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경제적 지위, 부부갈등, 부모양육행동, 자아통제력이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
정소희(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본 연구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부갈등 및 부모양육행동 등의 가족요인이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와 이상의 가족요인들이 비행에 미치는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청소년개발원이 수집한 2004년도 중2학년 청소년패널 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대상은 재혼가정을 포함하여 양부모가 모두 있는 총 2,968명으로 확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부모의 양육행동이라는 매개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비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효과의 크기도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자아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비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자아통제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비행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가족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가족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비행을 예방하거나 줄이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에만 초점을 두기보다 가족차원의 개입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아울러 부부상담이나 부모교육, 빈곤가정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과 같은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 부부갈등, 부모양육행동,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통제력, 청소년비행
An Analysis of Pathways From SES, 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to Adolescent Delinquency
So-hee Je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thways from family factors such as SES(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to adolescent delinquency and the total effects of these factors on delinquency.
The 2004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2,968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wo parents incluing step parents family.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5.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SES on adolescent delinquency were mediated by parenting behavior. Similarly, parental conflict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 delinquency through parenting behavior and adolescents' self-control. Parenting behavior had an direct effect on adolescent delinquency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adolescents' self-control.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article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adolescent delinquency.
Keywords : adolescent delinquency,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conflict, parenting behavior, self-control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5-34
* DOI : 10.16999/kasws.2007..32.5
* UCI : G704-000143.2007..32.003
서지정보 닫기
-
국가의 여성 경제활동 참여수준과 소득불평등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경하(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여성 경제활동참여의 증가 현상이 국가전체 소득불평등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국가간 비교연구를 통해서 규명하였다. 분석은 OECD 국가들 중에서 8개국을 대상으로 결합시계열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는 국가의 소득불평등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관련된 사회정책 즉,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가족지원정책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경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미치는 소득불평등 감소효과는 달라졌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을 구성하는 세부 프로그램은 상보성을 유지하며 소득불평등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국가차원의 소득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국가정책을 설계할 때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는 정책적 노력이 매우 중요하며,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가족지원정책을 어떻게 설계하는지에 따라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국가의 소득불평등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주제어 :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소득불평등, 결합시계열 회귀분석(pooled cross-sectional time-seri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Nation's Income Inequality
Kyung-ha Par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increasing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income inequality since the 1980s as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used the pooled cross-sectional time-series analysis to the 8 countries among the OECD nations.
The result is that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 decrease in income inequality. When the social policies such a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family support policies are considered, however, the impact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a decrease in income inequality has changed. The study revealed that individual programs which comprise these polici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income inequality with complementarity.
Therefore,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policy attempts in order to increase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We also need to recognize that the level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elated to income inequality depends on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family support policies.
Keywords: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income inequality, pooled cross-sectional time-ser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35-63
* DOI : 10.16999/kasws.2007..32.35
* UCI : G704-000143.2007..32.002
서지정보 닫기
-
매맞는 여성의 떠날 수 없는, 머물 수 없는 이유
정혜숙(서울시립대학교)
본 연구는 ‘왜 매맞는 여성은 가해자와 함께 사는가?‘와 관련된 우리사회의 왜곡된 통념과 낙인이 매맞는 여성의 현실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매맞는 여성의 ‘머물 수 없음’과 ‘떠날 수 없음’의 경험에 관한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쉼터경험을 갖고 있는 9명의 피해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질적분석프로그램인 아틀라스티를 활용하여 자료분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매맞는 여성의 현실은 ‘머물 수 없음’과 ‘떠날 수 없음’이라는 유동적이고 임시적인 상황적 선택들의 연속선상에 있으며, 특정 시점에서의 가해자와의 동거여부는 매맞는 여성의 정서적, 상황적 현실을 이해하는데 항상 유의미한 단초를 제공해주지 못한다. 따라서 ‘가해자와의 분리’가 매맞는 여성을 위한 원조의 유일한 우선순위가 될 수 없으며 매맞는 여성의 현실에 대한 보다 통합적이고 심도 깊은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매맞는 여성에 ‘머물 수 없음’과 ‘떠날 수 없음’의 선택과 관련된 주제들로 ‘가해자의 변화’, ‘자녀’, ‘홀로서기의 자신감’, ‘가해자의 통제’, ‘매맞는 여성의 변화’, ‘의미있는 타자의 개입’, ‘가정폭력 관련 원조체계’가 확인되었다.
