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출생 3개월 이전에 정상아인줄 알고 입양한 후, 양육과정에서 장애가 드러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입양어머니의 내적 경험을 Van Manen(2000)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서울?광주?경남?전북에서 6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결과, ‘안개 속을 헤메임, 삭히는 시간, 고통 중의 감사, 세상에 당당히 맞섬, 내 삶의 중심으로 들어 온 아픈 아이, 아직 살아보지 않은 날에의 기대’로 도출된 본질적 주제를 통해 ‘아픈 아이의 꿈을 이뤄주고 싶은 엄마마음’으로 해석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조금은 부족한 아이이므로 더 잘 키워주어 아이의 꿈을 이뤄주고 싶은 어머니의 마음은 결국 한 생명에 대한 사랑이었다. 긴 가슴앓이의 시간 후, 입양어머니에게 아이의 장애는 짐이 아니라 새로운 세상에의 기대로 나타나고 있고, 아동의 홀로서기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세상의 모든 아이는 가정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ner experience of foster mothers who adopted children under 3 months old and found out they were disabled while they were rearing with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with six foster mothers who live in Seoul, Gwangju, Gyeongsangnam-do, and Jeollabuk-do. The study resulted in a hermeneutic writing with titled “Love of Mothers Who Want to Make Their Children's Dreams Come True" with six essential themes as follows: 'being at a loss wrapped in a dense fog,' 'venting off the frustration,' 'gratitude amid painfulness,' 'bold confrontation with prejudices,' 'disabled children's return to the center of their moms' life,' and 'expectation for their future life.' As they are disabled, foster mothers want to rear their children with more care and attention to make their children's dreams come true. Seen above,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mothers' love to a life. For foster mothers, the disability of their adopted children is not a burden but an expectation for a new world. They help the children live by themselves. It shows that every child can have his own hom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3-107
* DOI : 10.20970/kasw.2010.62.1.004
* UCI : G704-000330.2010.62.1.001
서지정보 닫기
-
2002년과 2007년의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시 가구의 가구주 연령을 5세로 집단화하여 총소득에 대한 소득분배 변화를 소득원천별로 분해하였다. 2002년과 비교하여 2007년의 총소득에 대한 지니계수는 0.027p 상승하여 소득분배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연령별로 계층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일부 연령층을 제외하고서는 2002년이나 2007년 공통적으로 30대 초반까지 소득분배가 개선되다가 이후 악화되는 형태를 보였다. 2002년과 비교하여 2007년에 총소득에 대한 소득분배가 개선된 계층은 40대 초반, 60대 초반 가구주 가구였다. 40대 초반 가구주 가구는 금융소득ㆍ부동산소득의 소득분배가 개선되었기 때문이고, 60대 초반 가구주 가구의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대한 소득 불평등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총소득에 대한 소득불평등이 심화된 가구인 20대 후반, 30대 초반, 40대 후반, 50대 초반 가구는 근로소득의 소득분배가 공통적으로 악화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30대 후반과 50대 후반의 가구주 가구도 소득불평등이 악화되었는데 이들 계층의 근로소득 불평등은 개선되었으나, 기타소득의 불평등 악화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소득분배 변화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소득은 근로소득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으로는 20ㆍ30대 연령층의 임금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비정규직, 파트타임 등 고용형태 개선 정책과 50대의 임금소득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임금피크제 등 정년연장 정책을 들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a change in income inequality between 2002 and 2007 based on decomposition of the Gini coefficient by income sources. To account for a household's life-cycle characteristics, we divided urban households into eight groups based on their head's ages. While overall income inequality of all households measured by Gini coefficient was worsened between 2002 and 2007, income inequality of each age group was changed by different sources of income. Income inequality of the households with their head's age of the early 40's and the early 60's was improved because financial income and property income inequalities were improved for the households with their head's age of the early 40's even though their labor income inequality was worsened and labor income inequality was improved for the households with their head's age of the early 60's. Income inequality of the households with their head's age of the latter 20's, the early 30's, the latter 40's and the early 50's was worsened because their labor income inequality was worsen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labor income was the main factor to affect the change in income inequality during this period. Policies to improve employment types and to extend retirement age can improve labor income inequali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33-60
