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07]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565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재보험제도 휴업급여의 기능적 특성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휴업급여의 개선대안을 행정적 절차의 구분에 따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업급여 신청단계에서의 개선대안으로서 보험급여의 수급자격에 대한 전문적 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아울러 부적절한 재요양의 신청을 억제하기 위하여 재요양 직전의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휴업급여를 산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휴업급여의 장기체류 유인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방안과 관련한 사항이다. 첫째, 단기성 급여로서의 취지에 부합될 수 있도록 휴업급여의 지급기간은 2년으로 제한하고, 이를 위한 선행요건으로서 현행의 장해연금을 임시장해연금과 영구장해연금으로 분리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요양기간 동안 취업활동을 허용하고 이 경우 부분휴업급여가 제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휴업급여에 대한 의존성 극복과 경제적 자립을 유도하기 위하여 직업재활과 직업알선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동시에 요양종결이나 직업재활에 대한 공단의 직권결정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of temporary incapacity benefit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nd suggests its policy measures against their problems. Presently the temporary incapacity benefit is the focus of attention for expanding the finance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Policy measures against these problems a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levels. The precise scrutinization is requested for qualification at application level, and the estimation of benefit amount should be based on the earned income right before reentry of incapacity to suppress over application. The followings are policy measures to prevent prolongation of temporary incapacity benefit. First, the duration of benefit must be limited up to 2 years and it is prerequisite for the separation of the present disability pension into temporary disability pension and permanent disability pension. Second, it allows the beneficiary to get a job during the incapacity period and will be supported by partial incapacity benefit. Third, to prevent over application and to give work incentive, this study suggested the rearrangement of the duplicated benefits from both the national pension and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81-111
    * DOI :
    * UCI : G704-000662.2007.23.1.004서지정보 닫기
  • 최근 지역복지정책의 발달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비교사회정책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 실증분석에 기초한 이 연구들은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더욱 정교해지고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전통적인 거시 복지국가 발달이론의 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초기산업사회라는 특정 상황을 바탕으로 발전한 복지국가 발달이론들로는 후기산업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지역복지정책의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지역복지정책 비교연구들이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온 대표적인 복지국가 발달이론들, 즉 산업화이론, 권력자원이론, 그리고 국가중심이론의 적용한계점을 논의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신사회위험론, 신공공관리론 그리고 정부간 관계론의 이론적 유용성을 검토한다. 최종적으로, 지역복지정책 발달의 비교분석을 위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Traditional quantitative approaches to comparative social policy research in welfare state have mostly focused on cross-national variations in social policy. More recently, they have attempted to account for disparities in the local provision of social policy. However, heavily relying on traditional theories of welfare state development (e.g., industrialism theory, power resource approach, and state-centric thesis), most of them seem to have explained the local variation from a central or national perspective, thereby completely ignoring the local perspective. Furthermore, their theoretical bases have been exclusively derived from the social context of post-war era. In tackling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at localizing and updat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ocal welfare policy in the post-industrial age. The framework provided in this study calls for a shift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towards more local and new approaches (e.g., new social risks, new public management and intergovernmental rel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29-252
    * DOI : 10.20970/kasw.2007.59.3.010
    * UCI : G704-000330.2007.59.3.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65세에서 80세의 노인 48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1 및 비교집단 2에 각각 16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비교집단 1에는 일반 지지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비교집단 2에는 여가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대한 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1이나 2에 비해 자아통합감의 전체, 과거와 현재의 수용, 삶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이 일반 지지적 집단상담이나 여가 집단상담에 비해 자아통합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죽음불안의 전체, 신체적 부동 및 고립, 불확실한 사후세계, 신체의 부패, 통제력 상실의 하위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1이 2에 비해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즉,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과 일반 지지적 집단상담은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pportive group counseling by using reminiscence on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48 elderly adults who resided at home and utilized house for the aged in three places in A cit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16 members), a comparative group 1(16 members), and a comparative group 2(16 members). The supportive group counseling by using reminiscenc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isting supportiv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one to the comparative group 1, and the leisur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one to the comparative group 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scores than two comparative groups in ego integrity.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s the comparative group 2 in death anxiety.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group executed with the supportive group counseling by using reminisc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s on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up reminiscence could be an effective therapy for helping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1-46
    * DOI :