주제어 : 가정폭력, 매맞는 여성, 현상학, 머물 수 없음, 떠날 수 없음
"Unable to Leave, Unable to Stay":
Phenomenology on Battered Women's Experiences
Hye-suk Chong
With the premise that myths and stigmas of why battered women stay with batterers obstruct our sensitive understanding of battered women's complex reality, this phenomenological study aims to listen to battered women's own voice related to their staying or their leav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battered women who had experience with shelters, and were analyzed by Atlas.ti(a qualitative software program)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ata analysis. Battered women's reality can be characterized as situational points placed on a continuum composed of their temporary alternatives related to 'unable to stay' or 'unable to leave', therefore battered women's physical staying or leaving at the certain point is not always a sole clue to understand their emotional and situational realities. As a result, separating battered women from batterers should not be prescribed as the first priority to meet battered women's complex needs. Seven themes are identified as the study results to demonstrate how battered women are unable to stay or leave; 1) batterers' change; 2) children; 3) battered women's competence of being independent; 4) batterers' power and control; 5) battered women's change; 6) significant others' intervention; 7) social systems for domestic violence intervention.
Key words: domestic violence, phenomenology, battered women, unable to stay, unable to leav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69-298
* DOI : 10.16999/kasws.2007..32.269
* UCI : G704-000143.2007..32.001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31-159
* DOI : 10.16999/kasws.2007..32.131
* UCI : G704-000143.2007..32.011
서지정보 닫기
-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선숙(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부모애착, 부모감독, 자녀학대와 같은 부모의 양육행동이 신체적 또는 심리적 공격성에 직접, 간접적으로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정서조절능력이 이 둘 사이를 매개하는지, 그 영향의 크기는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부모애착, 부모감독, 자녀학대와 같은 부모의 양육행동은 아동의 공격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리적 공격성의 경우, 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효과가 함께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신체적 공격성과 심리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심리적 공격성의 경우 아동의 정서조절이나 정서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부모감독, 자녀학대, 정서조절, 신체적 공격성, 심리적 공격성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for Predict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Aggression among Children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
Sun-suk Kim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among children. The 2004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2,880,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o were analyzed using SEM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child attachment, parental monitoring and child abuse have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aggression of child, directly and indirectly. Second, on psychological aggression, emotion regulation is mediating effects on parental behavior and child's aggress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 for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s aggression.
Keywords:parenting behavior, attachment, parental monitoring, child abuse, physical aggression, psychological aggression, emotion regul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65-95
* DOI : 10.16999/kasws.2007..32.65
* UCI : G704-000143.2007..32.010
서지정보 닫기
-
신자유주의적 ‘의료서비스 정책의 글로벌화’와 한국의 의료서비스 산업화 정책
이수연(세종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각국의 의료서비스 정책이 고유의 정책목표, 가치, 정책환경에 따라 실시되기보다는 신자유주의적 이념을 지향하는 정책들이 세계적인 수준에서 글로벌하게 결정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무현 정부가 신자유주의적 ‘의료서비스정책의 글로벌화’에 편승하여 의료서비스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였음을 밝힌다. WTO DDA 서비스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아 아직까지는 의료서비스 산업화에 대한 세계적 외압이 현실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노무현 정부는 경제특구법을 제정하여 의료서비스 산업화를 국가주도적으로 추진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노무현 정부가 의료서비스 산업화 정책을 추진한 이유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산업으로의 산업구조 변화가 요청되고 있는 현실에서 의료서비스 산업화를 통해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새로운 자본의 투자처를 개발하여 경제를 개발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목적은 WTO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의료서비스정책의 글로벌화’와 동일한 정책목표이다.
주제어 : 노무현 정부, 의료서비스 정책의 글로벌화, 의료서비스 산업화, 경제개발
Globalization of Health Care Policy and Health Service Privatization in Korea
Su-yun Lee
This research addresses the issue of health service privatization of Roh Moo Hyun government. In 2003, the Roh administration took an initiative to legislate regulations privatizing health services in Incheon Free Economic Zones even without an external pressure which would have been put if WTO DDA negotiations had been wrapped up. The government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social polarization worsen in the domestic economic slump by injecting market forces into the health service system because it anticipated that the policy prescription would promote new economic investment and create jobs.
