리 유치원 현장에서의 교수법 개선을 위한 풀뿌리 운동으로써의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은, 말 그대로의 내면적인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서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부터 주제 활동을 진행하는 전 과정에서 유아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유치원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하는 즐거움을 누리고 있는 교육과정이었다. 한편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문제와 교육과정 개선운동에 대한 쉼 없는 투자, 그리고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을 널리 알리는데 따른 어려움 등은 과제로 남겨져 있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reconside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e thematic unit approach in the kindergarten in the Cung Ang University. Researcher interview with Vice-director, teacher, substitute teacher, student teacher, and parents to collect data and analyzed to find meaningful results. Integrated curriculum with thematic unit is not typical theory model, but the implementation movement of instruction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kindergarten. With integration, subject areas are meaningful and natural. The thematic unit is integrated with a variety of subjects. The teachers find on a subject and provide activities that are creative and interesting around the topic. Moreover, it would be roots move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skills which focus on thematic unit children discussed and select with teacher to develop programs. Integrated curriculum seeks to have particular characteristics. Teachers need to listen what children are talking and share a joy with them in classroom. These activities may be fun for children. Children who are invited to participate and collaborate to this approach select the topic to develop thematic unit and foster the development of important concepts and skills. Additionally, there are still several barriers to overcome to succeed this integrated activity. First, we need to develop the successive program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lementary education. Second, we need to be investing most of time in thoughtful topics and themes and a budget more to implement curriculum. An integrated curriculum requires a fully committed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parents who value and understand and support approach. Finally, we need to allow ourselves time for continuous reflection and challenging to implement and develop meaningful integrated curriculu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1-46
    * DOI :
    * UCI : G704-000724.2005..40.005서지정보 닫기
  • 최근 제정된「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의거 2005년 12월부터 도입되는 퇴직연금은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체계에 커다란 변화를 줄 것이라 기대된다. 퇴직연금 도입의 목적 중 하나는 퇴직급여 수급권이 취약한 현행 퇴직금제도의 장기적 대체이다. 따라서 퇴직연금의 도입과 함께 근로자의 수급권 보호를 위한 연금기금의 설치 및 운영상 다양한 장치들이 마련될 예정이다. 그러나 근로자가 적립금의 운영방법을 지시하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과 달리, 사용자가 운영책임을 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에서는 근로자가 사용자의 파산에 따른 지급불능 위험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효과적인 안전망의 구축이 근로자의 퇴직연금에 대한 신뢰확보와 함께 국민연금, 퇴직연금 및 개인연금으로 구성되는 선진형 3층 노후소득보장의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퇴직연금의 지급보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8개 국가의 제도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도입시 고려되어야 할 지급보증기구의 지배구조, 지급보증방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성공적 도입 및 정착을 위한 기본요건들을 제시한다.