    * UCI : G704-001512.2007..35.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현재 장애인복지에서 주요 이슈이며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서비스인 활동보조서비스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활동보조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실시하였고, 현재 한국의 자립생활과 활동보조서비스에 강한 영향을 주고 있는 미국 활동보조서비스의 배경과 역사, 대상선정 기준, 급여의 내용과 급여액, 전달체계, 재정, 그리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한국적 상황을 감안하여 활동보조서비스 제도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논의하였다. 활동보조서비스의 제도화를 위한 대상 선정의 기준으로서는 장애인 개인의 소득과 장애의 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장애등급을 적용하기 보다는 새로운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서비스의 내용은 기존의 간병과 가사 위주의 서비스에서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서비스, 예를 들어 이동이나 외출보조, 직업보조 등의 서비스를 포함하여 장애인의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지원하는 서비스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급여의 양은 개인의 장애정도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전달체계는 다른 나라의 모델들의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시범사업을 거친 뒤 확정할 필요가 있다. 활동보조서비스 운영원칙 중 중요한 부분은 서비스 계획단계부터 실행단계에 장애인의 적극적인 참여가 보장되어야 하며, 서비스에 대해 장애인이 최상의 수준의 선택권과 통제권을 행사할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어야 한다.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PAS) to Korea: Focusing on USA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PAS), which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Korea disability policy. PAS assists s people whit disabilities to participate fully in society. First, PAS systems of USA was investigated in terms in terms of eligibility, benefit, delivery system, financing, and current issues. The reason to select USA is that USA is highly influential to Korea. Next, services similar to PASin Korea were reviewed. Finally, the article proposes som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PAS. Ideally, the only criteria for eligibility are the individual’s income and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Current instruments to measure the severity of disability are insufficient; new instruments are required. Recommended services include transportation, accompaniment, and employment support as well as general assistance with general care and housework/chores. Additionally, it is recommended that demonstration programs be established to allow for the comparison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arious delivery systems. Most importantly, people with disabilities must be guaranteed a central role in the planning implementation of PAS. Key word: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establishing PAS in Korea, choice and contro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195-216
    * DOI : 10.15855/swp.2007..28.195
    * UCI : G704-001012.2007..28.006서지정보 닫기
  • 활동보조서비스는 자립생활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로써 심신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일상생활 유지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하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필수적인 서비스로 인식되고 있는 활동보조서비스의 이용현황, 이용 후 생활의 변화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여 활동보조서비스의 발전 방안에 대한 모색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활동보조서비스는 장애인들에게 많은 생활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보조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첫째, 활동보조서비스의 양적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활동보조서비스의 제도적 보완을 통한 이용자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인당사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포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홍보의 강화가 필요하다. 일곱째, 재정조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s an important institution to realized an ideology of independent living is to be essentia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keep up daily life.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utilization, the change in life after Using the PAS which has been recognized to be essentia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carry on independent living in community. The PAS, which a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been resulted in a lot of the change in life. The revitalization for the PAS is needed to solve the tasks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an increase in quantity of the PAS. Secondly, Users of the PAS by complement the system must be expanded. Thirdly, professionals must be fostered. Fourthly, it is necessary to educate people with disabilities. Fifthly, comprehensive support must be achieved. Sixthly, the PAS must be publicized. Lastly,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methods of raising financial resour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33-258
    * DOI :
    * UCI : G704-001921.2007..23.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의 성과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한국적 적용가능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 10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로부터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증장애인 201명에게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첫째, 장애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향상되었고, 둘째, 심리적 자기의존도가 증가하고,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지역사회참여 및 취업이 증가하고,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활동보조서비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심리적 자기의존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1회 평균이용시간이 길수록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심리적으로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참여의 경우, 연령이 낮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경우, 장애지속기간이 길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취업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범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활동보조서비스를 국가적으로 제도화할 수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predict outcome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PAS). A pho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1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used PAS services through 10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Participants reported an increase i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ssociated with use of PAS. Participants also reported increased psychological self-reliance as a consequence of using PAS, and high satisfaction with PAS in general.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reported increased active participation in their communities, increased employment, and high self-confidence in getting or maintaining jobs as outcomes of PAS. Among influential factors predicting the outcomes of PAS, high monthly income and more mean hours of for PAS were positive predictors of psychological self-reliance. Younger age, lower income, and longer duration of servi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Longer duration of disability and service use were positive predictors of employment status. Less severe disability and high monthly incom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elf-confidence related to getting or maintaining a job.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e availability of PAS to all Koreans with disabilities who are interested in these servi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17-143
