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이언트의 폭력이 사회복지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이홍직
송기범
본 논문은 클라이언트의 폭력이 사회복지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고자, 본 연구는 우선 사회복지사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폭력을 노동현장에서의 폭력으로 규정하고, 발생의 경위 및 유형을 통해 개괄적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폭력을 이해하기 위해 스트레스 모형을 포함한 다양한 개념 및 이론적 모형을 소개하고, 선행된 실증적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다. 아직까지 클라이언트의 폭력 및 이러한 폭력이 사회복지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은 문제에 중요성에 비해 지극히 미흡한 실정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한 모형을 바탕으로 다양한 모형의 계발과 이를 바탕으로 한 많은 다양한 실증적 후속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하며,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사회복지현장에서의 폭력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길 기대한다.
주제어: 클라이언트 폭력, 사회복지사, 스트레스이론, 아동복지
Client Violence and Its Impacts on
the Social Work Profession
Hong-jik Lee(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Social Work, Kangnam University)
Ki-bum Song(Ph. D., School of Social Work, Columbia University)
The study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 examining the prevalence and content of client violence toward social workers and the negative outcomes of client violence on victimized individual workers’ well-being and organizing functioning in the U.S. and some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he etiological explanations for the occurrence of client violence in the social work profession are addressed. Recognizing the lack of theoretical bases in the empirical studies pertaining to client violence in the social work profession, a structural model - recently developed in other disciplines - is introduced. Based on a work stress theory with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his model articulates the mechanism of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tressor (experience of violence at work), stress (fear of future violence), and strain (negativ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 in the context of violence at work.
Keywords: client violence, social work profession, stress theory, child welfar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39-70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1
서지정보 닫기
-
중증 정신장애자들의 이원적 자존감과 관련된 요소들에 관한 연구
-사회사업적 함의-
강상경
Modified Labeling Theory에서 주장된 바와 같이,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이 정신질환자들에게 사회적 심리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사회학적 연구들은 내면화된 낙인(self-stigma) 의 부정적인 영향들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가 하는데 대한 이론적, 실천적 방향 제시가 부족하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내면화된 낙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심리학적 요소와 그 경로들을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해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 도출이 주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미국연방정부 정신건강국의 지원을 받아(R03 MH64317-01A1) 461명의 정신질환자들을 미시간주 남동부에 위치한 25개의 지역사회정신건강 재활치료소들(즉, supported education programs, consumer drop-in centers, and clubhouse program)로 부터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서베이를 통해서 사회인구학적 배경, 정신건강배경, 정신질환으로 인한 차별 경험, 심리학적 특성(즉, affective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자기자신에 대한 이원적 태도나 평가(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그리고 행동적 특성(즉, withdrawal tendency and secrecy tendency) 등의 질문들에 답하였다. 주된 연구결과는 (1) 자기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자신의 긍정적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과 (2) 자기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영향을 주는 적응행동(coping behaviors)과 자기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영향을 주는 적응행동이 같지 않다는 것이다. 즉 긍정적 평가는 인지적인 특성보다는 감성적인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반해서, 부정적인 평가는 감성적 및 인지적 요소 모두의 영향을 받았다. 나아가, 긍정적인 자기 평가가 withdrawal behavior에 영향을 주는데 반해, 부정적인 자기 평가는 secrecy behavioral tendency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내면화된 낙인이 다면적이어서 다면적인 실천과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제어: 스티그마, 이원적 자존감, 만성중증 정신질환, 이원적 자존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 이원적 자존감의 결과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Two-Dimensions of Self-Esteem among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es*
-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
Sang-kyoung Kahng, Ph. D.(Seoul National University)
Regardless of emerging evidence of self-complexity and of multiple dimensions of the self,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examined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multiple dimensions of self-esteem among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Using data collected from 461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self-esteem by testing an attitude theory-driven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SEM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self-worth differ from those of self-deprecation. With regard to the predictors, while self-worth was associated with factors related to affect, self-deprecation was associated with factors related to both affect and belief. Regarding the consequences, while self-worth was associated with approaching or withdrawing behavior, self-deprecation was associated with information-managing behavior. Social work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Keywords: stigma,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mental illness,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self-esteem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09-241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10
서지정보 닫기
-
가정위탁아동에 대한 위탁부모의 교육참여증진 요인
강현아(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조교수)