* DOI :
* UCI : G704-000662.2010.26.1.002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현행 국민연금의 출산 크레딧 제도를 확대 강화하여 양육 크레딧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 대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연금제도에서의 크레딧의 개념과 역할을 양육 크레딧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국민연금에서 수행하고 있는 출산 크레딧 제도의 현황을 고찰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외사례를 통한 국민연금에의 함의를 고찰하기 위하여 OECD 주요국에서 수행하고 있는 양육 크레딧 제도를 살펴보았다. 양육 크레딧 제도의 해외사례는 독일, 프랑스, 영국, 그리고 일본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해외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민연금의 양육 크레딧 제도 개선방안을 위하여 우리나라 여성들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분석한 후, 우리나라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율과 재정문제를 고려하여 양육 크레딧의 정책 목표의 우선 순위를 제시하였으며, 끝으로 양육 크레딧으로의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childcare credit in National Pension which strengthens current childbirth credit. In order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childcare credit, first of all, definition and role of credit in pension system are examined and issues of current childbirth credit in National Pension are analysed. Then, care credit in other countries are compared. That is, in order to get policy implication for care credit from other countries, care credit in Germany, Franc, UK, and Japan is examined. Based on the above policy implication, the contribution record of Korean women in National Pension is analysed and policy alternatives for childcare credit are propo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79-208
* DOI :
* UCI : G704-000662.2010.26.1.001
서지정보 닫기
-
우리 국민건강보험은 다른 OECD국가에 비해 낮은 보험료 수준에도 불구하고 의료접근성이 매우 높으며, 보장률도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영건강보험의 가입률이 63.7%에 달할 정도로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전 계층에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이유는 상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공적 보장제도에서 충분하게 보상해주지 못하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민영건강보험의 역할에 대해서 기존의 연구들은 의료비용 측면만을 다루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상병으로 인한 직접적인 의료비용은 물론, 가족의 간호로 인한 부대비용, 장기 요양과 영구적인 장해 발생으로 인한 상실소득 측면을 함께 고려하였다.
우리 국민건강보험은 보장률이 낮고 상병급여제도가 없기 때문에 상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충분히 보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의료기술의 발전과 노령화에 따라 향후 세대 간 재정부담 전가 문제가 핵심 과제로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민영건강보험은 의료보장체계에서 보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의료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세대 간 부담 전가를 완화할 수 있도록 상품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가입자의 생리적 정보를 활용한 건강 상담서비스 등을 통해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함은 물론, 의료기관간의 경쟁을 촉진시켜 의료산업이 발전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민영건강보험의 역할이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의료보장제도는 물론 국민연금의 장애연금, 고용보험의 상병급여 등을 포함한 상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보장하는 사회보장체계 전반의 취약점이 우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다음 민영건강보험 역할에 준하는 규제 및 감독이 이루어질 때 충실한 의료보장체계를 갖출 수 있을 것이다.
Despite its lower premium than those of other OECD countries, the pubic health insurance in Korea allows easy access to medical services and its level of coverages tends to increase consistently.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however, shows the enrollment rate of 63.7%, penetrating to all social classes regardless of income. The high level of private health insurance enrollment is attributed to the public health insurance being insufficient to cover the economic loss due to accidents or sickness, in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medical care system.