Keywords: Roh government, globalization of health care policy, health service privatization, economic developmen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61-184
* DOI : 10.16999/kasws.2007..32.161
* UCI : G704-000143.2007..32.009
서지정보 닫기
-
국내입양실무자들이 경험한 입양실무의 의미
권지성(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김진숙(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전임강사)
정정호(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정보연구센터)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로서 국내입양실무자들이 경험한 입양실무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입양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입양실무자 7명과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입양실무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양실무는 한국의 입양문화라는 거시적인 맥락 내에서 이루어지며 그것에 기반한 입양정책, 제도, 법률의 영향을 받고, 입양기관이라는 구체적인 실천현장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입양실무자들은 이러한 환경과 그 변화에 대해 파악하고 있었다. 특히 입양실무자들은 국내입양 활성화와 공개입양 확대라는 기본적인 정책방향에는 동의하고 있었지만 최근 정부가 도입하려 하는 일부 지침에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이러한 태도는 입양 정책을 도입하는 데 있어 현장에서 일하는 입양실무자들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못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입양을 둘러싼 사회환경의 변화는 입양기관 간의 지나친 경쟁을 부추기는 부작용을 낳고 있었다. 또한 입양기관의 형태별로 입양실무가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어떤 입양기관에서 일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각 입양실무자들이 하는 업무의 범위 등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둘째, 입양실무 자체와 그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는데, 이들이 하는 일, 즉 입양실무는 친생부모 관련 업무, 입양대상 아동 관련 업무, 입양부모 관련 업무, 그리고 이들 각 업무에 대한 각종 기록과 보고, 병원방문과 캠페인 등 입양환경 관련 업무들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모두 사회복지를 전공했고 자격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라는 정체성을 가지고는 있지만,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과연 사회복지사만 할 수 있는 일인가에 대한 고민들도 하고 있었다. 입양실무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의미들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하여 국내입양기관들의 통폐합과 입양실무자들에 대한 교육훈련 강화, 입양실무를 위한 매뉴얼 제작 등의 정책과 실천 제언들을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발전시킬 수 있는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주제어: 입양, 입양실무자, 실무경험, 질적 사례연구
Th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in Adoptive Practice
Ji-sung Kwon
Jin-sook Kim
Chung-ho Ch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in their adoptive practice and to present a guideline as to how to improve the adoptive proces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ocial workers, who work with adoptive agencies, and applied the case study method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optive practice has been formed in macro context of the Korean culture involving adoption, and is affected by policies and regulations established thereon, and is translated into practice by adoptive institutes or agenc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understand well about the environment of and at the same time, the recent changes in the adoptive practice.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agreed on the policy to increase local adoption in Korea and open adoption, but were doubtful of some part of the government policies. Second, we studied the meaning of the practice in itself, the identity of social workers,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in doing their practice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that integration of adoption agencies, enhance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adoptive workers, and publication of practice manuals are required. In addition, we addressed what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our study going forward.
Keywords: adoption, adoptive social worker, practical experience, qualitative case stud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07-235
* DOI : 10.16999/kasws.2007..32.207
* UCI : G704-000143.2007..32.008
서지정보 닫기
-
생애사 연구를 통한 중도장애인의 삶의 재구성
- 슛제(F. Schütze)의 이야기식 인터뷰를 중심으로 -
이효선(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
본 연구는 갑작스런 사고에 의해 중도장애인이 된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조사도구는 한 개인이 자신의 생애를 이야기하며 구성하는 슛제(F. Schütze)의 이야기식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 한 사례(L)를 ‘인생진행의 과정구조’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L의 ‘이야기(narration) 속에 나타난 특성’과 ‘개인적?사회적 자원’을 통해 재구성되었다.