가정위탁은 2003년 본격적인 서비스가 시작된 이래 시설보호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앞으로 더욱 확대될 가정위탁 서비스의 질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위탁부모의 교육참여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위탁아동의 학업성취 저하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사회적 자본이론 (Social Capital Theory)을 바탕으로 위탁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 아동교육에 대한 관심, 그리고 아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참여증진 요인을 탐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미국 일리노이주 후견인 보조금제도 시범연구(Illinois Subsidized Guardianship Waiver Demonstration) 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방법(secondary data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주요 통계방법으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위탁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그들의 교육참여수준과 유의미한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의 학업성취에 대한 위탁부모의 기대수준은 그들의 교육참여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위탁부모와 아동 간의 관계 특성 변수 또한 교육참여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는데, 특히 위탁부모와 아동간의 애착도는 위탁부모의 교육참여를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위탁부모의 선발과 훈련에 관련하여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주제어 : 위탁양육, 위탁아동, 위탁아동의 학업성취, 위탁부모의 교육참여
Investing in Children's Education: Substitute Caregivers' Socioeconomic Resource,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Relationships with Children
Hyun-ah Ka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test if the following factors affect the degree of the substitute caregivers' investment in education of the children in public care: Caregivers' socioeconomic resource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relationship with children. The study used secondary data of the Illinois Subsidized Guardianship Waiver Demonstr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the main statistical method. Study results revealed positive effects of caregiver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the child on the level of caregiver involvement. Particularly,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children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caregivers' investment in children's education. Discussed are the study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Keywords: foster care, foster children, educational achievement of foster children, educational involvement of foster paren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07-131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9
서지정보 닫기
-
복지체제와 생산체제의 조정척도 구성과
제도적 상보성에 관한 비교사회정책 연구
백승호(서울대학교 강사)
본 연구는 복지체제와 생산체제의 조정척도를 구성하고, 제도적 상보성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OECD 14개 회원국에 대해 1980년부터 1997년까지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복지체제와 생산체제의 핵심 제도들을 하나의 척도로 구성하였다. 복지체제 영역에서는 사회보험, 노동시장정책, 가족지원 정책관련 제도변수들이 포함되었고, 생산체제 영역에서는 노사관계, 기업지배구조, 직업훈련 및 교육, 기업간 관계와 관련된 제도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분석결과 복지체제와 생산체제의 각 제도들을 하나의 척도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척도들을 검토함으로써 복지체제와 생산체제 영역의 제도들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구성되고 있다는 것을 탐색적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복지체제와 생산체제의 제도적 상보성은 소득불평등으로 측정된 정치경제적 성과와도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분배조정, 생산조정, 제도적 상보성
A Comparative Social Policy Study on Extracting Coordination Indices and the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between Welfare Regimes and Production Regimes
Seung-ho Baek
This study extracts coordination indices: a coordination of distribution and that of production. Then it analyses the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between two coordination strategies.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can be explained in two ways. First,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is present when one of the institutional forms reinforces the existence of the other. Second,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i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political economic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by extracting factors from institutions that are influenced by the coordination strategies of welfare regimes and those of production regimes.
Using data collected from 14 OECD countries from 1980 to 1997,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wo questions. First, is there an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in the coordination of distribution and that of production? And is there an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between the two coordinations? For answering these questions, this study used common factor analysis.
This study reveals that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is present between welfare regimes and production regimes. And it refers to political economic performance.
Keywords: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coordination of distribution, coordination of produc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71-105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8
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구성 및 빈곤율 분석
-가구유형별 근로소득과 공적연금소득의 비중 및 빈곤제거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완(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
조유미(국민연금연구원 연구원)
이 연구는 다층소득보장체계가 미성숙한 현시점에서 우리나라 노인계층의 소득구성 실태를 파악하고 외국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소득구성의 특징을 파악하는 한편 근로소득과 공적연금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에 가구의 특성별(연령별, 성별, 소득분위별) 소득구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가구주의 근로여부별, 공적연금 수급여부별, 자녀동거여부 등에 따라 각 소득원의 구성이 어떻게 달라지며 각 소득원이 빈곤을 해결하는데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후 가구에서도 근로소득비율이 상당히 높았으며 특히 고소득, 고연령일수록 기타가구원의 근로소득에 의해 근로소득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공적연금 수급비율은 높지 않으나 일단 수급하는 경우 가구소득 중 차지하는 비율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인자녀와 동거할 경우 노인의 경제 상황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 노후소득구성, 빈곤완화효과, 공적이전, 사적이전
The Old-age Income Packages and Their Anti-Poverty Effectiveness in Korea
Soo-wan Kim
Yu-mi Cho
In Korea, multi-pillar systems for old-age income security is yet immature. Under this circumstances, this study to catch the old-age income package in Korea and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come sources in terms of distributional effects.