Since the public health insurance in Korea provides low level of coverages and no compensation for income loss due to accident or illness,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not able to sufficiently cover the financial loss on the sick and injured. Also,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aging of population,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financial burden can be a core issue of public health insurance.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shall play a supplemental role in the medical care system. Its products shall be designed to minimize blind spots of medical services and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medical expense.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also needs to contribute to promoting public health such as disease prevention by utilizing physiological information of the insured and to advancing the medical industry by encouraging competition among medical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these desirable consequences, it shall complement the weak points in the entire social security system. After the rol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is defined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regulations and supervising system shall be establish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21-146
* DOI :
* UCI : G704-000662.2010.26.1.006
서지정보 닫기
-
이 논문의 목적은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사회권 실태를 한국의 젠더체제가 노동시장 및 복지국가와 맺고 있는 구조적 관계 속에서 재조명함으로써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의 사회권 개선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여성 비정규노동은 임시직 고용을 주된 형태로 하며 고용불안정, 저임금, 장시간 노동, 국가복지 및 기업복지로부터의 배제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회권이란 관점에서 보면 노동자, 부모, 배우자, 시민으로서의 지위에 기초한 모든 권리형태들, 즉 유급노동권, 탈무급노동권, 탈유급노동권, 돌봄권 모두가 취약하기 짝이 없다. 그동안 이런 현상들은, 특히 남성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비해서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더 나쁜 대우를 받는 것은, 여성을 기본적으로 양육자이자 부차적 노동자로 규정하는 남성생계부양자형 젠더체제의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기혼여성에게 무급노동의 반대급부로 제공하는 ‘남성생계부양’ 기능은 한국에서는 중산층 기혼여성에게만 작동하며, 이런 의미에서 한국의 젠더체제는 전형적 남성생계부양자형이 아니라 계층화된 남성생계부양자형에 가깝다. 그리고 여성비정규노동자들의 열악한 사회권은 사회보험 중심의 복지국가, 이중노동시장체제, 그리고 남성부양자모델의 젠더체제라는 긴밀히 연결된 세 개의 구조 모두에 원인이 있지만, 이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이중노동시장체제로, 이 문제의 해결 없이는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의 사회권이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plores how to improve the social rights of female nonregular workers in Korea by reconsidering their social rights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gender regime, labor market system, and the welfare state. The dominant form of employment of Korean female nonregular workers is temporary work characterized by instability, low wage, long-time work and exclusion from the state and occupational welfare. This phenomenon has been interpreted as an outcome influenced by the male breadwinner model of gender relation, which defines a woman primarily as a care-giver and as a worker secondarily. However, in Korea, male breadwinning in return for female care-giving is only the case for middle-class married women. Married nonregualr female workers of low-income household participate in paid-work to support themselves. This implies that the Korean gender regime is a stratified (or differentiated) male breadwinner model rather than a typical male breadwinner model, and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rights of female nonregular workers depends mainly on the reform of the dual labor market system.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61-287
* DOI :
* UCI : G704-000662.2010.26.1.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24시간을 관찰?기록하는 생활시간조사방법을 활용하여 거주시설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과 그 안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생활시간연구방법 중에서는 시간수지연구방법 중 ‘활동의 빈도’와 생활시간 중 ‘생활’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거주시설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 분석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표(2004)를 기준으로 하여, 거주시설 일상생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상호작용 분석은 Flanders(1963)의 언어 상호작용분석모형을 기초로, 지적장애인과 생활재활교사의 상호작용 정도, 유형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최초로 거주시설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있는 그대로 조명하여 그들의 일상에 대한 이해를 심층적으로 구축하고, 이용자와 생활재활교사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점, 생활시간조사방법을 적용한 점 등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관련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aily liv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daily time use method that monitors and records 24 hours of the subjec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ily lives of the institutionalized disabled and verbal interaction patterns within each facility. In particular, the analysis focused on 'frequency of activities' and 'lives', with the method of time budget. Based on the activity category table of the 2004 nationwide Time Use Survey, the analysis aimed to identif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in terms of daily time use. The interaction pattern analysis method on grounds of the Flanders Category system(1963) indicates the level, the type, and the full details of interaction between the institutionalized disabled and the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This study is all the more significant in that it monitored the daily lives of the institutionalized disabled for the first time to allow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daily lives of the disabled; analyzed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he institutionalized disabled and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applied time budget study method, a frequently used one in adjacent fields, and therefore should serve as a valuable source material for future stud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17-342
* DOI : 10.20970/kasw.2010.62.1.013
* UCI : G704-000330.2010.62.1.016
서지정보 닫기
-
그룹홈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그룹홈 체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가족유대의 신화가 깨어진 경험을 통해 그룹홈 입소를 하였다. 그룹홈에서 또래들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자신들의 삶의 경험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룹홈 청소년의 체험은 부대낌을 통해 정을 다지고 신뢰하게 되며 ‘보살핌’을 통해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타인을 식구로 선택하며 버거운 ‘자립’의 과제를 풀려고 고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연구의 결과로 그룹홈에 관련된 정책 및 실천이 그룹홈 거주 주체인 청소년들의 성장을 원조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Group home family has emerged in the era of various forms of family existing. There are adolescents who are ‘living in group home' yet, the meanings of living in group home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literature. The authors attempts to reveal the lived experiences of group home residents and the meanings of living in a group home with group of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The authors reveals 'being cared for' and 'being there for each other' are the themes of lived experience to the group home residents. The study shows how the residents had survived in their family of origin and how those experiences have affected one's lived experience in their living in group hom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1-53
