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09]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751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 관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아상호작용의 양육관련변인을 확인하고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질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모아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이론적 문헌고찰과 함께, 모아상호작용의 관련변인의 추출과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협력접근법을 통한 미시접근법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는 첫째, 모아상호작용과 관련된 관련변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는 질적으로 어떠한가? 이었다. 첫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에 의하면, 모아상호작용과 관련된 변인에는 영유아의 언어능력, 영아의 연령, 영아의 상황, 영유아의 요구나 동기, 어머니에 대한 유아의 인식, 영아의 기질, 영아의 사회적 능력, 영아의 애착, 영유아의 놀이, 영아의 순응성, 유아의 전략, 어머니의 스트레스?병력?결혼만족도, 어머니의 전략, 사회계층변인, 어머니의 민감성, 어머니의 반응, 어머니의 권력인식, 어머니의 애착, 타인양육, 타인양육유형 등이 포함되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 즉, 소규모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밝혀진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아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양육관련변인에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 합리적-애정적 양육행동, 어머니의 높은 애착정도, 접근적-적응적 자녀의 기질, 자녀의 순응성 등이 있고, 모아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양육관련변인에는 부모역할에 대한 낮은 만족도와 부모역할에 대한 갈등, 애정적-통제적 양육태도, 합리적-권위적 양육행동, 매우 높지 않은 자녀에 대한 애착정도, 중간수준의 어미니 정서표현성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 In this regards, two study issues were set up; Is there any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were communicat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oddler's month ages, situation, needs and motivation of young children, recognition on the mother, toddler's temperament, social ability of toddler, toddler's attachment, play of young children, toddler compliance, interaction styles of young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teraction styles of mother, social stratification, maternal sensitivity, maternal response, maternal perceived power, maternal attachment, types of care.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the mother-toddl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47-17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9.9.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이후 휴먼서비스 조직에 속하는 공공행정서비스 조직, 의료서비스 조직, 교육서비스 조직, 사회복지서비스 조직에서 행해온 조직효과성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49편의 논문을 통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휴먼서비스 조직의 조직효과성 연구는 조직 및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 조직간 경쟁, 책임성?효과성 및 효율성에 대한 사회의 기대 혹은 요구와 맞물리면서 계속 발전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 대상 면에서는 주로 일선실무자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연구차원에서는 대다수가 조직이나 조직성원에 편중되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직무성과 및 조직적응 등을 측정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향후 휴먼서비스조직의 성장과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차원과 대상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측정지표를 활용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차후 조직효과성 연구 면에서나 조직관리 실천전략 면에서 휴먼서비스 조직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몇 가지 발전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reviews 49 empirical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since 1990 to understand the trai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such as public organizations, schools, hospitals,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earch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continued to develop in association with rapid change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management, competition among the organizations, social expectation on accountability, and efficacy and efficiency of human service organizations. Most of studies focused on line-workers as primary subjects and primary variables were mainl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adjustment. It is badly needed to utilize various levels of effectiveness, subjects, and indicators in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service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and further research to go toward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human service organiz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33-68
    * DOI :
    * UCI : G704-000981.2009.11.3.004서지정보 닫기
  • 휴먼서비스 산업체계 모형에 의한 사회복지서비스 동향 분석 김영종(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서비스를 포함하는 휴먼서비스가 수요, 공급되는 체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급속한 개념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수행체계의 재정립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신사회적 위험(new social risks)로 간주되는 새로운 양상의 사회복지 문제들에 대해 복지혼합(welfare mix)이라는 혼합경제적 공급 방식으로 대처하는 현재의 경향은, 기존의 복지공급 체계 혹은 전달체계의 관점과 구조로는 더 이상 설명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복지 수급의 환경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하려 했으며, 이를 위해 휴먼서비스와 산업체계의 개념을 차입했다. 연구의 결과로서, 휴먼서비스가 수요·공급되는 산업체계적 분석 모형을 구축했다. 모형에는 서비스의 수요자(수혜자와 수급자), 재정공급자, 규제자, 생산자 등의 체계 요소가 포함되었으며, 이들 간의 관계 맥락이 구성되어 있다. 구축된 이론 모형을 통해 한국 사회의 현재 혼합경제적 휴먼서비스 작동 체계를 분석, 설명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공급자 위주 전달체계적 이론 모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체계의 가능성을 보여주였다. 