Differences of old-age household income package according to income level, gender and age of the householder was analyzed, and how each income source is effective to reduce old-age poverty. The results suggested that working income in even old-age household was still high, especially in higher income and older age group due to compensatory earnings of non-elderly household members.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OECD countries in old-age income package showed the far higher proportion of income from work and private transfers and lower share of public transfer incomes in Korea.
Even though the take-up rate of public pension is yet low, the share of public pension was substantial among the households with pension benefits. The portion of other public and private transfers revealed higher in The lower income and older householder. Finally, we also investigated the substitut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nsion and private transfer in Korea.
Keywords: Old-age Income Package, Poverty Reduction Effect, Public Transfer, Private Transfer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5-37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7
서지정보 닫기
-
미국과 프랑스 복지개혁 비교 연구*
나병균(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 글의 목적은 최근의 미국과 프랑스의 복지개혁을 비교하고, 그로부터 정책적, 이론적인 시사점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 글에서 복지개혁은 공공부조의 개혁과 동일한 개념이다.
미국의 복지개혁은 빈곤의 원인과 대책에 있어서 철저한 개인주의적 가치에 기초하고 있다. 1995년의 복지개혁은 급여가 곧 수급권이던 것으로부터 급여 제공의 조건으로 수급자의 노동의무가 요구되는 조건부 급여로 바뀌었다. 개혁의 주된 표적 집단은 아동을 부양하고 있는 여성들이다. 소위 “복지모(welfare mother)” 집단이 대표적이며, 이 단어는 미국 사회에서 매우 부정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미국에 있어서 복지개혁의 목표는 “의존과의 투쟁”으로 요약된다. 개혁된 복지제도의 핵인 빈곤가정 임시구호(TANF)는 급여제공의 조건으로 수급자의 노동의무가 부과되며 벌칙조항들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한편 정책 주체로서의 연방정부의 권한이 대폭 축소되는 반면 주정부의 권한이 대폭 강화되었다.
프랑스의 복지개혁은 개인주의 대신 연대주의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프랑스 사회에서 공공부조는 부정적인 인식과는 거리가 멀다. 주된 표적 집단은 25세 이상의 장기실업자 및 청년실업자 집단이다. 새로 만들어진 복지제도, 통합을 위한 기초소득보장(RMI)과 사회적 배제 기본법(LOLE)의 목표는 사회적 배제와의 투쟁으로 요약된다. 새로운 제도에서 노동의무는 국가와 수급자 사이에 체결되는 사회계약에 따라 부과되지만 벌칙조항들은 엄격히 적용되지 않고 있다. 복지개혁은 재정의 수준에서 중앙정부의 권한을 강화시킨 반면 서비스 수준에서는 지방 중심 원칙이 유지되었다.
두 나라 복지개혁의 유사점은 공공부조 급여의 조건으로서 노동의무가 부과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의무의 내용과 의무 불이행의 경우 수반되는 벌칙의 정도는 두 나라가 동일하지 않다.
주제어 : 복지개혁, 공공부조, 근로연계복지, 통합, 기초소득보장
Comparative Study of Welfare Reform Between U.S.A. and France
Byong-kyun Na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the welfare reforms between U.S.A. and France and to find ou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from them.
The welfare reform in the U.S.A. of 1995 has completely changed the concept of benefit from entitlement to something given to poor in return for the mandatory work. The main target group is women with children, so-called "welfare mothers". The objective of the American welfare reform is referred to "fight against dependency" of the welfare recipient. Sanctions in case of the contravention are to be strictly applied. The role of federal government is weakened while that of the state is strengthened.
The objective of French welfare reform is to "fight against exclusion" based on the republican tradition of solidarism. The target groups are the long-term unemployed and the unemployed young adult over 25. The new welfare systems, RMI and LOLE, stipulate sanctions in case of the contravention. However, they are not strictly applied.
Welfare reform in Franc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which provides social services is still important while the financial role of state is strengthened.
The welfare reform in the U.S.A. and in France are similar as both of them impose the mandatory work in return for the assistance(workfare). However, the contents of mandatory work and sanctions are different from one country to another.