    Corporate pension, adopted from December 2005 under 「Employee Retirement Benefit Security Ac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worker's stable income in their retirement life by providing a systematic retirement income scheme in Korea. It aims to replace the traditional lump sum retirement plans funded by book reserves. To secure its purpose, the Act requires a number of measures to protect worker's retirement benefit in various levels. Among these protection measures, pension benefit guarantee scheme or pension insurance system can be an important component in maintaining the viability of defined benefit pension plans, by providing a safety net in case of under-funded pension obligations due to sponsoring firms' bankruptc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nsion benefit guarantee schemes adopted in eight countries. This study not only analyzes each scheme's governance, guarantee procedure, premiums, benefit levels, but also finds country-specific characteristics and shortfalls. Finally, we suggest a direction of the pension guarantee scheme of Korea, as it may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89-116
    * DOI :
    * UCI : G704-000662.2005.21.4.011서지정보 닫기
  • 정서적 유대가 점차 중요시되는 부부관계에서 혼외관계는 부부간 정서적 유대와 신뢰를 흔드는 치명적인 이혼사유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혼외관계의 상황과 이로 인한 이혼의 현상을 드라마가 어떻게 담고 있는지 내용분석을 하였다. 최초로 이혼을 소재로 다룬 주간 드라마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30회분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드라마에 등장하는 부부는 혼외관계 자체뿐 아니라 부부관계의 질을 결정하는 정서 및 의사소통 문제가 내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가부장적인 남편과 의존적인 아내라는 전통적인 부부관계의 설정이 가장 자주 등장하였다. 혼외관계의 대상은 결혼 전 애인이 가장 많았으며, 혼외관계유형으로는 남편에게는 ‘불만족한 결혼생활의 파기수단’이나 ‘만족한 결혼생활에서의 활력추구’가, 아내에게는 ‘불만족한 결혼생활에서의 일시도피나 유지수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러한 혼외관계는 부부 모두에게서 ‘결혼유지기간 6-10년’인 때에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 동안 사회복지 실천 대상에서 간과되었던 중산층 부부에 대한 사회복지적 재규정 및 새로운 가족개입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가족의 일상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환경속 개인’이라는 사회복지의 핵심영역을 묘사하고 있는 ‘드라마’를 사회복지 연구에서의 대안적 영역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등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V drama describes divorce process by the reas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in the drama. To explore this subject, 30 drama synopses delineating extramarital relationship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couples ha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he couples relationship was described traditionally patriarchal: husbands showed their authorities and wives showed dependency on their husbands. The partner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were the lovers before current marriage. The pattern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included 'intention to look for vitality despite satisfying current marriage' for the husbands and 'intention to avoid dissatisfied current marriage temporally' or 'to maintain marriage despite dissatisfaction' for the wives. For those who married 6 years and longer, more extramarital relationship was accepted as a terminator of the marriage. And in many cases, the divorce dose not mean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extramarital partner but to collapse of trust in partner. The results imply that the social work needs to be more sensitive to middle-class couple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problems. This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coupl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65-194
    * DOI :
    * UCI : G704-000330.2005.57.3.012서지정보 닫기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program on problem-solving capacity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Eighteen studen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8 for experimental group and 10 for control group. To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six sessions of the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program were administered, a session for 120 minutes per week, and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took pre and post-test without taking any programs. 「Problem solving inventory」, 「self-esteem inventory」 and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were used in measuring.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s capacity of problem solu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 approach-avoidance style and personal control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although it's not meaningful, the experimental group's self-esteem was much improved after the treatment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counseling session evaluatio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creased positive attitudes on depth, smoothness and positivity, but not on arousal. Fourth, Analysis of responses of the group members surveyed at each session show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fidence in problem-solv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ne's self and ot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program should be actively applied to college students, so that students can make the best use of their strong points and potentiality and lead solution-focused lives with confide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페이지 : 121-141