현재와 같은 사회복지서비스의 환경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휴먼서비스 개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과, 혼합경제적 작동방식을 담을 수 있는 산업체계적 분석 모형이 유효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The Analysis of Current Korean Social Welfare Service Movement By Using the Model of Human Service Industry System Kim, Young-Jong(KyungSung University)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ystem of human service provision. Recently,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conceptual shift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o faces the necessity to restructure human service delivery system. Newly aroused social problems, so-called `new social risks', pose critically different pictures to the society in terms of problem characteristics, service populations, causal factors, and tackling strategies, and so on. The present trend of welfare mix (admitting multiple sector providers) movement to deal with those problems won't be explained by using the traditional concepts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delivery system. So, this study develops a new conceptual framework, which uses the concepts of human service and industry system, to hold the newly changes in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The conceptual model is comprised of four elements, that is consumers(recipients as well as beneficiaries, separately), financial providers, regulators, and service producers. The model depicts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elements. By using this conceptual model, the study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welfare mix provi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present theories on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by using the concept of human service industry syst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35-74
    * DOI :
    * UCI : G704-000981.2009.11.2.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노인들의 삶에 나타난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에 대한 ‘개인적인 역사경험’이 어떠한 ‘현재성’이 있는지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Sch?tze의 자료수집방법에 따라 실시한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9개를 Rosenthal의 ‘내러티브식-생애사 인터뷰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인 역사경험의 현재성은 주로 경험방식에 따른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친일경험’으로서의 일제강점기에 대한 직접적인 역사경험과 ‘국군생활’로서의 6.25전쟁에 대한 직접적인 역사경험은 ‘개별화된 현재성’이 있는 반면, ‘남편의 역사적 죽음’으로 표출된 일제강점기나 6.25전쟁에 대한 간접적인 역사경험은 ‘잠재된 현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개인적인 역사경험의 현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노인복지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purports to reconstruct how the respective historical experiences o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Korean War have influenced the lifes of the Korean elderly in later years from the biographical context. Nin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Interview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following Rosenthal's ‘analysis of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How individual historical experiences have impacted the elderly's lifes mostly indicated a difference in the way they experienced such historical events. While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and direct, historical experien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ir direct, historical experiences as veterans of the Korean War have influenced their life as individualized, their indirect, historical experiences o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Korean War have manifested themselves as a potential life severed from the historical pas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ow the elderly's individual, historical experiences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their life, finally, some suggestions were addressed as regards welfare practices for the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55-281
    * DOI : 10.20970/kasw.2009.61.3.011
    * UCI : G704-000330.2009.61.3.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황혼이혼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황혼이혼을 한 여성노인들의 이혼결정과 이혼 이후의 적응과정 및 내용을 살펴보고, 황혼이혼 여성 노인들의 구체적 삶에 대한 이해의 기반을 조성해 그들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개입 프로그램 마련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들 중 하나인 생애사 연구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3명의 황혼이혼여성 노인들이 참여했고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Denzin(1989)이 제시한 분석방법을 원용하여 범주적 내용분석을 했다. 연구결과에서는 참여자들의 이혼 전 ?후의 주요 생애주제와 이혼 이후의 삶 적응을 분석하여 공통의 주제를 발견했는데 그것은 ‘문화체계로 굳어진 가부장제’와 ‘편견과 억압속의 분절된 삶’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을 위한 자조모임과 특화된 개입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old Woman’s decision that why they get divorced of the elderly and process of adaptation. So It provides them with practice intervention program. This study approach life history study of qualita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re three old women who have get divorced. Raw data were analyzed by Denzins analysis frame. According to research participant's marriage life were influence form patriarchal social system and they divorced for self-identity. But it was not an escape from patriarchal repression. The patriarchal repression from husband in context of family's level has extended to community. So At this study common theme of divorced elderly life that is “patriarchal based on culture system” and “break up life in cause by biased and oppression”. The Author proposed self-helf group and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divorced elderly wom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087-1105
    * DOI :
    * UCI : G704-000573.2009.29.3.01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에서의 이용자의 선택과 서비스 주요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활동보조서비스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중증장애인 133명에 대하여 이용자 선택과 서비스만족도, 자기효능감, 사회참여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기관을 스스로 결정하고 자신의 의사를 서비스계획에 많이 반영한 경우일수록 서비스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서비스만족도는 자기효능감변화를 완전매개로 하여 사회참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장애인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장애인이 사회참여도 활발하게 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활동보조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증장애인의 선택권과 참여가 보장되어야 하며, 사회참여 성과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 강화 등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choice and outcomes in PAS. Method. We used secondary data collected via a survey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PAS) users by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Republic