    * DOI : 10.20970/kasw.2007.59.1.005
    * UCI : G704-000330.2007.59.1.013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75-98
    * DOI :
    * UCI : G704-SER000009000.2007.13..004서지정보 닫기
  • 이 논문은 유아들이 환경적 문자(Environmental Print)와 상호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자발적 쓰기, 쓰기에 대한 태도, 쓰기 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 환경적 문자란 유아들이 살아가고 있는 주변 환경에 자주 노출되어 있는 문자로서, 예를 들어, 간판, 과자 봉지, 책 표지, 거리 표지판 등을 말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실험집단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환경적 문자들을 스스로 찾아내고, 그 글자들을 이용한 문자 활동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학급의 유아 42명이었고, 이들은 각각 21명씩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연구의 절차는 1주간의 사전검사, 4주간의 실험처치, 1주간의 사후검사로 진행되었으며, 실험 처치의 4주 동안 주 3회씩 총 12회의 환경적 문자활동이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자유선택 활동 시간을 이용한 자발적 쓰기의 빈도 측정과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수집된 유아의 쓰기 태도검사 점수, 쓰기 결과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환경적 문자를 이용한 교수법은 유아의 자발적 쓰기와 쓰기 수행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유아의 쓰기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is research was planned to inspect how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could affect to the writing behavior, attitude toward writing, and writing level of young children. Several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can learn how to read and write easily through environmental prints. Environmental prints are everywhere around us. They could be found in signs, magazines, newspapers, and many different kinds of daily use products. Children can see the covers of their stuffs, books, milk cartons, etc. This research focus on the idea that it we use those various and meaningful environmental prints, then we could see the marvelous growth of children"s literacy skill. The problem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oes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affect to the voluntary writing of children? Second, does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affect to the attitude toward writing? Third, does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affect to the writing level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as 42 four year old children. They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 group only experienced the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retest, treatment, and post-test. Each data was collected by observation, survey, and writing performance. The rated data was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give positive effect to the level of voluntary writing of children. 2. The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didn"t affect to the attitude toward writing of children. 3. The environmental print oriented approach affect to the level of children"s writ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09-12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7.7.2.007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49-270
    * DOI :
    * UCI : G704-000662.2007.23.2.009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4-218
    * DOI :
    * UCI : G704-000500.2007..26.008서지정보 닫기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E-mail : kimsb@kihasa.re.kr 본 연구는 현 노령층을 위한 최저연금제도 도입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금세기 최대의 산물인 공적연금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단지 부양의무자 또는 친척들의 이전소득에 의존하는 노령 빈곤층이 점증함에도 불구하고 제도의 미비로 소득보장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최저소득보장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주요 복지선진국가들의 사례를 연구한 후, 국민연금제도 확대시 원천적으로 가입기회가 배제되었던 고령층과 그 이후에 출생한 노인들로 이분화하여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른바 ‘고령연금’은 1933년 7월이후 출생한 고령층을 위해서는 한시적으로 사회연대강화를 위한 ‘사회보험방식’으로, 그 이후에 출생한 65세이상 노령층을 위해서는 조세방식의 ‘최저연금’ 제도의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아울러 연금급여의 적절성 확보는 노동시장에서 그 답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령근로자들이 노동시장에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도록 유인하는-점진적 퇴직 또는 임금피크제 등과 같은 제도적 장치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minimum pension system for the current older population, who are excluded from the benefit of public pension system. The elderly in poverty, depending on the transfers from their family and relatives, is more and more increasing. Besides, they have absolutely nothing to do with income security system. It suggests the minimum pension system in two different schemes: one is for the elderly who were born before the public pension’s initial introduction and therefore exempted from the system. The other is for the elderly who are not entitled to the pension benefit for several reasons even though they were born after starting the pension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former, so called ‘old-aged pension’, can be applied to the people who were born before July of 1933, operating it through the ‘social insurance system’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while the latter can be applied who are older than 65 years old, born later than July of 1933. In addition, the way to make the benefit to an appropriate level needs to change the condition of labor market. It can be considered to increase incentives to work, by using gradual retirement model, or introduce the wage peak syst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53-175
    * DOI :
    * UCI : G704-000662.2007.23.1.003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88-319
    * DOI :
    * UCI : G704-000500.2007..26.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재혼이 초혼보다 취약하며 재혼이혼율이 초혼이혼율보다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재혼해체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는 현실에 착안하여, 재혼이 어떻게, 왜 해체에 이르게 되는가를 이해하고자 재혼 후 이혼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총 7명을 심층 면담한 녹취록을 질적자료 분석프로그램인 Nvivo2로 분석하여 분석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애착이 결여된 재혼동기, 취약한 부부유대, 계자녀와의 갈등, 시집의 소외 등이 해체된 재혼생활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는데, 이러한 재혼생활의 특성들이 재혼생활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직, 간접으로 재혼의 해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혼과 재혼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의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해 주고 있다.