우선 L의 이야기 속에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면, L의 언어에서 ‘나’를 ‘우리’로 표현하는 이야기 형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자유로운 의사소통의 세계에서 개인의 자율성에 의한 집단 연대성(solidarity)으로부터 시작된 것이 아니라 장애 이후 가족과 외부 자원에 의해 자신의 행위를 선택하고 결정하였던 타율적인 도덕발달에서 비롯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즉 L은 ‘나’를 ‘우리’와 묶어둠으로써 삶의 책임을 외부로 전가시키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다음으로, L은 실제 자신의 삶은 빈곤했음에도 불구하고 ‘배고프지 않다’라는 반어적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삶 속에서 끊임없이 지속된 ‘굶주림’에 대한 모순되는 반응을 보였다. 그것은 L이 자신의 장애로 인한 가족과 사회로부터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과정 속에서 나타난 결과였다. 마지막으로 L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사회적 자원을 살펴본 결과 L은 인생의 중요한 과정마다 그 내용은 다르지만 가족이라는 외부의 자원에 의해 움직이는 동일한 삶의 전략을 가지고 있었다. L의 가족은 어린 시절 장애를 갖게 된 L을 책임지는 방법으로 가정 내에서의 보호를 택하였으며 그를 장애를 가진 타율적 가족 구성원으로 규정하였다. 이것은 L의 자율적 기회를 차단함으로써 타인의 결정에 의한 삶을 살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어린 나이에 장애를 입은 사람들은 중도장애인이라고 해도 선천적인 장애와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의 중도장애인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을 살펴보게 하였으며 생애사 연구가 전문적 실천을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제어: 질적 연구, 생애사, 이야기식 인터뷰, 중도장애인, 자원, 사회복지
Impaired by an Accident
- A Life Reconstruction Following the Qualitative-biographical Methodology of Fritz Schütze -
Hyo-seon Lee
This case study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biographies of persons who became handicapped, mostly through an accident, during their lifetime. The analysis is done with the support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specially the narrative interview and the herewith tight-knit method of understanding, developed by German sociologist Fritz Schütze. By telling subjective life stories and of direct experiences as a disabled person, we as researchers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what changes took place in his or her life and how new developments have occurred. Hereby we followed Schütze's 'Concept of Trajectories and Processes of Change'.
Our subject, grandfather L, had an accident when he was 14 years old and, due to a medical malpractice, lost the larger part of his right arm. With the case of grandfather L. we have an example of a person who had to rely on his self, on his own resources and the resources of his family, and only late life he became acquainted with the social welfare system. Different segments of his life are analyzed and the meaning of this accident for the way of life of grandfather L is highlighted. Among other things, it will be shown that with this accident which happened early in life there is only a small difference to persons who were born with a handicap. Moreover, some important developmental passages are discussed in some detail.
At the end a connection between this case and the system and practice of social welfare in Korea is established.
Keywords : qualitative research, biography, narrative interview, disabled, resource, social welfar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99-330
* DOI : 10.16999/kasws.2007..32.299
* UCI : G704-000143.2007..32.007
서지정보 닫기
-
이혼여성의 공동체 구축을 통해 본 대응전략과
사회복지실천의 함의*
성정현(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본 연구는 이혼여성들의 공동체 구축 및 참여과정, 활동과 그들이 활용하는 대응전략을 탐색하고 그것이 갖는 사회복지 실천의 함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오프라인 상의 이혼여성공동체를 대상으로 삼아 공동체 구축을 통한 대응전략의 특징과 의미, 그리고 그것의 사회복지적 실천의 함의를 고찰하였다. 공동체에 대해서는 방문조사와 심층인터뷰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공동체의 리더와 구성원 등 총 1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공동체 구축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들에 대해서는 내용 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이혼여성의 공동체 구축과 대응전략, 그리고 그 사회복지적 실천의 함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혼여성 공동체는 대부분 유사가족 공동체로서의 정서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심리?사회적 임파워먼트와 이혼자 담론 형성과 같은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혼여성들의 공동체는 그들이 소속되어 있는 기관의 유형에 따라 공동체의 기능 및 전략, 비전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복지관의 경우에는 의존적인 정서적 공동체의 양상을 보였으며, 대응전략의 측면에서 지역사회 내의 소모임의 활성화 문제, 여성단체들과의 네트워킹 문제, 구성원의 자아통찰 교육의 강화 등과 같은 대응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여성단체들과 일반단체들은 사회복지관보다 이른 시기에 공동체를 형성하였으며, 자신들의 임파워먼트를 확장하고 강화하기 위해 집단 활동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소속 회원 수를 늘리거나 자기 노출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운동을 전개함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여 세력화 또는 운동화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혼여성과 같은 사회적 소수자들이 현실에 대면하여 자기 나름대로의 고유하면서도 독자적인 정체성을 재확립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자기 세력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이혼 현실을 직시하고 자신의 상황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는 이혼여성에 대한 사회복지적 실천의 필요성과 유의미성을 환기시키는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이혼여성들이 스스로 이혼 상황에 대한 해결 방법을 모색하면서 그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은 사회복지 실천의 새로운 역할과 방향성 모색을 요구하고 있음이 분명하며,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주제어: 이혼여성, 공동체, 대응전략, 유사가족공동체, 임파워먼트, 사회복지적 실천
The Study of Counter-strategies of the Divorced Women and It's Social Work Practice Implica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Jung-hyun Sung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divorced women's community construction and finds out their identities, coping strategie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the qualitative method.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eleven community leaders and eight community members. The qualitative data is analyzed through thick descriptive method.