of Korea(2007). PLS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hoice(formative variable) on PAS, service satisfaction(reflective variable), change in self-efficacy(reflective variable), and self perceived change in social participation(reflective variable), since they used services. Control variables were age, sex, income, service time per visit. We used SmartPls 2 which is a software application for the desig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Result. The participants who had greater choice and control in their service reported more satisfaction with PAS. There wa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terestingly self-efficacy variabl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Conclusions. We should adopt an approach to raise service satisfaction to enhance PAS outcomes for severely disabled people. Not only assistants but also family, service providers need to recognize the right of choice and self determination that could be addressed in PAS program. Also policy makers should build up precondition for choice. Psychological empowerment should be considered as factors to facilitate social participation in PA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5-32
    * DOI :
    * UCI : G704-SER000010336.2009..11.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요인이 누적위험행동과 청소년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누적위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비행으로 인해 보호처분을 받은 남자청소년으로 부산 및 대구소년원과 보호관찰소에 보호 중인 총 369명을 유의 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환경요인 중 가정폭력피해경험과 부모와의 친밀감, 비행친구 수, 교사의 낮은 지지 변인은 누적위험행동과 범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학교 유해도는 누적위험행동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누적위험행동 역시 청소년 범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변인과 청소년 범죄와의 관계에서 누적위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행친구 수, 부모폭력 피해경험, 부모와의 친밀감은 간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지지는 간접효과만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누적위험행동은 교사의 지지와 범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변수의 역할을, 가정 및 친구요인과 범죄와의 관계에서 불완전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cumulative risk behaviou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factors and juvenile crime, using data from 369 juvenile delinquent in the juvenile reformatories and probation offices in Busna and Daegu.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omestic violence, a sense of ki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 the number of delinquency friend, and teacher’s support had an directly effect on not only juvenile crime but also cumulative risk behaviour, but harmful degree of the school had an directly effect on cumulative risk behaviour, only. Cumulative risk behaviour had an directly effect on juvenile crime, too. Besides, there was mediating effect of the cumulative risk behaviour on the relationship of environment and crime. Specifically, there was incomplete mediating effect of the cumulative risk behaviour on the relationship of environment factors such as domestic violence, a sense of ki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 the number of delinquency friend, and crime, but the cumulative risk behaviour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support and crim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페이지 : 45-67
    * DOI :
    * UCI : G704-002137.2009.11.3.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점차 다문화 되어가는 한국사회에서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이 혼혈인에 대한 차별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낙인개념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백인 혼혈인, 아시아계 혼혈인, 흑인 혼혈인 세 유형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지는 않았지만 그리 긍정적이지도 않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혼혈인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체로 백인 혼혈인 보다 아시아계 혼혈인과 흑인 혼혈인에 대해 그리고 흑인 혼혈인보다 아시아계 혼혈인에 대해 덜 긍정적인 인식과 덜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인종주의는 세 유형의 혼혈인 대한 인식과 태도 모두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자민족중심주의/세계주의 성향은 백인 및 흑인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백인 및 아시아계 혼혈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인종주의와 자민족중심주의/세계주의가 혼혈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 유형의 혼혈인 모두에서 혼혈인에 대한 태도는 차별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혼혈인에 대한 인식은 흑인의 경우에 있어서만 차별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혼혈인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이에 대한 논의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and attitude towards mixed-race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m and their influence on discriminative behavior.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residing in Seoul and its suburb.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s mixed-race, generally, were not so negative and positive in all three types of mixed-race, Caucasian-korean, Asian-korean, and African-korean. In addition, the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mixed-race were partly different by the type of mixed race. That is, there wer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the Caucasian-korean in Asian-korean and African-korean, and there were less positive perceptions of and less favorable attitudes towards Asian-korean than in African-korean. With regard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racism was a factor affecting commonly the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s all types of mixed-race. The attitudes towards mixed-race had an influence on the discriminative behavior in all types of mixed-race, and, only in the African-korean, the perception of mixed race affected the discriminative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insights for w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mixed-race's welf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5-246
    * DOI : 10.20970/kasw.2009.61.2.009