    Remarriages constitut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all marriage in Korea. In 2005 26.1% of marriages were remarriages for one or both partners. Also, remarriages are more likely to end in divorce than first marriag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and why the remarriage is ended in divorce in Korea. Seven ex-stepmothers were asked in-depth interview to describe the whole story from courtship to divorce of remarriage. Their narratives were analyzed by a qualitative software program, Nvivo2, which assured us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method of the study.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several major concepts related to the dissolution of remarriage: lack of feeling of love in a motive of marriage, lack of understanding of and preparation for remarriage, fragile tie of remarried couple, frictions between step-children and step-mothers, feeling excluded from family-in-law, and wife batt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lighted that the social work interventions should be actively done in the area of family life education including remarriages and remarried famil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71-196
    * DOI : 10.20970/kasw.2007.59.2.007
    * UCI : G704-000330.2007.59.2.001서지정보 닫기
  • 본연구의 목적은 한국이민 노인들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 및 완충요인들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뉴욕 주의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인지적 능력이 정상인 55세 이상의 재가노인 234명을 면담 조사하였다. 우울증의 다중요인을 평가하는 이론적 틀로서 George의 Social Antecedent Model (1994)을 적용하여 네 그룹의 외생 변수들이 선정되었다. 즉, 1) 인구사회학적 요인, 2) 이민 관련 및 문화적응 요인, 3) 신체건강 및 생활사건요인, 4) 사회적지지 및 대처요인들이다. 통계분석방법으로 heteroskedasticity resistant (HR) 로버스트 알고리듬을 위계적 방법에 접목시켜 수행함으로써 다중회귀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표본의 약 40%가 우울증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우울증의 주 영향요인으로는 연령, 수입, 이중 언어 실력(Bilingualism), 스트레스성 생활사건,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지지만족도, 우울증 치료경험이 밝혀졌고, 중요한 상호작용요인으로는 스트레스성 사건들X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X사회적 지지 만족도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우울증 예방과 우울한 경향을 보이는 노인들을 확인, 발견, 의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치료서비스 개발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The overarching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principal bio-psycho-soci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the U.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234 community-dwelling cognitively competent Korean immigrants (age≥55) residing in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lack of a theoretical model to assess depression, the study utilized an adaptation of George's Social Antecedent model of depression (1994) from which four sets of exogenous variables were selected. The statistical methodology employed a robust (heteroskedastically resistent (HR)) regression, combined with a hierarchical inclusion modeling strategy, to obtain reliabl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high prevalence rate of depression (40%) in the sample of Korean immigrant elders studied. From the robust findings.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were found to include age, income, bilingualism, stressful life even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prior treatment for depression within past 5 years. Also noteworthy were two significant interactions including perceived health status by life event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y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polic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597-616
    * DOI :
    * UCI : G704-000573.2007.27.3.006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인의 정신건강 도움요청행위에 대한 탐색적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정신보건서비스의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움요청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요인, 접근요인, 욕구요인들 가운데 한국인이 심리정신적 이유로 일반의료제공자와 정신건강전문가를 찾는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설문도구를 구성하고 자발적 참여자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응답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의 결과, 일반의료제공자를 찾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성별, 신뢰/불신의 정도, 주관적 욕구였으며, 정신건강전문가를 찾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객관적 욕구, 성별, 자원이용경험, 사회적 승인, 가족의 승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결론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 의료제공자의 선별 및 의뢰 역할의 강화, 일반인과 사회복지실무자에 대한 정신건강역량(mental health literacy)의 강화 등을 제언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elp-seeking behavior of Korean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nd provide a basis for strategies to facilitat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r a survey of 300 voluntary respondents to identify which of the factors among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affect the behavior of seeking help from general medical providers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ex, trust/mistrust, and subjective need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general medical services, while objective need, sex, past experience of using resources and social sanction being the most influential in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to enhance mental health literacy among the general public, apply gender-specific strategies in promoting help-seeking behavior, and increase the role of screening and referral among general medical provid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2-151
    * DOI :