As a result, most of divorced women's communities were constructed before and after 2000 and functioned emotional support as family like community. And Communities cope with social prejudice by applying individual and social empowerment strategies, formation of discourses. However, the activities, strategies and visions of communities are different as to the types of institutions. The communities of social welfare agency are more dependent and stagnate than women's agency. They explore ways toward self independent community through construction of community based small groups, networking with women's agency, and intensification of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self-insight. On the contrary, the women's agency and the other NGOs are searching for reinforcement of group activity, an increase in members, individual and social empowerment through self-disclosure, lettering, and campaign.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divorced women construct the communities and their identities toward social empowerment themselves, and implicates the role and direction of social work practice in situation of the client own self propose the political issues and explore the problem solving methods.
Keywords: divorced women, community, counter-strategies, family like community, empowermen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97-130
* DOI : 10.16999/kasws.2007..32.97
* UCI : G704-000143.2007..32.006
서지정보 닫기
-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종수(부산대학교 강사)
류기형(부산대학교 교수)
본 연구는 기관종류별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의 수준과 차이를 분석하고, 또한 직무특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기관종류별 영향요인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직무설계에 고려해야 할 요소를 밝혀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담공무원, 사회복지관 및 생활시설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Hackman and Oldham(1975)의 직무특성이론을 토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전반적인 직무특성 수준은 비교적 높았으나 자율성과 기술다양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고, 기관종류별로는 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관에 비해 생활시설이 비교적 낮았으며, 하위구성요인별로도 기술다양성은 전담공무원이, 과업정체성은 사회복지관이 높은 반면에 생활시설이 가장 낮았다. 직무특성의 자율성을 제외한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피드백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전담공무원은 기술다양성과 과업정체성이, 사회복지관은 과업중요성과 피드백이, 생활시설은 피드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관종류별 실천현장의 특성에 따라 직무특성을 감안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 : 직무특성, 조직시민행동, 직무설계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Job Characteristics on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ng-soo Kang
Ki-hyung Ry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of social workers employed by public sector,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institution. Based on Hackman and Oldham(1975)'s theory of core job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326 respondents by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kill variety,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among Hackman and Oldham's 5 core job characteristics show positive influence on OCB. Especially, skill variety and task identity influence on OCB of social work in the public sector.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influence on OCB of social work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feedback influence on OCB of social work in the institution.
As a result, social worker's OCB depended on job characteristics. Therefore, to assure the OCB, redesign for social worker's job characteristics is required.
Keywords: social worker,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85-206
* DOI : 10.16999/kasws.2007..32.185
* UCI : G704-000143.2007..32.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수발보험 제도의 평가판정체계 설계상의 방법론상 쟁점들을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차 시범사업에 적용된 평가판정체계의 주요 개념과 방법론들을 논의하고 평가판정체계의 시범사업결과를 평가해 보았다. 장기요양욕구의 평가판정체계는 대상자 선정과 자격을 결정하고, 수가와 연동되는 제도의 핵심적인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평가를 통한 대상자판정기법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전무하였다. 동시에 새로운 평가판정체계 역시 기능상태가 아닌 수발부담에 의한 등급판정 기준을 도입하면서 학계에는 생소한 개념들이 많이 소개되었다. 따라서 최근 공청회 및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기하는 판정체계의 문제점은 우리나라 제도의 평가판정체계의 정확한 이해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 많아 새롭게 생성된 개념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였다. 연구 전반부에는 평가판정체계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개념들(영역별 득점, 인정수발시간 등)에 대한 생성과정을 방법론 중심으로 논의하고 후반부에는 사회보험방식을 장기요양제도에 적용한 독일과 일본의 평가판정체계를 우리나라 체계와 비교하여 우리나라제도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또 1차 시범사업의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판정체계의 실제 적용상의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평가판정체계는 현재도 수정과 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연구이지만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노인수발보험제도 실행에 앞서 장기요양제도 관련 정책 설계에 중요 사항으로 고려되어야 하겠다.