* DOI : 10.20970/kasw.2010.62.1.002
* UCI : G704-000330.2010.62.1.01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기존의 자활 관점이 경제적 자활에 초점 맞추어져 특정시점의 ‘결과’로서 이해되어왔다는 한계점을 인식하고, 성매매피해여성의 자활성과를 측정함에 있어, 당사자의 경험이 내포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위해, 성매매피해여성 34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된 자활경험에 기반하여 자활 과정 척도문항을 구성하였고, 성매매피해여성 243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척도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 24문항의 척도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각 요인의 신뢰도는 .823에서 .871로 높았다. 더불어, 척도 영역별 점수분포 양상의 검토와 함께 자활과정 척도의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비가시적인 자활의 과정을 가시화시키는 척도개발을 통해 기존 자활개념과 성과측정의 한계를 보완하고, 자활 현장의 현실성을 보다 반영할 수 있다.
Self-sufficiency of the female victims of prostitution has been understood as a 'result' at a particular moment focusing on an economic self-sufficiency. Overcoming such limitation, this study originates from a problem posing that evaluating self-sufficiency of the female victims of prostitution should be approached as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experiences of the victims are integrated.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nclud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questions designed based on the self-sufficiency experiences which were analyz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34 female victims of prostitu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3 female victims of prostitution, and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validity of scale in four factors and 24 questions was verified. A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high ranging from .823 to .871. It could be achieved to make a relatively invisible process of self-sufficiency visible by developing the scale. Subsequently it complements the existing concept of self-sufficiency and overcomes limitations of measuring its results, hence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self-sufficiency practi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5-81
* DOI : 10.20970/kasw.2010.62.1.003
* UCI : G704-000330.2010.62.1.01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문화복지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 해소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복지실천가 대상 인터뷰를 토대로 기노시다(木下康仁)에 의해 창안된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활용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문화복지프로그램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다양한 문화향유기회의 제공을 통해 이들의 잠재적 역량과 자존감을 증진시켜줌으로써 주체적 변화를 통한 사회적 배제 해소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문화복지프로그램은 다양한 창작체험기회 제공, 과정중심의 비정형적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참여자의 주체화, 공동체활동 등의 접근전략을 통하여 참여자들의 창의적 역량과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공동체적 연대의식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사회적 취약계층은 문화복지프로그램을 통하여 정서적 충족감을 느끼고 가족 및 대인관계의 향상, 긍정적 자아상 확립, 역량강화, 공동체활동 참여 등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서비스가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선별주의적 사회복지프로그램에 문화를 접목시킨 보편적 사회복지프로그램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for the possibility of dissolving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vulnerable classes through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interview records focused on the culture welfare practitioners applying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worked out by Kinosi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unctionated of dissolving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weaks by enhancing latent faculties and the sense of self-respect of them through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of culture frui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promoted creative competence and the sense of self-respect, and strengthened the sense of solidarity of the participants by using the approaching strategies of offering various opportunities of creational experience, atypical operating programs centered on the process, establishing of the participants' subjecthood, and communal activities. That is, it was proved that actually the social weaks experienced the change of life with feeling emotional satisfaction, promoting family and human relationship, establishing positive identity, empowerment, participating communal activities, and so on, through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rom these results we can know that if we provide the programs mixing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with social welfare services which traditionally reinforced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vulnerable classes by stigma, the social exclusion about them can be dissolv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1-316
* DOI : 10.20970/kasw.2010.62.1.012
* UCI : G704-000330.2010.62.1.013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의식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인권민감성을 조사함으로써 그들의 인권의식을 살펴보고 부랑인복지시설 생활인의 인권의식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 38개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 390명의 인권민감성을 비교?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은 총점 150점에 평균 64.55점으로 매우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종사자들의 학력별 인권민감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직책별 인권민감성에서 실질적인 운영자들의 인권에 대한 의식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부랑인복지시설 내에서의 인권교육 유무별에서는 인권교육을 받은 경우가 그렇지 못한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인권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랑인복지시설 내의 인권교육을 정규 커리큘럼으로 일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정례화 되어야 하고 종사자들의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인권침해상황과 관련된 사례나열식 인권교육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did by purpose to be utilized to basic data for elevation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homeless facilities employees through examining their human rights consciousness by investiga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that can grasp degree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homeless facilities employees.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390 homeless facilities employees who are working at 38 facilities around the whole country is compared and investigated.