    * DOI :
    * UCI : G704-002137.2005.7.2.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성별 한일 기대여명 차이에 기여한 사인과, 양국의 기대여명 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인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연구 자료는 한국과 일본의 1985년, 1995년, 2001년 사망원인통계와 생명표이다. Pollard's Method를 이용해 성별 한일 노인의 기대여명 차이와 각국의 기대여명 성 차이를 사인별로 계산해 차이를 가져오는 사인을 분석했다. 성별 한일 차이에 있어 한국남자의 사망력이 큰 사인은 노쇠, 뇌혈관 질환, 악성신생물, 당뇨병, 기관ㆍ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일본남자의 사망력이 큰 사인은 폐렴, 심장질환, 심장기능상실(심부전), 뇌경색증이다. 한국여자의 사망력이 큰 사인은 노쇠, 뇌혈관 질환, 당뇨병, 정신 및 행동장애, 고혈압성 질환이고, 일본여자의 사망력이 큰 사인은 폐렴,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심장질환, 뇌경색증이다. 한국의 기대여명 성 차이에 기여가 큰 사인은 기관ㆍ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뇌혈관 질환, 위의 악성신생물,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 및 간내쓸개관(담관)의 악성신생물이고, 일본의 기대여명 성 차이에 기여가 큰 사인은 기관ㆍ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폐렴,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위의 악성신생물이다. 기대여명 성 차이의 한일비가 큰 5대 사인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결핵, 간의 질환, 운수사고, 당뇨병이다. 남자에서 2~4위인 뇌혈관 질환, 악성신생물, 당뇨병에 의한 수치의 합은 1.54년인데 일본과 한국의 기대여명 차이 3.21년의 반에 가까운 것이다. 여자의 경우 2~4위인 뇌혈관질환, 당뇨병, 정신 및 행동장애를 합하면 1.79년으로 한일 여자 기대여명 차이의 약 42%에 해당한다. 일본 남녀보다 사망이 많은 뇌졸중, 당뇨병, 만성폐쇄성 폐질환, 간 질환, 기관ㆍ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치매에 대한 관리가 요망되며, 한국 남녀 차이를 유발하는 기관ㆍ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간 질환, 고혈압성 질환, 만성 하기도 질환에 대한 대책이 요망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gure out the causes of death that contributed differential of life expectancy at age 65 between Korea and Japan, and sex differential among Korean and Japanese elderly. Methods: The Mortality data and life tables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Japan Statistical Yearbook and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database were used and analyzed by Pollard's method. Results: Causes of death which contributed to widen gaps of life expectanc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ale elderly were senility without mention of psychosis, cerebrovascular diseases, malignant neoplasms, especially malignant neoplasms of trachea, bronchus and lung, diabetes mellitus. Senility without mention of psychosis, cerebrovascular diseases,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ve diseases contributed to the death of female mostly. Pneumonia, heart diseases, especially heart failure, and cerebral infraction contributed negatively. In decomposition of sex differential in life expectancy of Korea, malignant neoplasms of trachea, bronchus and lung, cerebrovascular diseases, malignant neoplasms of stomach, chronic bronchchitis and emphysema, malignant neoplasms of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s were found contributable. In Japan, malignant neoplasms of trachea, pneumonia, heart diseases,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malignant neoplasms of stomach contributed to half of sex differential. Conclusion: Until now the gaps of life expectancy are wide between male and female elderly in Korea, and different with the patterns of death causes of Japanese elderly. We need to prepare the way to reduce the gaps of life expectancy between male and female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33-147
    * DOI :
    * UCI : G704-000573.2005.25.1.002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41-70
    * DOI :
    * UCI : G704-000330.2005.57.2.004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보육이 보건복지부에서 여성부로 이관되면서 발생하는 재정지원체계를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논의한 것이다. 보육은 많은 가족에게 필요한 사회적 서비스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고, 이제는 공보육의 개념이 보편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현행의 재정지원체계, 특히 여성부로 이관되면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하였고, 문제해결을 위하여 아동복지의 원칙에 근거하여 정책적 함의, 특히 왜 보육은 아동과 부모의 권리에 근거하여 시행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전문성, 개발성, 보편성에 근거한 발전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and what kind of changing procedures has been undergo on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system to child care fields, and to find out how these procedures have influenced on today's child care practice by the means and significance based on 2005 fiscal year budget. This study also examined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are influencing present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whether the operations of present system are reasonably estimated and distributed or not.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discuss who holds the responsibilities to operate and support child care programs under the basic principles of child welfare concept.