    * UCI : G704-000330.2009.61.2.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성격특성이 자원봉사참여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원봉사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가설적 모형을 제시 및 검증하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참여활성화 방안모색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07년 한국호스피스협회 추계학술대회 참석 자원봉사자 200명과 5개 호스피스 기관의 자원봉사자 1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자원봉사 동기(보호동기, 경력동기, 관계동기, 이해동기, 가치동기를 내생변수로 친화성→자기보호동기, 친화성→경력동기, 신경증→경력동기, 친화성→관계동기, 친화성→이해동기, 친화성→가치동기, 신경증→가치동기, 외향성→가치동기의 경로가 유의하였으며, 자원봉사참여를 내생변수로 관계동기→자원봉사참여, 이해동기→자원봉사참여, 가치동기→자원봉사참여의 경로가 유의하였고, 자원봉사지속의지을 내생변수로 이해동기→자원봉사지속의지, 가치동기→자원봉사지속의지, 자봉참여→자원봉사지속의지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또한 유의한 직접효과를 중심으로 자원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참여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hypothetic models and tests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volunteer motivation which effects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hospice volunteer the participation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and durability. Also, this study suggest a theoretical base for the seeking of hospice volunteer participation revitalization. This research participated 200 volunteers who attended the Autumn Conference in 2007 and 132 volunteers from five hospice organizations.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is that the volunteer motivation of self-protection, career, social, understanding and value are endogenous variable and the 8 paths of Agreeable->self-protection, Agreeable->career, Neuroticism->career, Agreeable->social, Agreeable->understanding, Agreeable->value, Neuroticism->value, Extroversion->value valid. The path of social motivation->the participation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understanding motivation -> the participation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value motivation->the participation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are valid in the participation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as an endogenous variable. The path of understanding motivation -> the durability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value motivation -> the durability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 the durability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are valid in the durability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as an endogenous variable. Also, this study test the mediating effect an attended direct effect as the central figure and based on the these results, the revitalizations of hospice volunteer participant are suggested as an proposa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25-148
    * DOI : 10.16999/kasws.2009.40.3.125
    * UCI : G704-000143.2009.40.3.008서지정보 닫기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that 1)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among subordinate variable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variable factors while adjusting navy new generation soldiers to their military service; 2)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navy new generation soldier's career development(i.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tatus, career identity feel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ir adjustment scales to the military; 3)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navy new generation soldiers' career development and their adjustment to the milit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among subordinate variable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variable factors while adjusting navy new generation soldiers to their military service are turned out to be highest in soldiers who are older, who have shorter period of service, who are lower rank soldiers, and who work in technical branches.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group marking at “average” for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counseling system in the questionnaire(p<.05).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vy new generation soldiers' career development and their adjustment scales to the military has meaningful corelation with all the subordinate variable factors of military adjustment(p<.01, p<.001); in particular, military organization environment showed highest correlation among those factors. Third, it shows that the middle group in career development types has taken the majority ratio when analys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avy new generation soldiers' career development and their adjustment to the military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type; and the difference of adjustment level in the military in accordance with career development type had very meaningful difference(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ariou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new generation soldiers' smooth adjustment and problem prevention as well as the various methods development for problem solution utilizing professional knowledge agains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the navy new generation soldiers be implemented. For the smooth adjustment of the navy new generation solders to the military, it is recommended that the Special Counselor System for Soldier Basic Rights be expanded and Military Social Welfare System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페이지 : 81-102
    * DOI :