주제어: 장기요양, 평가판정체계, 타임스터디, 인정수발시간, 등급판정체계, Rasch 모형, 수형분석(의사결정나무분석, tree regression analy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reening system of the public long-term care policy in Korea scheduled for launching in 2008.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screening system in 2003 - 2005. Because of the complication in assessing comprehensive long-term care needs of elders, the newly-designed Korean screening system suggested several concepts about long-term care needs such as "5 dimensions of long-term care needs, care-needed time. Especi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methodological issues in using the statistical models such as Rasch model and the tree regression analyses which were used for establishing new concepts of long-term care needs.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applying the research model to the actual long-term care policy. The basic logic of the Korean screening system, however, was appeared not to have serous problems in examining long-term care of eld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screening system should be reviewed and remodeled through the further analysis on the on-going demonstration projec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37-267
* DOI : 10.16999/kasws.2007..32.237
* UCI : G704-000143.2007..32.00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장애인의 고용특성과 빈곤 실태를 파악하고 근로장애인의 빈곤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χ2,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거주지역, 그리고 가구원 수가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애특성 변수에서는 장애정도, 장애발생시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질 변수 중에서는 고용형태, 업종, 직종, 취업기간, 직장 내 지위 등이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 자체만으로는 장애인들의 빈곤이 해결되지 않으며, 근로장애인의 빈곤을 해소하기 위해 고용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들과 중증장애인들의 소득보장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Although linkages between poverty and disability are often noted, until recently they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examined in Korea. Many people with disabilities tend to become poorer because they lack access to jobs. And income support programs are not sufficient. But more severe is people with disabilities in labor market tend to be po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major determinants of poverty. For this, '2005 Survey on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gion where they live, the number of the household member, the severity of disability, the onset of disability are significant predictors in determining their poverty status. Also employment status, occupation type, industry type, numbers of years in current job are major determinants of their poverty statu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51-274
* DOI : 10.20970/kasw.2007.59.1.010
* UCI : G704-000330.2007.59.1.00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노인으로만 구성된 가구를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설명변수를 투입하고, 패널분석(panel data model)을 활용하여 노인의 특성별로 이들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연령, 학력, 혼인상태, 자산, 거주지역 등과 함께 과거의 직업력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노인의 특성별로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노후의 상황만을 고려한 노인의 탈빈곤정책은 사후적이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따라서 잠재적으로 노인 빈곤층이 될 수 있는 현재의 근로빈곤층에 대한 정책의 중요성과, 현재 보험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공적연금제도의 전환을 위한 노력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poverty of the elderly in Korea. In spite the fact that poverty of the elderly is more serious than any other demographic group, this important issue is rarely studied. Using the 7-year accumulated data from the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Study), I combined the work history of the elders,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idence to estimate pooled data analysis of the elderly after reaching age 55 and who are also only living by themselves(only the el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wealth, residence and work history are shown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poverty of elderly.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povert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ld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ge and marital status is a more important predictor in female than in male, and wealth and health status is a more important predictor in elders who do not have a spouse than in elders who do.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policy of the poverty of the elderly which is only focused on elder's characteristic is limited. Therefore we can suggest that a policy which workable people can earn decent income and saving wealth for their elderly in job is needed. Especially, policies on the 'Working Poor' and reconstruct the current public pension system is very much need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25
* DOI : 10.20970/kasw.2007.59.1.001
* UCI : G704-000330.2007.59.1.008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학교현장의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장애아동복지시설에서 실시한 통합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할당을 고려한 임의표집 방식으로 선정된 초등학교 6학급의 일반아동에 대해 실험조사설계에 따라 빈도분석, T 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이원분산분석, 그리고 공분산분석 등과 같은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첫째로 통합 프로그램의 개입으로 인한 일반아동의 사전태도와 태도개선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성별, 통합학급의 경험 유무, 학교환경은 태도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년과 종교만 태도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과 종교 변수가 공변수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학년과 종교는 모두 일반아동의 태도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아동의 특성변인들과 무관하게 통합 프로그램은 태도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이 장애아동복지시설에서 학교현장의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 프로그램은 순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통합교육을 지지하는 통합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사회사업실천 분야에서 사회통합의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clusion program executed in a social welfare institu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of community in order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he statistical analyses adapted in this study were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Two-Way ANOVA, and ANCOVA.