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implications to promote and improve successful child care services to th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rough more effective distribution of governmental support; the financial supporting system and child care service fees have to be based on the principles of child' and parents' right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universal concep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se systems have to develop functioning more effectively satisfying the child and their family. To distribute and estimate the financial assist has to be under the principle of professional and technical basis, because this researcher believes, like other researchers also agreed that the child care services are now in the hand of public responsibilities and then the governmental budget should be divided into balanced between welfare recipients and able famil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401-427
    * DOI :
    * UCI : G704-000724.2005..41.006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33-76
    * DOI :
    * UCI : G704-000143.2005..27.003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지난 10년간 다양하게 수행된 노인우울 관련변인 연구 가운데 51개 연구와 322개 예측타당도 계수인 상관계수를 메타분석하여 연구결과들을 통계적으로 요약하는 것이다. 메타분석 결과, 심리적 변인군의 평균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구학적 변인군은 가장 낮은 평균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분석을 위해 선정된 19개의 하위변인 가운데 평균상관계수가 .30 이상인 변인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인지된 신체건강, IADL 등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계수를 갖는 변인은 동거형태, 연령, 종교유무 등이었다. 하지만 동질성 검정에서 종교유무, 사회활동참여, 월수입 변인만이 통합된 평균상관계수가 동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변인에서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조절변인을 고려한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변인으로 연구대상, 유의수준, 사례수, 논문출처 등을 두고 분석한 결과 조절변인을 고려하기 전에 비해 하위 범주별 상관계수들의 동질성이 상당히 높아졌으나 조절변인의 효과로 보기에는 그 정도가 미약하여 일부 변인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절변인이나 매개모형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ze the recent ten year studies on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elderly. The material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19 variables from 51 studie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ses for doctoral dissertation's and master thesis and articles of Korean academy journal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Among the 6 categorized variable groups,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showed the highest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demographic variable group showed the lowest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s. Variables of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r≥±.3) were self-esteem, perceived physic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IADL. Variables of lower correlation coefficient(r≤±.2) were type of living together, age, and with religion or without among the 19 variables chosen for meta-analysis. Homogeneity test showed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only 3 variables, with religion or withou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monthly income, were homogeneous(p≥.05), and others heterogeneous(p<.05). As for results of second homogeneity test considering moderator variables(object of research, significance level, number of cases, source of papers), although significance levels of homogeneity became considerably high, It was not enough to be regarded as good moderator variabl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research need to be considering another moderator variables in some variabl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67-187
    * DOI :
    * UCI : G704-000573.2005.25.4.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현 한국 노년층 세대의 특성과 노년에 대한 제도적 대응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노년층 내의 경제적 불평등이 유의미한 함의를 갖는지, 그리고 경제활동기의 경제적 지위획득과 연관된 요인들이 노년기의 경제적 지위유지를 설명하는 요인인지를 조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노년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한국노인의 경제적 지위와 관련하여 가족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는 경제활동기의 경제적 지위획득과 관련된 요인들이 여전히 노년기의 경제적 지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요인들임을 보여준다. 노년층 내부에 존재하는 경제적 불평등의 정도와 관련하여 포괄소득으로부터 계산된 지니지수와 타일지수는 현 노년층 내의 경제적 불평등이 높은 수준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하지만 포괄소득을 구성하는 두 하위유형 소득 - 시장형 소득과 가족형 소득 - 은 서로 상반된 경향을 보여준다. 시장에 기초한 소득의 경우 불평등 수준은 연령의 상승에 따라 급격히 상승하는데 반하여 가족에 기초한 소득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증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세대간 경제적 지원의 역할과 관련하여 분석결과는 사회인구학적으로 불리한 속성을 보유한 노인들에게 가족에 기초한 세대간 경제적 도움제공은 노년기에 중요한 경제적 자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결과를 기초로 한국사회에 있어서 세대간 경제적 지원의 잠재성과 현재성 사이의 전환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tatus and well-being among elderly Koreans. Particular emphasis is paid to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these processes because institutional responses to an aging population in Korea are currently inadequate. Path model results indicate that status maintenance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conomic status and well-being as measured by comprehensive income. Further, inequality in comprehensive income - as measured by the Gini and Theil's indices - is substantial and increases in successive age groups. However, market-based and family-based income, two components of comprehensive income, show different patterns. Inequality in market-based income is apparently increasing, while inequality in family-based income is decreasing gradually in successive age groups. With respect to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results indicate that family-income-focused persons possess highly vulner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a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elderly Koreans, intergenerational suppor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ater stages of life.