As a result, human rights sensitivity of employees displayed very low score by average 64.55 points in total score 150 points.
Human rights sensitivity academic career of employees was shown meaningful difference,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substantial administrator is appeared very low in human rights sensitivity by duti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the homeless facilities, the employs who had got human rights education shows higher human rights sensitivity than the employs who had not go human rights education.Therefore, regular program that can enforce human rights education collectively as a formal curriculum in homeless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it’s proposed to develop practical and efficient human rights education manual case by case related with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63-289
* DOI : 10.20970/kasw.2010.62.1.011
* UCI : G704-000330.2010.62.1.012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부모와 외국인 며느리가 서로에 대해 지각하는 ‘관계’의 차이, 유형, 특성 등을 파악해 보고, 서로의 관계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는 며느리와 시부모 138쌍이다.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의 시부모는 외국인 며느리에 비해 관계를 더 좋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부모와 외국인 며느리 쌍의 지각된 일치도에 근거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관계유형(군집)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시부모와 며느리의 주요 특성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부모의 높은 문화적 유능감이 서로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부모와 관계가 좋은 며느리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부모가 며느리와의 관계를 좋게 지각하는 경우 시부모의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며, 시부모와의 관계를 좋게 지각하는 경우 며느리의 결혼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difference and patterns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in-law and foreign daughters-in-law based on the perceived agreement of quality of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 total of 138 dyad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in-law and foreign daughters-in-law from Seoul, Kyunggi-Do, and Cholla-Do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parents-in-law and foreign daughters-in-law perceived their relationship as an average and above and parents-in-law perceived their relationship more positively than daughters-in-law. A total of 4 clusters were categorized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agreement of perceived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parents-in-law perceived their relationship positively but daughters-in-law were not(cluster 1), daughters-in-law perceived their relationship positively but parents-in-law were not(cluster 2), both parents-in-law and daughters-in-law perceived their relationship positively(cluster 3), both parents-in-law and daughters-in-law perceived their relationship negatively(cluster 4). In order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patterns, ANOVA were performed. Cultural competency of parents-in-law appeared to relate to their relationship with daughters-in-law. Acculturative stress of daughters-in-law wh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in-law was low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m was high. In addition, life satisfaction of parents-in-law wh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daughters-in-law was high.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33-153
* DOI : 10.20970/kasw.2010.62.1.006
* UCI : G704-000330.2010.62.1.01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최근 발생한 일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복지지원금 횡령사건과 관련하여 인터넷 토론방에서 논의된 댓글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댓글 분석 결과, 토론방 댓글 참여자들은 우리나라 공공복지 최일선에서 공무원과 사회복지사라는 이중적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사회복지제도를 비롯하여 공무원제도의 희생자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사는 공공영역에서도 여전히 전문직이라기보다는 개인의 희생과 헌신을 앞세운 도덕성이 강조되는 봉사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일반대중의 인식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회복지계의 노력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Recently, there were some welfare embezzlement cases of public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ublic perceptions of public social workers by analysing the comments named “datgeul” in the internet media discussion rooms("toronbang”) about welfare embezzlement cases of public social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discourse about public social workers to perform a dual role as the public servants and social workers on the front line of public social welfare is that they are the victims of both a public official system and welfare administration system. In addition, social workers in public sphere are still recognized as service personnels with sacrifice and commitment rather than as professional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o improve public perception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91-415