    * UCI : G704-002137.2009.11.2.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집단 회상요법이 한센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00농원에 거주하는 한센노인을 대상으로 유사 실험설계로서 비동등성 통제집단 전후실험설계(Non- eq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방법으로 집단 회상요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을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씩 1시간 정도 2008년 3월 7일부터 3월 27일까지 총 4주간 집단회상요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Window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X²검증 및 맨-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진행시 구체적인 참여자들의 회상내용을 토대로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의 변화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회상요법은 한센노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회상요법은 노인의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센노인들이 집단 회상요법을 참여하면서 긍정적인 측면의 과거를 회상할 때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이 높았다. 넷째, 회상의 주제가 우울한 내용일 경우나 좋지 못한 관계 등 부정적인 회상을 하실 때에는 자아통합감이 낮았다. 그동안의 한센인에 대한 환부 중심적인 접근방법에의 변화와 질병 위주의 사업에서 심리·정서적 재활서비스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서, 우리나라 89개 정착촌에 거주하는 한센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의 제공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 of a Group Reminiscence Therapy on self-esteem and self-integration among the elderly with Leprosy. The subjects were 12 elderly people with Leprosy, 6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6 for the control group, from an agricultural village in Cheonbuk province. A Group Reminiscence Therapy was conducted about an hour, once a week for 4 weeks from March 7 to March 27, 2008. The research design was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This study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with SPSS 12.0 program,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U test to analyze the data of variation on self-esteem and self-integration based on the concrete recollection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roup Reminiscence Therapy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esteem among the elderly with Leprosy. Second, a Group Reminiscence Therapy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integration among the elderly with Lepros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7-34
    * DOI :
    * UCI : G704-001512.2009..43.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부모여성의 취업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혼여성의 특성과 비교해보는 것이다. 즉, 이들의 인적자본변수, 사회적자본변수, 가족생애주기변수 그리고 노동시장변수가 취업여부와 취업형태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취업관련요인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조사대상자는 2007년에 조사한 한국여성가족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부모여성 313명과 기혼여성 4,744명으로 나누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배우자유무는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고 취업형태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한부모여성에 있어서, 취업유무에는 인적자본변수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가족생애주기변수인 미취학자녀수가 적을수록 취업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 취업과 관련하여 제안하면, 첫째, 여성의 결혼 상태를 고려하여 특성에 맞는 취업정책을 수립하여야 하고, 둘째, 여성에게 가족생애주기의 영향으로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유지시키거나 그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셋째, 재취업을 하려는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공공의 직업훈련과 교육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한부모여성은 돌봄과 일을 병행하는 시간사용의 관리를 위한 사회적 자본을 확대?유지하여야 하고, 다섯째, 건강관리를 위해 건강보호체계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how variables relate with the employment status and job type of Single-Mothers(SMs) and compare characteristics of Married-Mothers (MMs) affect factors. The sample of this study are 313 SMs and 4,744 MMs in 2007 Korea Women and Family Penal Dat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he two groups with or without spouse did influence on women's employment status and did not effect on type of employment. The variables affecting SMs' employment status are health status of personal capital variable and preschool children of family life cycle variable. And previous-employment-type of personal capital variable can be statistically affecting the significant amount on SMs' employment type. As a result, in this research by relating the employment has concluded as following; First, women's-employment-policy needs to establish by women' marriage status. Second, without either of family life cycle factors or career interruption, the integrated policy needs to be constructed to maintain or minimizing these affects. Third, for those who had career interruption and now want to get a job,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need to be provided. Forth, SMs have time limit from looking after their children and work, therefore counterproposal of expansion and continuation of social capital need to be made. Fifth, health care system should be easily assessable for SMs can be working as long as possibl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263-290
    * DOI : 10.15855/swp.2009.36.4.263
    * UCI : G704-001012.2009.36.4.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접근을 활용하여 한부모 여성의 멘토링 연결망의 특성을 분석하고 멘토링 기능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의 한부모 여성 43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멘토링 연결망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부모 여성들의 멘토링 관계는 연결망 형태임을 확인하였고, 멘토링 연결망의 특성은 대체로 연결정도가 낮고 관계 범위는 협소하며 관계 강도도 약한 편이었다. 둘째, 멘토링 연결망 특성이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력관련기능은 멘토링 연결망의 특성 중 연결망의 범위와 관계 강도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고, 심리사회적 기능은 연결망의 크기와 관계 강도가 유의미한 변수였고, 역할모델기능에는 연결망의 크기만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 여성들의 멘토링 연결망의 특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적었으나, 멘토링 기능 중 경력관련기능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점과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mentoring network of single mothers with dependent children and to show the mentoring network effect on mentoring function and empowerment applying social network approach. 