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transition from latency to manifestation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Korea.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3-93
    * DOI :
    * UCI : G704-000573.2005.25.2.005서지정보 닫기
  • 노인복지정책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계획되고 진행되기 위해서는 그 대상이 되는 노인들의 가치관과 태도에 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파악하려는 체계적인 노력과 관심은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국 노인들의 노후부양관이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노인들 내에서 노후부양관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94년과 2004년에 실시한 노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노후부양관은 노인들이 바람직하게 여기는 노후부양주체에 대한 태도를 통해 접근하였다. 노인들의 노후부양관은 크게 가치규범과 현재의 사회적, 경제적, 인구학적 자원 등에 의해 차이가 난다는 기존 논의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노인특성과 시기를 주요 설명변수로 설정하였다. 가족책임에 대비한 개인책임 강조와 사회적 책임 강조 경향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노후부양주체에 대한 태도는 가치규범과 자원을 나타내는 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상황에서도 지난 10년간의 태도변화는 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아들유무, 거주지역, 경제적 자원에 따른 노인들간의 태도 차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들은 앞으로의 노인들은 가족책임이라는 전통적 노후부양관에서 탈피할 뿐 아니라 노인집단간 차이도 적어질 것임을 제시한다. 다만, 가족책임으로부터 벗어난 노후부양관이 개인책임과 사회적 책임 중 어느 방향으로 진전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더 많은 논의와 연구가 요구된다.

    In plan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it is required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ttitudes and values that the elderly hold. Nonetheles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such issu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whether and how the attitudes of the elderly are different across social groups and across time. Using the surveys on Korean elderl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1994 and 2004, the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elderely themselves view family, self or the state as a desired source of support. The multinomial logit model analysis reveals that the views of old age support differ by the current resources as well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rents. Also, regardles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attitude itself has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decade. Furthermore, the effects of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absence of a son, residential area and income sources has diminished over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lderly in the near future will emphasize self-responsibility and state-responsibility as well, while it is still unknown on which they will put more emphasi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11
    * DOI :
    * UCI : G704-000573.2005.25.4.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을 사용해서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체험이 무엇이며 그리고 이들의 적응기 생활체험의 욕구와 문제는 무엇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생활한 지 6개월 이상인 기혼 조선족 여성 8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2회 이상의 심층적인 면담과 관찰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이런 과정을 통해 적응기 생활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한국에 대한 경제적 기대의 상실”, “다양한 관계 속에서 깨어진 한국이민의 꿈”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욕구와 문제는 “가정과 일 사이에서 좌절과 방황함”, “문화적응 관련 여성단체의 도움 부족함”, “취업 관련 정보제공 미흡함”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life experience of the Korean-Chinese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in adjustment period. This study adopte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was developed by van Manen.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8 Korean-Chinese women who have been married to Korean men and been living in Korea for more 6 months. The data for the analysis conducted more than twice for each participant were collected by intensive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three essential themes were drawn by using 'line by line' approach of reflection. The essential themes are "the loss of economic expectations for the life of Korea" and "the broken Korean dream of the immigrant women in the various relationship". And the essential needs include "the discouragement of wander between family and work", "the lack of Women Organization's help in the adjustment of Korean Culture", "the lack of job's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elp develop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support Korean-Chinese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ir adjustment in Korea.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8-244
