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11]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767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군민 협력으로 진행된 군인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 보다 개선된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육군 00부대에서 실시한 그린캠프에 참가한 정신건강 취약 및 복무 부적응 병사 26명으로서 이들의 사전·사후 변화와 프로그램 만족도 및 부대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병사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자살사고를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이들의 자아존중감, 정신적 안정, 군적응의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는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군과 민의 협력을 통한 프로그램의 운영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soldiers in yongdong area. This program was executed by collaboration of the military and the civilian. Data was collected for 26 soldiers who were participating in green camp. Green camp was mental health program for soldiers who is on the crisis of mental health and inadequacy of military life. The data of difference between fre-execution and post-execu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ervice and adaptation of military life after a month was analyzed. The result was that green camp contributed to keep security and reduce suicide accident but could not advance self-esteem,psychiatric stabilization and adaptation of military life of thei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uggestions for advancing mental health of soldiers are giv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군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99-125
    * DOI :
    * UCI : G704-SER000003069.2011.4.2.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휴대폰을 사용한 청소년 자녀의 생활 모니터링과 부모역할 효능감이 부모가 지각한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영남권 3개 지역(대구, 울산, 부산)에 거주하는 청소년 자녀를 둔 30대에서 50대 연령의 어머니 179명이다. 청소년 자녀에 대한 모니터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는 Weisskirch(2009)이 사용한 청소년에 대한 부모 모니터링 척도를 임순선(2010)이 번안하여 재구성한 총22문항의 ‘부모 모니터링 척도’이며, 부모역할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Gibaud와 Wander sman(1978)이 개발한 8개 문항의 양육 효능감 척도를 구계희(2009), 김미숙(2005) 등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재사용하였다. 그리고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의 지각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7개의 문항으로 된 간편 문제행동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과 ANOVA를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부모가 40대와 50대인 집단이 30대 집단보다 자녀의 문제행동 평균득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니터링의 전체득점과 하위요인인 학교생활, 훈육지도, 일상생활과 부모역할 효능감은 문제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으며, 설명력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모니터링 및 부모역할 효능감 득점이 높을수록 문제행동 득점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휴대폰을 이용한 모니터링의 긍정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모역할 효능감과의 상호작용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 자녀의 문제행동 개입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부모의 모니터링 활동 및 부모역할 효능감의 중요성 및 효과가 더욱 폭넓게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s of monitoring of adolescents with cell phones and parenting efficacy on the problem behaviors recognized by parents. 179 mothers of adolescents in their 50s living in three cities of South Gyeongsang Province(Daegu, Ulsan and Busan)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he tool to measure the parental monitoring of adolescentswhich had been used for the study of Weisskirch(2009) was translated and redesigned into 22 questions by Lim(2010) to assess the parental monitoring of adolescents. The 8 questions which had been made by Koo Kye-hee(2009) and Kim Mi-sook(2005)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efficacy of Competence Scale of Gibaud and Wandersman(1978) were used to assess the parenting sense. A simple scale on problem behavior which consists of 7 questions was applied to assess the parental recognition of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The multi-regressional analysis and ANOVA test were performed on the responses from the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parents in their 40s and 50s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in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than those in their 30s. The total scores on monitoring and other subcategorical variables such as school life, moral education, everyday life and parenting efficacy were found ou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roblem behaviors, which was significantly persuasiv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higher the total scores of monitoring and parenting efficacy were, the statistically lower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s were. The survey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onitoring of adolescents through cell phones have positive aspects on adolescents and interactions with parenting efficacy. The parental monitoring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and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need to be studied further.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29-150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1..27.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회상치료 프로그램이 요양원 여성노인의 우울, 불안 및 회상기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요양원에 3개월 이상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65세 이상 여성노인 중 실험군 7명과 대조군 7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3월 9일부터 2010면 5월 1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우울 및 불안, 회상기능 검사는 사전, 사후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회상프로그램은 일주일에 하루 한 시간씩 총 10번의 회기로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치료는 요양원 여성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회상치료는 요양원 여성노인의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회상치료는 요양원 여성노인의 회상기능의 일부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지속적으로 회상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요양원 여성노인의 우울과 회상기능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One of the problems faced by the aging society is the increasing number of aged people. Reminiscence therapy, which is one of the treatments for elderly people, has been showing excellent results in curing mental symptoms. Reminiscence therapy involves the discussion of past activities, events and experiences with another person or group of people, usually with the aid of tangible prompts such as photographs, household and other familiar items from the past, music and archive sound recording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very few investigated the simultaneous improvement of reminiscence functions and emotional stability in aged people. This study tried to find that the reminiscence therapy program specially made for aged women is effective on improving mental conditions. In detail, 14 aged patients who stay at "A" nursing home were divided by half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tudy conducted a session a week from March to May 2010, totaling 10 sessions. As pre- and post tests, depression, anxiety and reminiscence functions were appli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changes 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paired t-test was conducted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changes i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in reminiscence functions and decrease in depression. The experiment group displayed no significant change in anxiety. On the meantime,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difference in all three test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meaning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on improving mental condition. Facing an aging society, people should prepare for elderly life.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with the sick elderly, appropriate treatment programs should be given at an appropriate time. Also, more specialized therapy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24-145