439 single mothers with dependent children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have been surveyed about mentoring network properties. The results are 1. The mentoring relationships between single mothers have been shown in various size and relationship characters. The out-degree of Their network is low, the range is narrow, and the tie-strength is weak. 2. When the effect of men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on mentoring function has been analyzed, in career functions, the range of network and the strength of relationships are represented as significant variables among the men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in psychosocial functions, the size of network and the strength of relationships are shown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 inverted-U-shaped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ize of network has not been revealed. In role modeling function only the size of network is represented as a significant variable. 3. The direct effect of mentoring network of single mothers with dependent children has not been much on empowerment and the career related function among mentoring functions has been revealed as the variable, which affect on empower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mentioned in this pap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1-84
    * DOI : 10.20970/kasw.2009.61.4.003
    * UCI : G704-000330.2009.61.4.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가계조사를 활용하여, 남성 한부모 가구를 포함한 한부모 가구의 빈곤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구유형을 양부모, 남성한부모, 여성한부모 가구로 분류하여 빈곤율과 빈곤가구의 특성, 그리고 빈곤결정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2007년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한부모 가구의 빈곤율은 19.0%에 달하였으며, 특히 여성 한부모 가구의 빈곤율(20.7%)이 매우 높아, 한부모 가구 중에서도 여성 한부모 가구가 더욱 더 빈곤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 가구의 한부모성과 자녀부양부담이 빈곤위험을 크게 높이는 원인이었으며, 특히 자녀부양부담은 양부모 가구의 빈곤 결정요인과 결정적인 차이를 보이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남성 한부모 가구와 여성 한부모 가구의 빈곤양태 및 위험요인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남성의 경우 낮은 인적자본 수준과 자녀부양부담이 결합된 근로빈곤의 양태가, 여성의 경우 인적자본 수준 자체보다는 혼인상태 변화에 따른 생계부양자의 상실과 어린 자녀로 인한 경제활동의 제한이 주요 빈곤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 가구에 대한 현금이전급여의 확대, 보육 및 자녀양육 서비스의 개선 등의 정책적 제언과 함께, 남성 한부모 가구에 대한 정책적?이론적 관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the poverty of single-parent households. Utilising 2007 Household Survey Data, the study identifies the poverty rates and main features of poor single-parent households, and carries ou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povert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overty rate of single-parent households was 19.0%, and the poverty rate of single mother households was especially high(20.7%). Secondly, single-parenthood and child-rearing burden were the important factors explaining high poverty hazard.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level of differences in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poverty between single-father and single-mother househol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as discussed some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the expansion of cash benefits as well as various social services to support the child-rearing burden of single-parent household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219-236
    * DOI : 10.15855/swp.2009.36.2.219
    * UCI : G704-001012.2009.36.2.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워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경험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서양에서 개발된 부양자반응척도(CRA)를 우리나라 가족부양자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한국형 부양자반응척도(K-CRA)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자반응척도(CRA)를 조사한 결과를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타당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6개월 이상동안 일주일에 최소 7시간 이상의 돌봄을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제약이 있는 노인에게 제공한 253명의 가족부양자이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수정된 한국형 부양자반응척도(K-CRA)가 만족스러운 수준의 내적신뢰도, 구조적 타당도, 기준타당도, 수렴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한국형 부양자반응척도(K-CRA)는 노인복지연구와 실천현장에서 가족부양자의 경험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 A total of 253 family caregivers for older adults with physical or mental impairments are recrui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strument are tested by item-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verge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values for the five dimensions of the K-CRA are good. The converge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is empirically confirmed. The EFA with the principal component method reveals the factor structure in the observed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K-CRA was both reliable and valid. In conclusion, the K-CRA would be useful in clinical and research settings in South Korea.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407-424
    * DOI :
    * UCI : G704-000573.2009.29.2.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복지정책에 대한 국민적 동의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7년 한국복지패널 2차 조사의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독립변수인 자기이해요인, 이데올로기 요인, 사회화 요인,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복지의식간의 인과적 관련성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의식을 설명하는 주요 이론으로서 자기이해(self-interest)이론은 장애인을 제외하고는 한국사회에서 유효한 설명력을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지의식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이데올로기적 요인의 설명력이 다른 여타의 요인보다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데올로기 중에서도 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보다는 평등주의적 이데올로기가 복지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지정책의 유형별 복지의식도 자기이해요인이나 사회화요인보다는 대체로 이데올로기 요인과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평등주의 이데올로기의 확산과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그리고 복지세금의 증세를 위한 국민적 동의 기반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ssociated factors that influencing on welfare attitudes. The empirical literature that tries to explain attitudes toward the welfare policy basically refers four different determinant. That is self interest, value and norm, different socialization patterns, and a negative attitude of recipient. The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is