A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ncrease in the scores between pre-test attitude and attitude improvement of normal children (nonhandicapped children) by intervention of the inclusion program. Secondly three variables such as the sex,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class, and the school environment gave influence on attitude improvement of normal children, but two variables such as the school year and the religion didn't give influence on attitude improvement of normal children. However, as the results of the ANCOVA, it was appeared that both the school year variable and the religion variable didn't give influence on attitude improvement of normal children. Consequently, as the attitude improvement of normal children was ir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the school year and the religion, it is verified that the inclusion program gives still significant impact in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ttitude and attitude improvement of normal children.
In conclusion, As the pure effectiveness of the inclusion program executed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r handicapped children in order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as confirmed, it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the inclusion program in the field of social work practice based community can be an important tool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inclusive education between handicapp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5-85
* DOI : 10.20970/kasw.2007.59.1.003
* UCI : G704-000330.2007.59.1.007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개인에 대한 직업재활서비스의 적격성이 장애 등급만으로 결정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기능제한(functional limitation)'개념이 이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변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를 이용하여 기능제한 정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381명의 뇌성마비인을 대상으로 신체적 손상(impairment)과 기능제한 그리고 취업여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뇌성마비유형과 부위 등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변인은 취업여부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통증문제와 이동능력은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자기관리능력은 직접적인 경로를 통해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각종 장애관련 연구나 서비스 전달체계의 적격성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장애’로 규정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야 하며, 그 대안으로 신체적 ‘기능제한’정도를 개념화 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if the standar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could be solely determined by medical standard for disability definement and to find out what alternatives are available to resolve practical problems for those who are not identified as the severely disabled by the disability definement but do experience severe handicaps at work.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 argued that the concept of 'functional limitation' would be a criteria, and thereby applied Modified Barthel Index to measure the degree of functional limitation. In view of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impairment, functional limitation, and job status based on 381 cerebral palsied, variables such as the type of cerebral palsy and the part of paralysis, have neither direct nor indirect influence to the job status; however, the pain and the mobility have indirect effects, and the ability of self-management has direct effect on the job statu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future research about disabilities needs to provide a serious thought on what it is to be defined as 'disabilities', as well as to focus on further research conceptualizing the degree of physical 'functional limit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23-249
* DOI : 10.20970/kasw.2007.59.1.009
* UCI : G704-000330.2007.59.1.006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대표적인 청소년 문제행동인 음주와 비행을 동시에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사회영향모델에 기초한 프로그램은 청소년 문제행동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들로 또래 및 부모관련 요인들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또래 및 부모관련 요인들에 대한 탐색과 대인관계 기술에 대한 교육과 훈련, 음주 및 비행에 대한 인식변화, 음주 및 비행과 관련된 또래압력에 대처하는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프로그램은 서울 OO중학교 2학년 1개 학급에서 2개월 동안 주 진행자 1인과 보조 진행자 2인에 의해서 운영되었다. 프로그램 참가 학생들의 음주행동, 음주에 대한 태도, 그리고 비행 수준을 양호한 방향으로 변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와 실천을 통하여 실천적으로 그리고 과학적으로 더욱 완성된 프로그램과 일반화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낳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school-based alcohol and delinquency prevention program. The program emphasizes the acquisition of skills to effectively deal with peer pressure specific to alcohol use and delinquency as well as to build more healthy relationships with both parents and friends. The program was operated by social workers in a middle school in Seoul for almost 2 months. The program produced positive results. That is, students' drinking frequencies, the level of positive alcohol expectancies, and the level of delinquency have been lower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ngth of the program be extended and the program be replicated by future social work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order to make the program more effectiv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53-379
* DOI : 10.20970/kasw.2007.59.1.014
* UCI : G704-000330.2007.59.1.005
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01-327
* DOI : 10.20970/kasw.2007.59.1.012
* UCI : G704-000330.2007.59.1.01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의 성과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한국적 적용가능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 10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로부터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증장애인 201명에게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첫째, 장애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향상되었고, 둘째, 심리적 자기의존도가 증가하고,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지역사회참여 및 취업이 증가하고,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활동보조서비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심리적 자기의존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1회 평균이용시간이 길수록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심리적으로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참여의 경우, 연령이 낮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경우, 장애지속기간이 길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취업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범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활동보조서비스를 국가적으로 제도화할 수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predict outcome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PAS). A pho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1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used PAS services through 10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Participants reported an increase i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ssociated with use of PAS. Participants also reported increased psychological self-reliance as a consequence of using PAS, and high satisfaction with PAS in general.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reported increased active participation in their communities, increased employment, and high self-confidence in getting or maintaining jobs as outcomes of PAS.