Keywords: welfare reform, public assistance, workfare, integration, basic income guarante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71-303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6
서지정보 닫기
-
합동개발전략에서 국가조직의 지역사회 역량강화에 대한 기여
황보람
본 연구는 기존의 국가 주도 경제성장 전략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지역사회 참여중심 합동개발전략을 살펴본다.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실시되고 있고, 특히 빈민을 조직하고 그들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심리적 역량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둔 지역사회 참여중심 합동개발전략에 대한 기존연구가 대부분 비정부 조직(NGOs)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었다면, 본 연구는 국가조직, 즉 정부 역시 여전히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참여중심 합동개발전략이 실시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인 브라질, 멕시코, 방글라데시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첫째, Hirst and Thompson의 주장과 같이, 국가 조직은 개발관련 활동 네트워크를 구조화/재구조화함으로써 합동개발전략에서 중요 부분을 차지한다. 둘째, 합동개발전략의 성공여부는 국가조직이 국민에게 책임을 지는 제도를 마련하고 특히 소수의 참여를 보장하는 메커니즘을 제도화하는데 달려 있다.
주제어: 합동개발전략, 지역사회 참여, 지역사회 역량 강화
The Contribution of Government in Joint Development Strategy to the Empowerment of Community
Bo-ram Hwang(Ph. D, UC Berkeley)
As a response to the weaknesses of state-led economic growth strategy, community-participation-oriented joint development strategy has become a new and alternative tool to promote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Unlike recent studies on joint development strategy which focus more on the rol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this study argues that governments also have the potential to mobilize and empower the poor in the implementation of joint development strategies, by analyzing the role of the governments in three case studies of joint development strategies implemented in Brazil, Mexico, and Bangladesh.
Keywords: Joint development strategy, community participation, community empowermen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305-326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5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67-208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4
서지정보 닫기
-
여대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아동기 스트레스 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
석말숙(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김혜영(수원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본 연구는 여대생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아동기 누적된 스트레스 경험에 의해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를 밝혀 초기성인기 적응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아동기 신체학대, 지각한 부모의 거부, 성 학대와 부부폭력 목격, 또래의 따돌림과 같은 종류의 스트레스 사건 경험 유무에 따라 전혀 경험 하지 않은 집단과 경험한 적이 있는 집단을 나누고, 경험 집단은 한 가지 종류만 경험한 집단, 두 가지 경험한 집단, 세 가지 이상 경험한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전체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에서 총 12개 클래스를 선정하였고, 실제 조사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529명 이었으나,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는 519명이었다. 연구 결과, 아동기 학대나 부부 폭력 노출, 또래 따돌림 등의 환경적 스트레스 경험이 누적되었을수록 자기 비난, 현실 회피와 같은 소극적인 대처방식을 더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제어: 아동기 학대, 스트레스 경험, 대처방식
A Study on Individual Differences of Girl College Students in Coping Strategies to Stress
-focusing on the impact of stress experience in childhood-
Mal-suk Suk
Hye-young Kim
This study purpose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reating adjustment program in early adulthood by illuming how coping strategies to stress of girl college students are different.
First of all, we divided the group which experienced physical abuse, being rejected by parents, sexual abuse,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isolation from peer group and the group which did not experience them at all. Next among experienced group, we subdivided the group experienced one, two, and three types. Thus we divided four groups in all.
We selected 12 classe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529 students joined in the research, but 519 are used for final analysis. After research, it i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ho have accumulated child abuse,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isolation from peer group tend to use ineffective coping strategies such as self-criticism, escape from reality.