    * UCI : G704-000500.2007..27.002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일반인의 적극적 정신건강 욕구수준, 적극적 정신건강 욕구 해결방법과 우선순위, 만 족도를 조사했고,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일반인의 적극적 정신건강 욕구수준, 적극적 정신건강 욕 구 해결방법과 그 우선순위, 해결방법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들의 적극적 정신건강 욕구수준은 평균 3.18, 전문가 집단은 평균 2.72로, 전 문가들이 일반인의 정신건강 욕구를 상대적으로 낮게 예측하였으며, 해결방법은 기존의 정신건강 욕구 해결방법을 대부분 사용하였으며, 그 우선순위는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혼자서 해결함’의 해 결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다른 항목에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은 일치하지 않았다. 또한, 활용한 해결방법의 만족도는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혼자서 해결함’이 가장 만족스러운 해결방법인 것으로 응답하였으나 만족 수준은 낮았고, 일반인들이 50% 이상 ‘타 인에게 권유’하겠다는 항목은 하나도 없었다. 그 외 만족도의 다른 항목에 대해서 일반인과 전문 가 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새로운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기존의 정신건강 상담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활용경험을 조사하였는데 기존의 서비스가 적극적 정신건강의 욕구 를 해결하는 데에 매우 부적절하고 일반적인 정신건강 욕구를 해결하는 데에도 적절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반인들은 적극적 정신건강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전문가 활용을 포함하여 그 욕 구를 만족스럽게 해결할 수 있는 해결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하고, 전문가들은 일반인이 가지고 있 는 적극적 정신건강의 욕구, 해결방법과 그 우선순위, 해결방법의 만족도 등에 대해서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people’s needs for positive mental health, priority methods for the solutions of such need and their effectivenes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mental health specialists’ predictions and that of the actual. The result reveals that Korean people do retain a considerable need for positive mental health without being equipped with a proper means to solve such need. In addition, mental health specialists were hardly able to adequately predict the levels of Korean people’s need for positive mental health, priority methods for the solution of such need and their effectiveness. In other words, mental health social works should consider the lack of effective solution measures for the high level of positive mental health need and promote positive mental health services. In order for this, we should incorporate positive mental health as a fundamental concept of mental health policies instead of present negative mental health basis. Furthermore, we should develop new programs and delivery system designed for such concep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40
    * DOI :
    * UCI : G704-000500.2007..25.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2005년에 실시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개선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립생활센터 프로그램의 평가는 결과 중심의 성과평가 방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성과평가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논리모델의 준거틀을 활용하였다. 논리모델의 구성요소에 따라 자원(투입), 활동(과정), 산출, 성과 등 4개 범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자립생활센터 소장 10명과 센터 이용자 231명을 대상으로 면접 및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68.8%의 이용자가 자립생활센터 서비스를 통해 지식(기술)을 습득하였으며, 87.0%가 삶의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82.9%가 서비스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센터 서비스 이용 후 자신감 및 일상생활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상태 및 자립생활실천 사례에 있어서도 상당한 성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전 장애영역 및 읍·면지역으로 자립생활서비스 확대의 필요성, 자립생활센터의 제도화, 자립생활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자립생활센터 연합체의 역량강화,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핵심서비스의 매뉴얼 개발 등을 제안한다.

    The study aim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CILs) demonstration program and to recommend future directions for CILs in 2006. The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is a logic model, which facilitates outcome-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The measures associated with the logic model include input, activity, output, and outcom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 executive directors of 10 CILs and conducting telephone survey with 231 consumer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found that 69% consumers acquired new knowledge and skills for independent living.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87% consumers experienced the positive changes in their lives and 83%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of the Centers. After using the services, consumers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s in self-confidence, and in the number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in the activities.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consumers was improved, and the number of persons who were living in institutions was decreased. The study supports the advancement of policy to institutionaliz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and points to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capacity of the Association of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to ensure high quality service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manual for these services is necessary, and that services should be provided across disabilities and throughout the country, especially in rural area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7-222
    * DOI : 10.20970/kasw.2007.59.2.008