a second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urvey. The welfare attitude is measured by the question asking respondent's subjective idea on the welfare expenditure and welfar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st, The self-interest theory, the most influential theory among theories on welfare attitude, has a limit to explain welfare attitude of Korean. Except in the case of the disabled, Most variables on self-interest does not influence welfare attitude. Second, Ideology factor and negative recognition on the recipient have an impact on welfare attitude. In other words, People have egalitarian ideology and positive attitude on the recipient have more supportive attitude on welfare program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improvement in negative recognition on the recipient and strengthening value of equality in welfare program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73-99
    * DOI : 10.15855/swp.2009.36.4.73
    * UCI : G704-001012.2009.36.4.01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다문화 배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다층분석틀과 다층모형으로 실증 검증하고, 그에 따른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3 KGSS 조사 자료를 기초로 다층모델(Hierarchical Linear Model)을 기초모형, 연구모형으로 구성하여 결정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기초모형에서 추정된 지역 간 다문화 배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중 평균모형에서 지역적으로 낮은 최저 생계비를 지닌 지역, 즉 대도시에서 농어촌으로 갈수록 다문화 배제 태도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NCOVA 연구모형에서 사회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사회적으로 불공정하다는 개인일수록, 한국인 자부심이 높은 사람일수록, 다문화 적응방식이 소수민족이 수용국가 전체사회에 적응하고 섞이는 방식을 선호할수록, 그리고 개인 가치유형에는 가치요인(1)(자기-개선), 가치요인 (3)이 높을수록, 가치 요인(2)(변화에 대한 개방성)이 낮을수록, 가치 요인(4)(자기-초월)가 높을수록 다문화 배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문화 배제 태도에 따른 다문화 사회의 갈등에 대비한 정책적 대안에 이러한 결정요인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determinants of korean multicultural exclusive attitude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oretical frame and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this, I used data from the 2003 KGSS and analyzed the data by adopting hierarchical linear research models consisted of unconditional model and conditional model. The results show that in unconditional model, the data analysis method for the hierarchically structured data, to look at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korean multicultural exclusive attitude, is proved as appropriate method. In conditional model, it is estimated that lower area of minimum living cost, lower social class, social unjustice attitude, higher korean pride, favor of cutural mixing strategy, higher self-enhancement value, lower openness to change value, and higher self-transcendence value, are statistically proved as positive(+) influence factors to multicultural exclusive at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of multiculture should be prepared for the potential conflict of multicultural exclusive attitud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323-348
    * DOI : 10.15855/swp.2009.36.3.323
    * UCI : G704-001012.2009.36.3.008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진폐증의 발생 및 발견, 그리고 보상제도로서의 진폐특별법의 형성(1984)이다. 이것은 그동안 한국의 사회과학 분야에서 거의 연구가 되어오지 않은 진폐증과 진폐특별법 제정과정을 밝힘으로써 직업병에 관련된 연구의 영역을 넓힐 뿐만 아니라 한국의 산업복지정책과 정치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 진폐특별법 제정과정에서 나타난 한국의 산업복지 정치는 서구의 중앙집중화된 노동조합, 이러한 노동조합과 연계된 진보정당, 그리고 보편적인 사회복지 제도의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코포라티즘에 기반한 산업복지제도와 정치와는 달리 이익집단 주도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산업복지정치가 계급정치나 노동정치가 아니라 이익집단정치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원인은 노동조합의 취약성과 진보정당의 부재에 기반하고 있다. 즉 진폐증을 둘러싼 산업복지정치는 광산노조나 한국노총 등의 노동조합이 아니라 전국진폐재해자협회와 같은 이익집단과 정부부처의 갈등과 타협으로 진행되었다. 이것은 한국의 산업복지가 잔여적인 사회복지를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산업복지정치 빈곤으로 귀결된 원인을 보여준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coal workers' pneumoconiosis and institutions and politics surrounding ex-miners with pneumoconiosis focusing on a special law name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Pneumoconiosis and Protection etc. of Pneumoconiosis Workers (hereafter APPPPW).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Korea's welfare politics and industrial welfare. The contributions are shown in expanding studies of industrial diseases and industrial welfare in Korea which have not almost been conducted. To sum up, Korea's industrial welfare is characterized as ‘little participation of trade unions and leading role of interest groups in policy-making process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ype of social corporatism in Western states. This means that the politics in Korea is subjected to pressure group politics instead of labour politics and weakness of class politics by progressive parties in party politics and parliamentary politics. Thus, politics of industrial welfare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poverty of poiltics’ which results in residual welfare syst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31
    * DOI :
    * UCI : G704-000662.2009.25.4.006서지정보 닫기
  • IMF 이후 한국 사회의 이슈 중 하나는 소득불평등이다. 지난 세기에 비해 불평등도가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외국의 그것과 비교하여 심각한 수준이 아니다. 아니 소득이전 전의 소득불평등도는 어느 나라보다도 낮다. 하지만 한국 사람들은 사회 불평등에 대해 매우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한국인의 의식에 자리 잡고 있는 평등주의 때문이다. 롤즈의 정의론은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 이득이 주어지는 한에서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용인된다고 한다. 롤즈의 정의론을 한국 사회복지와 연결시킬 때 핵심은 어느 정도가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 이득이 주어지는 정도인가를 찾는 데 있다. 사회복지정책이 그 사회 구성원의 의식과 이념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한국 사람이 용인하는 불평등 정도와 복지이전지출 정도는 한국 사람의 의식과 이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런 작업은 규범적이고 이론적인 롤즈의 정의론을 구체적인 정책과 만나는 장을 발견하는 것인 동시에 이론이 정책으로 나타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일이다.