    * DOI :
    * UCI : G704-001512.2011..53.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무슬림공동체에 대한 연구로서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사회에서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연구주제에는 신문화 기술지 연구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10명의 무슬림 이주노동자들과 6명의 한국인들이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비참여 관찰기록을 토대로 구성했다.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시한 발전식 연구단계 (Developmental Research Sequence)모형에 근거하여 분석했다. 분석결과 이주노동자들의 상호작용을 총섭하는 문화적 주제는 「세속의 길에서 종교의 길로」, 「초민족적 종교로의 재구성」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interaction of muslem immigrant workers in korea. The author approached new ethnography study method. Ten of Muslem immigrant worker and 10 korea participated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non-participation observation The author analyzed the date according to Spradey(1979)'s Developmental Research Sequence model. As result「From secular way to religious way」, 「Reconstruction of ultra ethnic religious」 were presented cultural them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9-132
    * DOI : 10.20970/kasw.2011.63.2.005
    * UCI : G704-000330.2011.63.2.01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후속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 만 5세 유치원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등장인물에 대한 일기, 편지쓰기, 신문/광고 만들기, 자서전 꾸미기, 등장인물 단평, 가상하기의 후속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일반 이야기나누기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후속활동 집단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중 창의적 표현을 제외한 단어 수, 문장 수, 내용일치, 내용연계 능력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후속활동 집단이 유아의 정서지능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즉, 환상그림책을 활용한 후속 활동은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ollow-up activities through fantasy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five-year-old children, specifically, 25 students at 'J' kindergarten (the experiment group) and 25 students at 'B' kindergarten (the comparison group) in G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 and the comparison groups.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follow-up activities through fantasy picture books can improve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59-79
    * DOI :
    * UCI : G704-000724.2011..69.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화상장애인들이 “화상 장애 이후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가?”를 연구 질문으로 화상장애인 6명을 선정하여 2회에 걸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실재 경험을 이야기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들에 대해 상호작용 맥락에서 구조가설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구조가설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질적 공간에서 이질적 공간으로의 과정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둘째, 화상장애인으로써 비장애인에 의한 차별뿐만 아니라 같은 장애인들로부터의 차별 또한 매우 심각해 이중차별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죽음(소외나 배제의 단계를 넘어선)을 피하기 위하여 도구적 의사결정(의사소통과 행동에 있어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신에 대한 현실인식을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첫째, 화상발생 이후 화상치료 초기에서부터 심리적, 사회복지적 접근을 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둘째, 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시급한 시행이 필요하다. 인식개선 대상자로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 주류장애인과 더불어 화상장애인 본인과 화상장애인의 가족구성원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자기주장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즉, 화상장애인은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두려워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고립을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A visible disfigurement can have a profound psychological and social impact upon the individual concerned. Difficulties include adverse effects on body image, quality of life, self-esteem and so on. In this article, we aimed to find out what the disabled people with burn injury experience in their lives. This study analysed the interviews elicited from participants and ended up with several results. First, the disabled people with burn injury are worrying about moving from where they lived in similar situations as patients to where they have to live with people having prejudices and exclusions. Because where they have to go is not what they want. Secondly, they experience double discriminations. Burn injured people are excluded not only from ordinary people, but also disabled people with no burns in their community. Thirdly, those who are disabled with burn injury try to escape from social death(beyond exclusion and marginalization) and likely to choose instrumental decision making. They can easily abandon their intentions and rights and conform to others and social norms. Fourth, we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y are apt to identify their former self-image before burns and hav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ir new image which is hard to accept. So, they try to find a way out of this difficulty.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above, we suggest some ideas as follows : disabled people with burn injury need ongoing psychological and social systems to support their adjustment, because burns have an effect on them for entire life, not just temporarily. Next is there need a change of social perception to disabled with burn injury. Finally, we have to make a room and pathway for burn injured people to get out of their isolated place and it is necessary to make some programs, such as self-assertive program and self-expression progra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1-33
    * DOI :
    * UCI : G704-SER000010336.2011..15.001서지정보 닫기
  • 최근 홈리스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법률제정 논의가 진행되면서 홈리스의 주거권은 중요한 화두의 하나로 떠올랐다. 그러나 홈리스의 주거권이 법적으로 어떤 근거가 있고 어떻게 법률을 통해 실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미흡했다. 본 연구에서는 홈리스 주거권의 법적 근거를 정립하고, 이에 비추어 기존 법제의 한계를 분석한 후, 홈리스의 주거권 실현을 위해 향후 입법에서 고려해야 할 원칙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헌법 조문과 판례를 통해 홈리스의 주거지원에 대한 권리를 헌법에서 보장되는 사회적 기본권으로부터 도출한다. 기존의 법제는 이러한 헌법적 의무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모호성과 위임입법으로 대부분의 사항을 행정부의 재량에 맡겼으며, 이러한 가운데 사회복지서비스는 주거지원이 아닌 시설수용의 기제로 종종 변질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홈리스의 주거권에 대해 국가의 의무의 내용과 범위가 무엇인지 법률로서 구체화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에 우선 주거를 구성하는 요건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로부터 홈리스의 주거권 실현을 위해 입법에서 고려해야 할 원칙을 제안한다.