    * UCI : G704-000330.2007.59.2.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 1월 29일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개정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의 장애인 고용정책 현황 분석을 통해 고용률 추이 변화 및 고용이 장애인들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현 의무고용제도의 제도적 개선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다. 법 개정 이후 장애인 고용의무가 50인 이하의 사업주로 확대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2005년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장애인 실태조사’자료집을 기초로 하였으며, 한국 노동시장 특성분석(장애인 포함)과 장애인 취업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노동부에서 매년 발간하는 ‘2007년판 노동백서’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매년 분기별로 발간하는 ‘장애인 고용동향’자료집 2004년 2/4분기와 가장 최근 자료인 2007년 2/4분기 자료 중 본 연구와 관련되는 내용을 추출하여 비교 ?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way to improve current policy primarily the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s revision in jan. 29th 2004, the change of employment rate employment can affect disabled people's improvement of Life. After the law was revised that the obligatory employment system for the disabled extended to employer under 50 people to analyz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 journal of the present stat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abled,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id to observe present state of the employment system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a journal of the trend of employment system for the disabled,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printed in 2004 2/4, and the most recent material 2007 2/4 one, among those materials, we selected what is related with our study and compare and analyzed i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141-166
    * DOI :
    * UCI : G704-SER000010336.2007..7.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서양문화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한국의 관계문화, 특히 부모-자녀관계 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의 특성을 밝히고, 동시에 이제까지의 이들 연구에서 문제점은 없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또한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가족문화 가운데 앞으로 부모-자녀 관계 연구에는 어떤 연구가 필요한지를 제안하고자 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이제까지의 부모-자녀관계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그 연구동향을 5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다.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나 양육행동과 자녀의 사회 정서적 능력과 관련된 연구,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의 형성에 미치는 연구,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기 효능감이나 성취동기와 관련된 연구, 자녀의 성역할과 관련된 연구,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문화와 부모 자녀관계 및 사회, 정서발달에 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금후는 한국의 부모-자녀관계는 서구의 개별적, 독립적 관계와는 달리 자식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더욱 친밀하고 결속력이 강하기 때문에 한국 문화에 맞게 만들어진 새로운 한국적인 척도를 사용하여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iew the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es of family rel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ent-child relations. To obtain this goal, I investigated the traditional many researchers that is related to the parent-child relations, and I suggested a wen research paradigm on the parent-child relations. According to making analysis of traditional researchers that is related to the parent-child relations, I can to make classify 6-types of researchers on the parent-child relations, as fellow. 1)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upbringing and children’s social skill, 2) the effects of mother’s upbring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concept, 3)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upbringing and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4) a study on the children’s sex role, 5) a study on the adolesce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 in the digital age, 6) a study on the traditional the parent-child rel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95-110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7.7.1.004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복지국가 발전의 인식 기반을 살펴봄으로써 친복지정치 구축의 전략적 단초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복지정치 논의에서 중심이 된 계층(class)과 신복지정치 논의의 중심인 복지관련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 요인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계층, 정치이념, 복지수급 경험은 복지인식 전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즉, 한국사회에서는 복지인식 면에서 구복지정치와 신복지정치의 균열이 모두 존재한다. 하위계층일수록, 그리고 공공복지 수급 경험이 있을수록 공공복지에 대한 지지도가 높으며, 특히 모든 계층에서 공공복지 수급 경험은 공공복지 지지도를 높인다. 복지재정부담 의사 면에서는 상위계층일수록 더 친복지적인데 이는 빈곤층을 위한 복지가 아니라 대부분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복지를 지향할 때에만 그러하다. 이는 복지확대에 대한 요구를 결집할 수 있는 인식 기반, 즉 하위소득계층과 공공복지 수급집단의 높은 평등인식과, 공공복지 지출 요구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재원 동원까지 가능한 실질적인 친복지동맹 구성은 하위계층의 결집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복지발전의 정치 동력과 예산제약 완화를 고려한다면 한국사회는 빈곤층 중심 복지가 아니라 보편주의적 복지 발전을 지향해야 한다. 모든 계층에게서 공공복지 수급 경험이 친복지인식을 확대시키는 유의미한 요인이라는 것은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상위층도 공공복지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한국사회에서 친복지인식을 확장시킬 것임을 말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ttitudinal basis of welfare state development and to find strategical clues for constructing pro-welfare politics in Korea. In this article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class which have been central elements in the welfare politics debate and the effects of welfare needs, public welfare experiences on the welfare attitude which are abstracted from new welfare politics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the class and welfare experiences affect on most aspects of the welfare attitud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Korea, old welfare politics as well as new welfare politics are operating now. low class people and people with public welfare experience support public welfare more. However we focus on the results that high class people are more willing to share the cost of the welfare in case universal welfare expands, not the welfare targeted on the poor. So it can be said that the basis to demand welfare expansion exist in Korea. 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practical pro-welfare alliances only with the low class. Considering the political motive and the budget limit of welfare state, Korean welfare development should be headed for the universal welfare state instead of welfare for the poor, as public welfare experiences make people in all classes support public welf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03-225
    * DOI : 10.16999/kasws.2007..34.203
    * UCI : G704-000143.2007..34.003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