    * DOI :
    * UCI : G704-000964.2005..15.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아교사와 독일유아교사가 갖는 교사 자신에 대한 교사이미지 평가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나라 교사의 교사이미지 평가와, 두 나라 교사간의 이미지 평가 경향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독일 중소도시에 있는 유아교사 98명과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2004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이미지 평가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분석결과 한국의 유아교사는 교사이미지의 6개요인 중 직업의식과 교사의 인성적 특성에 관한 요인의 이미지를 높게 지각하였고, 독일의 유아교사는 전문성 인식과 교양지식에 관한 요인의 이미지를 각각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독일 유아교사 간에 6개의 이미지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교사가 독일의 교사보다 전문적 기능 요인과 직업의식 요인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arly childhood teachers' evaluations of the "Teachers Image" which developed by Rue(1998). Participants are 98 Germ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06 Korean teachers working in Taejon City. The research was performed from August 2004 to December 2004 in German and Korea by mean of evaluation forms on the "Teacher Image". From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it was found that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conception on the categories that "job attitude" and "Teachers' personality". However German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conception on the categories that "conception on professionalism" and "knowledge on culture". Korean teachers show the high concept level on the categories that "professional skill" and "job attitude" than German teach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37-155
    * DOI :
    * UCI : G704-000724.2005..41.01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 전통문학 텍스트 속에 나타난 노인의 모습을 통해 전통사회에서 노인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18세기에 유행했던 야담문학을 통해 당시의 민중들이 노인에 대해 가지는 태도와 가치를 살펴 그것이 오늘날 우리 사회 현실에서의 노인과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인지를 조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야담문학은 시류에 따른 개방적인 풍속도를 반영하였기에 변화하는 노인에 대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문학텍스트로 매력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 나타난 노인의 性, 노인의 은퇴, 노인의 여가는 결국 노인의 인권과 관련되는 것으로 노인이 높은 생활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정책 입안이 필요함을 역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고대신화시대에는 존경과 권위의 대상이었던 노인이 조선후기에 이르러 풍자와 골계의 대상으로 전락한 원인도 이 야담문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생산성의 향상으로 노인은 더 이상 기능적인 면에서 역할을 담보하지 못하다 보니 편견과 배제의 사회적 억압기제에 노출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볼 수 있다. 문학이 사회현실을 반영한다는 면에서 이것은 당시의 세태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의 부양이 가족관계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조선조 후기는 노인복지 정책의 한계성이 뚜렷하다. 결국 노인 문제를 사회적 쟁점으로 확장하고자 한 기초작업으로서 야담문학은 당당히 그 소임을 다 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he social position of the elderly people have been changed in the traditional society by considering the elderly characters appearing in the Korean traditional texts - especially, the 18th Korean folk tale. In that the Korean folk tale follows the new trend 'openness' in those days, it has a meaning of finding out the changing aspects for the elderly people. Therefore, it tells us that the sex, retirement, and leisure of the elderly people suggested in this research can be linked with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and as such, it emphasizes us that the national policy-planning for the elderly is so required paradoxically. Also, we can find out the reasons why the old people of the respect and authority in the ancient mythological era have become nothing but a befooling target. After all, in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the aged people no longer fulfill their duty to make profit, resulting in the pressure mechanism exposed by general people's prejudice and isola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policies for the old people's welfare is limited only within their famil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Eventually, as a basic framework that extend all the stuff related to the old people to a social issue, the Korean folk tale now bears its responsibil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87-307
    * DOI :