    The right of homeless people to housing has been one of the key slogans among people who advocate for new legislation that would provide social services, including housing assistance, for homeless people in South Korea. The discussions on housing rights, however, have remained abstract and superficial, and have failed to effectively guide legislation. In particular, the mere advocacy for social assistance has largely ignored the fact that existing service facilities for homeless people often served to clear homeless people from the city, rather than to satisfy their right to housing. Such experience indicates that more than the mere provision of facilities is required for social services to serve as a means to promote homeless people’s housing right. This study explores factors to consider in drafting a bill that would ensure that social assistance actually promotes homeless people’s housing right. It begins by deriving the right of homeless people to housing assistance as a constitutional right, as part of the social rights recognized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From an analysis of the current legal scheme on social services for homeless people, however,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 constitutional right of homeless people to housing assistance is not incorporated into current law; instead, the law is extremely vague as to the state’s obligation and allows the executive branch to adopt rules and practices that infringe on freedom of homeless people under the guise of social servic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question of what constitutes housing is central to new legislation to clarify the law and suggests that two main components, physical adequacy and individual freedom and security, should guide housing assistance programs for homeless people. Based on these components, this article proposes principles to consider in future legisl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117-138
    * DOI : 10.15855/swp.2011.38.2.117
    * UCI : G704-001012.2011.38.2.006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아동을 입양한 해외입양가족들로 구성된 입양공동체의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 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호주 퀸즐랜드주에 거주하는 한국아동 해외입양 가족들로 구성된 입양공동체, AKFG를 대상으로 한 참여관찰과 입양부모 9쌍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온라인 웹사이트와 커뮤니티, 호주정부의 공식보고서 등 기록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체적 문화기술지 접근을 통해 문화적 구조와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네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입양공동체를 이해하기 위한 큰 맥락으로서 한국-호주간 국제입양체계, 퀸즐랜드주의 공공과 민간 입양체계, 호주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입양 관련 역사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한국아동을 입양한 해외입양가족들의 공동체로서 AKFG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상세한 기술이었다. 세 번째로 살펴본 것은 이들 해외입양가족들이 개별적으로 경험하면서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결국 AKFG를 유지하게 만드는 강력한 동기인, 국제입양절차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한국문화에 대한 공유와 자녀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 자녀 양육에 대한 정보제공과 지지 등이었다. 마지막으로는 AKFG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문화적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그것은 호주라는 다문화사회에서 국제입양가족으로서 또는 국제입양인으로서 독특한 정체성을 형성해 가면서 건강한 하나의 가족으로 살아가기 위해 해외입양공동체라는 이름의 가족공동체를 유지해가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adoptive community(Australian-Korean Friendship Group, AKFG) composed of intercountry adoptive families adopting Korean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 used the ethnographic research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for AKFG, in-depth interview with 9 intercountry adoptive parents, on-line website and community service site, and various documents. Researcher analysed these data by traditional ethnographic approach and found the cultural themes and patterns. Results are constructed as follows: First, the intercountry adoption system between Korea and Australia, public and private adoption system in Queensland, and Australian socio-cultural background including history of adoption, Second, past, present and future of AKFG, Third, individual and shared needs such as difficulties in formal intercountry adoption process, learning and sharing the Korean culture, and rearing the adoptive children, forth, cultural pattern, that is, living as a health family and forming the unique identity as an intercountry adoptive family or intercountry adoptee in multi-cultural society of Australia.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 provided the policy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supporting the intercountry adoptive families. Necessary follow-up studies were also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o ensure more extensive information on families adopting korean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1-318
    * DOI : 10.16975/kjfsw.2011..33.010
    * UCI : G704-000964.2011..33.005서지정보 닫기