Among influential factors predicting the outcomes of PAS, high monthly income and more mean hours of for PAS were positive predictors of psychological self-reliance. Younger age, lower income, and longer duration of servi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Longer duration of disability and service use were positive predictors of employment status. Less severe disability and high monthly incom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elf-confidence related to getting or maintaining a job.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e availability of PAS to all Koreans with disabilities who are interested in these servi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17-143
* DOI : 10.20970/kasw.2007.59.1.005
* UCI : G704-000330.2007.59.1.013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Beck(1991)이 제안한 오차교정모형(error correction models)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지역인구의 증가는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을 단기적으로 증가시킨다. 둘째, 노인인구비중이 높고 경제개발비 및 기존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이 낮을 경우, 장기적으로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이 커진다. 셋째, 우리나라에서 기초지방정부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변화에 대한 지방자치(지방선거)의 영향력은 분명하지 않다. 넷째, 어떤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수준과 성장률이 클 경우, 그것과 인접한 다른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이 장단기적으로 크게 상승한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기초지방정부들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변화가 각 지역의 내부정책 환경의 변화보다는 중앙광역기초지방정부간의 정치적제도적 상호작용의 결과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social spending from 1995 to 2004 in South Korea. Using the pooled time-series and cross-sectional data of 226 basic-level local governments, the resulting analyses of an error correction model are very interesting: First, a rising local population led to an immediate increase in social spending; Secondly, local governments gradually increased social spending when the elderly ratio had been high, but the levels of social spending in the previous year and local economy related spending level had been low. Thirdly, there were no spending changes associated with local elections and partisan politics. Fourthly, both cooperative and competitive intergovernmental relation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spending and reduced geographical disparities in the level of spending across local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establish a more comprehensive intergovernmental network which lead to territorial justice in social welfar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29-351
* DOI : 10.20970/kasw.2007.59.1.013
* UCI : G704-000330.2007.59.1.012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법적ㆍ행정적 제도화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문화 중심의 지역사회참여 증진 전략을 도출하고자, 지역사회정신이자 문화인 지역사회응집력의 세 가지 영역 즉 지역사회 네트워크, 지역사회연대감, 장소 애착감과 지역사회참여와의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응집력의 세 가지 영역은 모두 지역사회참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 중 주민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연대감과의 관계를 통한 지역사회 참여 증진 전략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은 참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노인의 지역사회지식 활용과 나눔 전략, 주민의 장기거주 및 최종정착 유도 전략, 저소득계층의 소득증진 및 창출 전략, 종교조직과 구성원의 지역사회책임성 증진 전략, 여성참여의 의도적 확대 및 적합성 전략을 지역사회참여 증진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사회 주민-문화적 자산중심의(residents-cultural asset driven) 통합적 지역사회복지계획 산출의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데 있다.
Until now, the strategies for increasing community participation has been focusing on the administrativeㆍlegal institutionalization, but these have not brought substantive effects. So, the need of strategies utilizing the community culture which was formed by the residents and community has been issued on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utilizing the community culture. So, it was identifie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ed the community cohesion (community social networks, community solidarity, place- attachment), that is called community spirit and culture. And through path analysis, it was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community cohes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the community cohesion's three elements altogether affected positively to the community participation. When regarding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the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relating to community solidarity was most relevant. the socio-demographics affecting to community solidarity are gender, age, the beneficiary, religion, job type, household income, the length of residence. the women was low at level of participati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community cohesion are the age, the residence du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levant strategies or approaches for increasing community participation are as follows. : using and sharing of the aged's community knowledge, making the long term living and final settlement of community residents, increasing and creating the income for the low-income residents, increasing of religious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responsibility to community, and the purposeful extension and relevancy of women's participation.
Ultimately,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fomulate the residents- cultural asset driven's community welfare planning.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7-53
* DOI : 10.20970/kasw.2007.59.1.002
* UCI : G704-000330.2007.59.1.011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