    One of the major social issues that have emerged in Korea in the wake of the 1997 financial crisis is income inequality. Although it is true that income inequality has worsened in Korea compared with 20th century, the Korean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poor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Rather, Korea’s level of income disparity before income shifting ranks as one of the lowest in the world. However, Korean people are highly sensitive to social disparity. It is because of the egalitarianism that has deep rooted in Korean society. Rawls insisted his Theory of Justice that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ies should be arranged so that they are both to the greatest benefit of the least advantaged persons. Now, key in applying Rawls’ theory to the Korean welfare system is to define which levels of income inequality and income transfer are appropriate to achieve the greatest benefit of the least advantaged persons. If we say a nation’s social welfare policies reflect the ideology and mindset of the members of society, the levels of income inequality and income transfer should be determined based upon the ideology and mindset of the Korean people. In this process, we can find that ideology and mindset are the very foundation in determining the levels that will effectively utilize Rawls’ Theory of Justice in the policy-making, while laying the stepping stones for the Theory to contribute to tangible Korean welfare polic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329-353
    * DOI : 10.15855/swp.2009.36.1.329
    * UCI : G704-001012.2009.36.1.009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한국 복지체제와 젠더레짐의 성격을 일가족양립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고, 최근의 일가족양립정책이 기존 체제의 성격을 변화시켰는지 분석하였다. 2000년대 들어 한국 사회에서 일어난 가족정책 특히, 보육서비스, 육아휴직제도와 같은 일가족양립정책의 변화를 복지체제와 젠더레짐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에스핑 안데르센의 유형화에 기반한 복지체제 논의와 젠더레짐 논의를 결합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정책 개혁이 돌봄 노동을 둘러싼 국가-시장-가족의 역할 분담, 그리고 유급-무급노동을 둘러싼 남녀의 책임 분담의 재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한국은 돌봄 서비스를 포함한 복지 제공에서 전통적인 가족의 역할을 강조해 왔고, 국가의 사회서비스는 자산조사에 의한 잔여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보수주의 복지체제 내의 남부유럽 국가들, 자유주의 복지체제 국가들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분석 결과, 최근 보육서비스 확대를 통해 돌봄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했고, 육아휴직정책을 젠더 중립적인 방향으로 확대했으나, 이로 인해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는 없음을 확인하였다.

    For the 2000s, fertility crisis in korea have pushed the state to reform the family policy. Governments have played active roles in providing child care services and promoting work-family reconcilia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policies in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regime and gender regime. How does the policy reform influence existing regimes? Radically changing or path-dependent? Based on the framework that combines welfare regime and gender regime, this study analysed how the development of work-family policies influence the distribution of care responsibilities among state- market-family and the sharing of it between men and women. In korea, the important role of family(especially, women within the family) in the welfare provision including care service has been stressed and state's social services was residual by means-test. Because of these aspects, korean welfare and gender regime has common features with southern european states within the conservative regime and liberal regime states. In conclusion,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work-family policies in recent period. However, despite the steady expansion of the child care policy and gender-neutral extension of the parental leave, policy paradigm shift or radical change was not yet foun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81-305
    * DOI :
    * UCI : G704-000662.2009.25.4.007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