Keywords: Child abuse, Stress experience, Coping strateg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43-270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3
서지정보 닫기
-
자활지원 사례관리 모형과 운영방안 연구*
홍선미(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본 연구는 다중적이며 장기적인 욕구를 가진 자활사업대상자에게 적합한 사례관리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자활지원 분야의 사례관리는 고용과 생계안정이라는 구체적인 욕구에 초점을 두어 참여자의 자활을 돕는 협의의 개념으로부터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장애요인들을 제거하며 필요한 서비스를 지역사회보호체계 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광의의 개념을 포괄한다. 본 연구는 61개 자활후견기관에 관한 사례관리 실태자료와 외국의 사례관리 운영 자료를 기초로, 자활지원 분야의 사례관리모형을 세 가지로 제안하고 있다. 공적체계를 중심으로 지역 내 자활지원 사례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중개모형과 지역 내 서비스기관들의 연계체계를 통해 자활지원을 비롯한 통합적인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모형, 개별 자활후견기관을 중심으로 자활사업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지모형을 중심으로 각 모형의 목적과 기능, 개입주체 등을 살펴본다. 또한, 세 가지 모형에 기초하여, 사례관리의 구성과 운영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요소들을 8개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사례관리 기간 및 접촉빈도, 사례관리 량, 서비스의 범위와 종류, 서비스 제공시간과 장소, 사례관리팀 구조 등을 중심으로 각 모형의 운영 틀을 구성해 봄으로써 실천현장의 특성과 기관여건에 적합한 자활지원사례관리를 구체화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주제어: 자활지원 사례관리, 사례관리 모형, 사례관리 구조, 자활후견기관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to
Employment-Focused Program
Seon-mee Hong
This article reviews the notion of case management that has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specific needs and diverging objectives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Despite its popularity, case management is an ambiguous concept and lends itself to many adaptations with a wide variety of objectives.
This article describes different models of case management that are applicable to employment-focused programs, ranging from client-oriented to system-oriented ones. Examples of models include the Broker Model, the Generalist Model, and the Supportive Model. Comparisons among models are made to identify goals, functions and issues related to providing case management.
Briefly, the Broker Model helps the client negotiate the fragmented system of care available in the community. In this model, the public authority is responsible for the gate-keeping and the ongoing monitoring of care. The Generalist Model, provided by a multi-disciplinary team, assists clients in identifying, securing, and sustaining a range of resources both environmental and personal. The Supportive Model helps the client achieve stability at work and in the community.
These models are further specified and differentiated by eight dimens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duration, intensity, focus of services, availability, site of service, training, authority and team structure. The identification of key features of distinct models can contribute to a more consistent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various employment-focused programs and the specific local contexts.
Keywords: case management, case management model, employment- focused program, broker model, generalist model, supportive model,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men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33-165
* DOI :
* UCI : G704-000143.2006..29.002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최근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일반가정위탁보호와 관련한 것으로 어떤 사람들이 공적인 경제적 지원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위탁보호를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며, 그들은 실제로 위탁부모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H위탁기관의 위탁부모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이들이 동일연령대의 일반인들과 비교했을 때 학력수준이 높고, 경제적 수준 역시 도시가구평균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으로 비교적 동질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위탁부모들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한 역할 책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위탁부모들은 아동의 심리적 적응과 관련된 문제를 비교적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위탁보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임에도 위탁부모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지 않은 역할들을 밝힘으로서 향후 위탁기관의 역할로 조정되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위탁부모의 모집, 선발, 교육과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이 어떤 것들인지를 알 수 있게 되었으며, 위탁부모의 역할과 관련 주체들간의 역할정립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7-114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06
서지정보 닫기
-
대학생의 음주문제는 일반성인에 비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선진국에 비해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샘플의 크기는 414명이며, 문제성음주의 측정은 AUDIT(알코올사용장애검사)이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카이검증, t-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음주문제는 일반성인들에 비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 실증되었으며, 성인들에 비해 폭음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요인과, 개인특성요인, 가족환경요인, 학교환경요인으로 회귀식을 구성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신앙생활, 최초음주연령, 감각추구경향, 음주동기, 부모음주문제, 가족지지, 학업성적, 친구의 영향은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영향력이 있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음주문제 해결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언하고 추후의 과제를 부언하였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47-372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15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9-86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1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소년사법처리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대전의 소년원 및 보호관찰소에서 사법처리과정에 있는 청소년 570명을 조사하였으며 삶의 질 측정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t-test, Oneway- ANOVA, 일반선형모형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법처리과정 청소년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자신의 삶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부분에서는 삶의 질을 낮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소년사법처리과정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낙인, 경제수준, 인권침해이었으나 삶의 질 하위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소 달랐다. 즉 신체적 건강영역에서는 부모낙인, 첫 체포나이, 사법처리절차, 인권침해, 주변낙인, 성별이 영향을 미쳤고 심리적 건강영역에서는 부모낙인, 비행횟수, 주변낙인, 성별, 첫 체포나이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관계영역에서는 부모낙인, 경제수준, 첫 체포나이, 비행횟수가, 환경영역에서는 경제수준, 부모낙인, 비행횟수, 사법처리절차, 성별이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과 더불어 비행관련요인, 사회적 낙인감, 사법처리과정 중 인권침해 등 사회환경적 요인 등이 총체적으로,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65-290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13