    * UCI : G704-001512.2005..30.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의 중산층 가계가 노후준비를 적정한 수준으로 하고 있는가를 점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년간 중앙일보의 ‘자산리모델링 칼럼’에 게재되었던 74 케이스 가계의 재정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가계의 재정자료는 현재의 30대와 40대가 주류를 이루는 한국의 중산층 가계를 대표하는 사례이고, 또한 가계의 자산상태와 수지상태가 보다 정확하게 나타나 있는 자료이다. 분석 결과, 분석 대상 가계의 약 36%는 현재 거주하는 주택을 처분해도 노후에 현재와 같은 생활수준을 유지할 정도로 적정한 노후자금을 준비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거주하는 주택을 제외한다면, 약 46%의 가계가 적정한 노후자금을 마련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약 부동산 자산의 처분이 불가능하여 금융자산으로만 살아가게 된다면 약 51%의 가계가 적정한 노후자금을 마련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투자집중형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가계의 경우는 90%-100%가 적정한 노후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부족한 노후자금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투자형 상품을 사용하는 것이 노후자금 준비에 훨씬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퇴연령을 65세나 70세까지 연장하는 경우에는 가계의 약 80%-90%가 적정한 수준의 노후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stimates the adequacy of retirement wealth of pre-retired Korean househol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74 cases of households appeared in 'household asset remodeling' articles of Joongang Ilbo from September, 2002 to July , 2004. Retirement wealth is projected using empirical model based on life cycle theory. Results suggested that 36% of the households were not adequately prepared for retirement even if they use their housing wealth for their retirement. Except for the housing wealth, 46% of the households were not adequately prepared for retirement, and 51% of the households were not adequately prepared for retirement if they were allowed to use only financial wealth for their retirement. About 90% of the households that had portfolio with investment assets more than 20% of total assets were adequately prepared for retirement. About 80% of the households could be adequately prepared for their retirement if they can retire at 65 or 70.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21-36
    * DOI :
    * UCI : G704-000573.2005.25.1.006서지정보 닫기
  • 20세기 이후 장애에 대한 사회적 대처의 역사는 분리와 통제에서 지역사회 참여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다. 한국의 경우에도 최근 30년간의 변화는 이런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장애관련 입법들을 통해서 보면, 한국의 장애담론은 보호, 훈련, 제한적인 경제적 지원, 제한적인 사회적 지원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한국 사회의 대중 담론의 변화에 기초를 두지 못했기 때문에, 외형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면에서는 파편적이고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향후의 장애담론은 대중 담론과 결합하면서 장애관련 제도의 통합적인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정상화, 사회적 모델, 자립생활 등의 담론은 인권 담론이라는 보다 보편적이면서 대중적인 친화력을 가지는 틀로 통합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도덕적·운동적 접근과 법적 접근이 체계적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disability discourses related to transition of Korean welfare for disabled people and search for alternative discourse corresponding with the wider social context. During the 20th century, social response on disability has changed from the social segregation and control to the enhancement of social participation. In recent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for disabled people in Korea, this context also can be adopted. Seen from the legislations related to disabled people, changes of the disability discourse in Korea can be explained by the four stages: institutional custody, rehabilitation and training, limited economic support and limited social support. But these changes didn't have any connection with the wider society's discourse. This lack of social approval leads to fragmented and limited disability services, despite of legislativ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for disabled people. So the alternative disability discourse should be closely combined with the wider society's discourse and be able to guide systematic and universal development in disability policies. Recent disability discourses which include normalization, social model, independent living are to be replaced and integrated to human right discourse which is familiar with the wider society. On the basis of human right discourse, systematic ways in which social attitudes for disabled people and disability movement as well as the legislative arrangements for disabled people are considered can be explor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147-178
    * DOI :
    * UCI : G704-SER000010336.2005..1.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운동의 역사를 시기별로 조망해 보고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기별 구분 및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는 기준으로는 운동의 가치와 목표, 조직 형태, 운동 주체, 운동 방식의 네 가지를 이용하였다.운동의 시기는 장애운동의 태동기(1988년 이전), 성숙기(1988∼1990년대 중반), 다원화기(1990년대 후반 이후)로 구분될 수 있었다. 장애운동의 성과로는 운동의 가치와 목표로 인권 및 자기결정권을 주요한 가치로 정립했다는 점, 운동의 조직형태가 장애단체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를 아우를 수 있는 연대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 운동의 주체가 중증장애인 중심으로 발전하였다는 점, 운동 방식이 매우 다양화되었다는 점을 들었다. 반면, 장애운동의 과제로는 운동의 가치를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점, 운동조직 간에 보다 활발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 운동주체의 대중화를 꾀해야 한다는 점, 운동방식을 사회의 총체적인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the aim of looking over the history of disability movements and revealing achievements of these movements and assignments. As the criteria of these and chronological distinction, there are four : values and aim, the form, the subject and the ways of these disability movements. The time could be divided into quickening time(before of 1988), maturing time(1988~the middle of the 1990s), diversifying period(after the 1990s). The achievements of the disability movements are the following: establishing that human rights and the right of self decision as for the values and aims of this movement, as for the form of the movement, allowing the jointing foundation which the disability organization but also citizen society can participate as for the form of the organization, putting the importance toward the person with severe disability as for the leading people of the movement, diversifying the ways of the movement, etc. On the other hand, four different facts can be addressed as for the assignments of the disability movement: making the value of the movement more clear, building up the active network among the organizations, doing popularization of the movement, seeking for the fundamental changes of the society in the way of the movement, etc.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5-32