* DOI : 10.20970/kasw.2010.62.1.016
* UCI : G704-000330.2010.62.1.010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사회정책 연구의 핵심 주제인 ‘종속변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적절하고, 다차원적이며, 복지국가 변화의 정도와 방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대안적 측정방법을 시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2개 OECD 주요 회원국의 복지국가 변화과정을 2가지 차원과 4가지 범주(접근성, 관대성, 활성화, 돌봄의 국가책임)로 구분하고, Fuzzy set 접근방식을 통해 16가지 이념형을 구축하여 변화의 정도와 방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비록 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각 복지국가는 나름의 독특한 변화과정을 보이며, 이러한 변화는 질적인 측면을 반영할 뿐 복지국가의 패러다임적 전환이나 체제전환으로 이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본주의 복지국가들의 변화는 몇 가지 이념형으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offers an alternative approach to measure the welfare state change by using fuzzy-set methodology. The fuzzy-set method is particularly useful for assessing change across a limited number of cases, and that it can help to translate interval fuzzy membership scores into verbal qualifiers. Applying the measurement of welfare state change, four sets(accessibility, generosity, activation, state's care responsibility) in two dimensions(old and new social risks) have been identified, which reflect theoretical importance. The analysis sets out fuzzy membership scores for 12 OECD countries in the 16 possible welfare state ideal types. This paper found that each country has its own strategies to deal with the changes, however, the changes are not dramatic or a qualitative one.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are no changes, but that are no paradigm shifts or path breaking in the welfare state chang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0
* DOI : 10.20970/kasw.2010.62.1.001
* UCI : G704-000330.2010.62.1.009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원의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내 경제요인이 무엇인지를 가구의 소득수준별로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원이 인식하는 주관적인 가족수입 만족도 변화가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가구원의 경우 직접적인 소득이나 지출관련 변수들의 변화가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소득층 가구원의 경우는 이러한 변수들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통제변수중에서는 나이, 혼인상태, 교육수준 등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우울의 차이를 가져오는 가구 경제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적으로 이해하였으며, 우울과 관련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있어서 가구경제 지원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pression by household's economic factors with income levels using the wave 1, 2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As a result, changes in income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levels. In non-poor households, the income and comsumption expenditure have effects on depression levels. But poor households do not have any effects.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are influential factors on the depression level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was able to recognize the economic factors in household that influnce the depression levels. and The policy directios for household's economic support were discu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9-132
* DOI : 10.20970/kasw.2010.62.1.005
* UCI : G704-000330.2010.62.1.008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구성주의 시각에서 보건복지사무소와 사회복지사무소에 참여한 직원들의 보건복지 협력경험을 벤슨의 균형모델(Benson, 1975)과 바이크의 센스메이킹 이론(Weick, 1995)으로 분석함으로써 업무환경과 실무자의 역할을 구상하는데 함의를 얻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두 시범사업의 각 네 지역을 선정하여 총 27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한 결과, 양 분야 실무자들이 통합서비스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구조적·관계적 환경을 초기에 구성하여 직역간 벽을 허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이용자 중심 사회서비스 설계에 있어 보건·복지간 협력이 보다 중요해지고 관련된 정책구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본다.
Despite the increase in the demands on collaboration between health and social welfare, the success of such schemes have been limited. The extant literatures tends to be dominated by explanations for needs or short-term outcomes of collaboration rather than systematic follow-up research to apply to the frontline.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attempt to apply the theories related to collaboration in order to discuss the situ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hindering such collaborative working in the frontline,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involved in two pilot projects.