서지정보 닫기
-
15개 요소6개 요소11개 요소85개 요소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09-236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12
서지정보 닫기
-
베버리지 보고서는 세계 제 2차대전 이후 국내외의 지지를 받아, 영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의 복지정책에 큰 영향을 미쳐왔지만, 그의 사회보장 원칙과 가정에 대한 비판도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물론 베버리지 사회보험의 원칙과 가정이 실현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이러한 비판가운데 일부는 잘못된 이해와 해석, 베버리지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실행된 정책 혹은 최근상황을 기준으로 평가한 것도 있다. 이는 베버리지가 받아야 할 비판이상의 부당한 평가 역시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베버리지가 사회보장제도를 고안했을 때에 적합했던 원칙과 가정을 비판하기보다, 변화된 상황을 고려하여 복지국가의 이념과 가치를 지키며, 사회적 연대와 보편주의를 고수할 수 있는, 사회보장의 원칙과 가정마련에 주력하는 것이 더 건설적이라고 생각한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75-208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1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부모역할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 만족감을 증진시키며, 가족관계를 향상하여 가족의 긍정적 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을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매 2시간씩, 총 8회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분석을 통해 부모역할 만족도, 양육효능감, 그리고 가족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검증되었다. 이를 위해 사전조사, 사후조사, 그리고 종료 3개월 후 추후조사가 각각 실시되었으며,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가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상자들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부모역할에 대한 일반적 만족도, 자녀양육에 대한 효능감과 전반적 양육능력, 학습지도능력, 그리고 가족관계와 가족 간 수용존중능력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부모역할능력을 강화하고 가족기능을 증진하는 사회복지실천의 도구로서 유용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43-174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10
서지정보 닫기
-
청소년들은 부정적인 심리 상태를 경험할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한 문제해결방법으로 음주를 선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성인의 행동을 모델링 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은 청소년 음주예방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2) 술에 대한 긍정적 인식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범주에는 심리적 위안, 스트레스 해소, 자기개방 촉진, 인간관계 확대, 친밀해짐, 정신건강 유익, 신체건강 유익, 실수만 없으면 좋은 것임 등의 개념이 제시되었다. 청소년들은 술을 마심으로 인해 심리적 위안을 얻으며 스트레스가 해소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술로 인해 자기개방이 촉진되고 인간관계가 확대되는데 도움이 되며 친구들과의 친밀감을 증진시킨다고 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최정아, 1998; 한성현한동우, 2001), 청소년 음주가 증가하는 이유 중 하나가 음주기대이다. 즉, 음주가 긍정적인 감정을 증가시키고 부정적인 감정을 감소시켜 준다고 믿을 때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음주를 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본 연구에서 청소년들이 제시한 의견과 일치하는 부분이다. 특히 이러한 상황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 기술이 없다면 음주는 지속되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도 청소년들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 술을 마신다는 것이 음주 동기로 입증되었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19-346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09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도시지역 미취업노인들의 취업의사결정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인들의 취업의사와 인구사회학적인 요인, 건강 및 심리사회적 요인, 그리고 노동 및 경제적 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시는 60세 이상의 노인들 중에서 총 220명을 편의 모집(Purposive Sampling)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접자에 의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194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취업의사여부에 따른 조사대상들의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및 t-test 등의 통계를 통해서 산출하였고, 취업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도시거주 미취업 노인들의 취업의사여부는 노인들의 성별, 연령, 학력, 자녀수, 신체적 건강상태, ADL, 자아 효능감, 경제적 스트레스, 노동 총 종사기간, 부동산 소득, 가족후원금 및 연금 급여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노인취업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노인고용관련 정책, 제도 및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취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및 함의를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1-318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08
서지정보 닫기
-
최근 장애 정의에 있어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한 사회통합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한편, 장애문제를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경험에 국한되지 않고 총체적인 삶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생애주기별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주기별로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사회통합 수준을 측정하고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질적 측면에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사회통합의 하위차원은 일상생활 자율성, 물리적 접근성,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 경제적 안정정도, 선택권,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6개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591명이며, 전화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생애주기별로 사회통합의 하위차원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였고, 사회통합의 각 차원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중요한 함의는 사회통합의 증진을 위한 장애정책의 방향은 생애주기별로 차별화되어야 하며 장애인의 일상 활동이나 접근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선택권이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증진을 위한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37-264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07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