    * DOI :
    * UCI : G704-001012.2005..21.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우리의 사회복지사들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실천활동을 분석해 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한국의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669명의 조사 대상자 중 361명이 응답)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실천기술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실천현장에 뿌리를 두고 경험적으로 조사했다. 활용도가 높은 기술 132개의 목록을 제시했으며 그 기술들 안에 존재하는 주요 기술 축 7개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들 각 기술 축 안에 존재하는 하위 기술군들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되었으며, 이들 하위 기술군을 대표하는 핵심기술지표 42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천현장별로 각기 다른 실천기술 축을 확인해 분류하였다. 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mpirically social work practice skills that are being used most frequently in a variety of social work settings in Korea. Out of 669 questionnaire sent, 361 were return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7 underlying axes from 132 most frequently used practice skills. They were named as: casework skills, group work skills, family work skills, community work skills, volunteer managing skills,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skills, and agency managing skills. Second factor analysis explored underlying sub-factors from each of the seven axes. Researcher identified 42 principal skills that can represent the underlying sub-factors explored in the previous stage. Finally, research checked if the different work settings use different practice skill axes. Study results can be used to connect social work education settings and practice fields in Korea. There has been an argument that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has been teaching improper practice skills to the to-be-social work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1-91
    * DOI :
    * UCI : G704-000330.2005.57.1.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의 총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지혼합지출구조를 분석하였다. 특히 국가의 조세지출, 가계의 보육비 지출, 사회적 목적의 생명보험급여, 가족의 사적이전과 보살핌노동의 경제적 가치 등 기존의 사회복지재정이나 복지혼합 연구에서 배제되어온 요소들을 추가함으로써, 한국의 복지혼합 지출에 대한 추계방법을 정교화 하였다. 추계결과, 2000년도 국가, 시장, 기업, 비영리부문, 가족 등을 모두 포함한 한국의 총 사회복지 지출규모는 128.8조원으로서, 당해연도 경상 GDP의 24.7%에 달하였다. 이는 국가의 직접지출 31.9조원(GDP의 6.1%)의 약 4배, 법정민간부문을 포함한 공공부문의 지출 50.2조원(GDP의 9.6%)의 약 2.5배에 해당하는 수치로서, 한국의 사회복지 공급구조에서 순수 민간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무척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출추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복지혼합구조를 ‘보호적인 가족 주도형의 혼합적 복지혼합구조’로 정의하였고, 기존의 3부문 모델을 적용할 때에는 ’성장된 공공부문,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시장, 보호적 가족(공동체)‘로 요약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가족중심적 복지혼합구조는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연대의 근원이 가족임을 보여주며, 따라서 한국의 복지체제를 보수주의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는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expenditure structure of the welfare mix, in order to grasp the holistic feature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Most of all, the article attempts to elaborate the estimation method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by including the components from which has been excluded so far-indirect tax expenditure of the government, nursery payments of households, life insurance pay-outs for survivors, inter-household private income transfers and the value of caring work of the family. In so doing, the article estimates that the total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cluding state, enterprise, market, NPOs and family reached at 24.7% of GDP in 2000, which is approximately 2.5 times more than public social welfare expenditure. It implies that non-state, private sectors dominates the structure of social welfare provisions in Korea.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expenditure structure, the article defines the main feature of Korea's welfare mix as the ‘mixed structure of the welfare mix dominated by the protective family', or 'expanded public sector, relatively limited market, and protective family’. Such a family-dominated welfare mix structure in Korea indicates that the fundamental source of solidarity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is family and, therefore, the welfare regime of Korea can be classified as ‘Conservativ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3-54
    * DOI :
    * UCI : G704-000662.2005.21.3.009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