A theoretical framework (Equilibrium Model-Sensemaking, E-S model) which combined Equilibrium Model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of Benson(1975) and 'Sensmaking' of Weick(1995) for conceptualiing aspects of collaborations such as working atmosphere and agency was applied to the empirical study of the Public Health and Welfare Office(1995-1999) and the Social Welfare office(2004-2006) pilot projects. Data were collected over three months from 8 pilot project areas with practitioners and managers from health and social welfar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pilot areas, such as the presence of active leaders and co-location, had a major impact on the ability of practitioners to effectively integrate services. In other words, active leaders tended to influence practitioners' motivation, while co-location encouraging communication between both practitioners, and thus seemed to influence the practices of collaborative working. Furthermore, through E-S model, it is interpreted that this kind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collaborations may impact on the current practitioners' comprehensive perspective towards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in general. The findings could help policy makers consider the practical ways to 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health and social welfar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55-183
* DOI : 10.20970/kasw.2010.62.1.007
* UCI : G704-000330.2010.62.1.007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변용 유형의 변동 추이를 추적하고 문화변용과 남한사회적응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2003년 홍순혜 외의 연구(1차 조사)에 참여했던 90명의 9세-24세의 북한이탈청소년 중 추적이 가능했던 46명(2차 조사)이다. 1차 조사(2003) 결과 주변형이나 분리형이었던 북한이탈청소년의 약 37%는 2차 조사(2009)에서 동화형 또는 통합형으로, 동화형이나 통합형 중 약 21%는 주변형이나 분리형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문화 수용정도 및 북한문화 유지정도와 남한사회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한문화 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문제는 적고 일상생활만족도는 높은 반면, 북한문화 유지성향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문화변용 이해방안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성공적인 남한사회적응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It is a follow-up study on acculturation types and adaptation level to South Korea among North Korean defecting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the same purpose five years ago(2003). The study of 2003(1st year study) was done with 90 adolescents, out of whom 46 participated in this study(2nd year study). The data from 46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both 1st and 2nd stud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n individual acculturation type showed that 40% of the respondents who belonged to 'marginal' or 'separated' types in the 1st study were changed to 'assimilated' or 'integrated' types in the 2nd. Twenty percent changed from 'assimilated' or 'integrated' types in the 1st study to 'marginal' or 'separated' in the 2nd. Furthermore, the higher is the acceptance level of South Korean culture, the lower are their psycho-social problems and the higher is the satisfaction level of daily lives in South Korea. While the higher is the preservation level of North Korean culture, the higher is agg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eveloped discussion on diverse alternative plans for helping North Korean defecting adolescents in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 South Korean socie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43-365
* DOI : 10.20970/kasw.2010.62.1.014
* UCI : G704-000330.2010.62.1.006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기준에 관한 연구이다. 시민권론과 기본권론 그리고 장애인 복지 논의들을 결합하여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사회보장이 명목적이지 않고 실효적으로 존재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논의를 토대로 사회보장수급권의 4대 권리 영역과 5대 일반원칙을 도출하고, 이를 장애인의 3대 사회보장 영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대하였다. 또한 장애인 집단의 특수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였다. 각 기준들을 개별 법률에 적용하는 동 기준의 측정치는 ‘높다’와 ‘낮다’이다. 이러한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에 관한 기준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가 존재한다. 첫째, 정책적 측면에서 동 기준은 장애인 사회보장 제도의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이론적 측면에서 동 연구는 학제간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에 대한 논의를 보다 확장시킴과 동시에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실증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standard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s to social security of people with disability. The current research makes the standards on effectiveness of social security rights to the disabled. This standards draw four right areas and five general principles from debates about effectiveness of general social security rights and extend for applying three social area to the disabled.
Four right areas are benefit coverage, benefit structure, benefit restriction and rights relief. Five general principles are enforceable rule principle, national finance principle, unconditional principle, adequacy principle and penalties principle. These four right areas and five general principles apply to three social security areas of income support, employment security and medical security. Measurement values are 'high' and 'low'. These measurement values divided into two that are used to ensure same intervals.
This study on standard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s to social security of people with disability has poli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in political aspects, these standards provide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level of social security policies for the disabled. Second, theoretically the current study expands debat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social security through multi-disciplined research. At o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establish empirical research found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1-235
* DOI : 10.20970/kasw.2010.62.1.009
* UCI : G704-000330.2010.62.1.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취업의 전 과정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게 되며, 어떻게 자신의 역할을 가치화하고 궁극적으로 사회통합과정에 진입해 나가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특정 현상의 본질적 모습을 참여자들의 삶과 연결하여 보다 생생하고 풍부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Colaizzi의 분석방법을 통해 고유경험을 깊이 있게 기술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취업경험에 관한 분석과 반성적 고찰을 통해 6가지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좁은 문을 비집고 들어가기’, ‘낯선 무대 위에 올려지기’, ‘빠른 세상 속에 헛돌기’, ‘버텨내기’, ‘평범한 삶에 포개지기’, ‘내 한계를 인정하며 한발 더 내딛기’이다. 참여자는 직업세계의 편견과 차별, 스스로의 기능적 제한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성장하였고, 이를 통해 내재화된 환자역할에서 벗어나는 힘이 생기고, ‘장애’보다는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 초점을 두어 자아를 통합하였다. 참여자들은 취업이 주는 정당한 고통이 자신이 지향하는 삶의 일부로 의미화하고, 한발 더 내딛어 세상에 합류하고자 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취업지원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employment experience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ho look for job and work at workplace through deeply searching that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from the point of their view. So this research shows how their employment experiences appears in our country and also what kind of meaning that gives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Main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the meaning and essence of employment experience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taken for widely understanding and lively writing employment experience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 the connection of their lives. Especially, it was set that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troduced by Colaizzi's, which can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major themes could be analyzed as “Entering a narrow door", “Being raised on an unfamiliar stage", “Confusing in the fast world", “Enduring", “Adjusting to an ordinary life", and “Taking a step forward admitting their limitation". These are connected not in the state of independence state but dependence according to time flow.
In this study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 relation to employment are compared to salmons running back in a wild rive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ve power through running back in their employment and lives like a long river. Even though there are difficulty things, they actively try to flow together with other people as mature people in our society. This research helps to make strategies of employment supports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rough their employment experien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37-261
* DOI : 10.20970/kasw.2010.62.1.010
* UCI : G704-000330.2010.62.1.00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치료프로그램을 이수한 남성의 아내를 대상으로 남편의 정서적 폭력이 아내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부부적응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남편이 가정폭력 치료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남편의 신체적 폭력이 중단되었다고 응답한 아내들의 설문 77개를 구조방정식의 PLS(Partial Least Square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71%인 55명이 조사시점으로부터 6개월 이내에 남편으로부터 정서적 폭력을 경험하였으며, 남편의 정서적 폭력을 경험할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의 정서적 폭력과 아내의 우울의 관계에서 부부적응과 수동적 대처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특히, 수동적 대처방식의 하위유형 가운데 회피 방식은 정서적 폭력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할 뿐 아니라 부부적응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력 피해 아내가 부부간 갈등을 최소화하고 평화로운 부부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회피 방식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usbands' emotional abuse on wives' depression and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adjustment and cop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wives of men who had completed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s at domestic violence counselling cent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among the 116 questionnaires collected by wives the cases in which physical violence was reported were excluded. Ultimately, a total of 77 cases were analyz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methodology. The key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ives in this study showed a high rate of exposure to emotional abuse by their husbands although the physical violence was gone. Second, emotional abuse by husbands significantly affected depression on their wives. Third, marital adjustment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buse and the depression. Fourth, a mediating effect from passive coping was revealed; in particular, avoiding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buse and the depression. However, active coping fail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buse and the depress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5-209
* DOI : 10.20970/kasw.2010.62.1.008
* UCI : G704-000330.2010.62.1.003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지적장애 이용자와의 관계에 대한 실천가들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피상적 평등 지향형, 성찰적 실천가 우위 인정형, 헌신적 옹호 지향형 등의 세 가지 인식유형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인식유형의 일반적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장애인복지관, 생활시설, 공동생활가정에서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실천가 30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거된 253개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피상적 평등 지향형 48.2%, 성찰적 실천가 우위 인정형 40.5%, 헌신적 옹호 지향형 11.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양자관계에 대한 실천가의 주관적 인식내용을 실증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고, 현상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해석을 통해 양자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 모색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erception types of service practitioners working for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ervice users who use residential and domiciliary care servi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two research methods: Q-methodology and survey.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types of practitioners’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ervice users. The first is the type of superficial orientation for equal relationship. The second is the type of reflective recognition on the driven relationships by practitioners. The third is that of compassionate at the advocacy for service users. In the result of survey in which respondents are practitioners working in residential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community service centers, 48.2% of respondents show the first type, 40.5% the second, 11.1% the third.
Recently, in the area of personal social servic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he importance of service users' particip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the process of service provision is gaining higher concerns. In this context, making change on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workers and users is raised as important issue. In this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develop equal and supporting relationship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67-389
* DOI : 10.20970/kasw.2010.62.1.015
* UCI : G704-000330.2010.62.1.002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