  • 선진 복지국가에서 한부모 활성화 정책은 최근 하나의 추세로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영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4개국을 대상으로 한부모 활성화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기준은 활성화 정책의 배경, 수단, 운영 방식, 돌봄 정책과의 상호 작용 등이다. 분석 결과 한부모 수급자의 복지 의존 완화와 경제적 자립이라는 공통 목표에도 불구하고 세부 정책 내용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미국의 예외주의다. 미국은 거의 모든 면에서 나머지 3국과 차이를 보였다. 영국은 같은 자유주의 복지국가에 속하면서도 미국과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인종, 종교, 보편주의 요소 등이 이 차이를 설명하는 변수들이다. 네덜란드는 4개국 중 과거와의 단절이 가장 심한 사례로 판명되었다. 노르웨이는 미국과 대척점에 위치한 전형적인 노르딕 국가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한부모 활성화 정책은 외견상 수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많은 차이를 드러냈다. 이 차이는 부분적으로 복지체제의 영향 때문이고 개별 국가가 처한 현실도 일정한 설명력을 갖는다.

    In the 1990s some Western countries launched activation policies for single parents on the state welfare. Among those are the US, the UK, the Netherlands and Norway. These countries apparently converged on both policy backgrounds and goals. This article compares these policies in terms of their backgrounds, instruments, mode of governance and the related childcare policies. In all four countries there is an increasing focus on promoting the so-called adult worker model. However, detailed analysis reveals that considerable differences exist among the fou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author found the US an exceptional case. The US differs from the rest in almost all aspects. Even the UK, a similar liberal welfare state, was different from the US. Norway constitutes an exact opposite case for the US, showing the typical Nordic characteristics. Finally the Netherlands appears to have departed farthest from the pas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91-223
    * DOI :
    * UCI : G704-000662.2011.27.4.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심리적·행동적·학업적 적응수준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혼가족과 사별가족 두 가지로 구분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2패널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에 응답한 총 3,125명 중 부모이혼가족 청소년 194명, 부모사별가족 청소년 102명 총 296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적응과 행동적 적응 수준에서는 이혼가족 청소년과 사별가족 청소년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적 적응에서는 이혼가족 청소년이 사별가족 청소년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는 자아존중감과 교사관계가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특히 사별가족 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지도감독이 학업적 적응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adjustment of single-parent family especially focusing the differences between divorced family and bereaved family.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wave 3(2005) of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This study analyzed data of 296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out of 3,12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Y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y had lower score than adolescents of bereaved family at school adjustment. Second, self-esteem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d impact on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parental regulation had importan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bereaved family. Based on this research, the author presented needed approaches in the conclus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1-55
    * DOI :
    * UCI : G704-SER000009000.2011.21..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STSS)를 한국의 외상관련 원조실무자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심리측정적 속성을 평가하여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K-STSS)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수렴 및 개념구성 타당도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총 17문항 중 4문항을 제외한 13문항으로 구성된 두 가지 차원의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K-STSS)가 수정?제시되었다. 제시된 척도에서 신뢰도상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 불안척도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수렴타당도가 성립되었다. 소진척도와의 상관관계 수준이 매우 높아 개념구성타당도 성립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외 조사대상자의 특성(연령, 성별, 개인외상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K-STSS)가 척도로서의 변별력을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 A total of 238 practitioners in child protection agencies are recruited using complete enumeration metho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strument are tested by item-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vergent and construct valid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values for the two dimensions of the K-STSS are good. While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s empirically confirmed, the construct validity is not supported. The EFA with the common factor analysis method reveals the factor structure in the observed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although it was reliable and discriminant, the K-STSS needed to be explored more in a way to support construct valid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3-57
    * DOI : 10.20970/kasw.2011.63.4.002
    * UCI : G704-000330.2011.63.4.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까지 한국 사회가 경험한 이혼 패턴에서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특히, 성별 및 교육수준별로 이혼 경험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이혼을 경험하는 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남성의 경우 교육과 출생코호트 사이에 유의미한 상호적 연관성이 존재함을 보여 주었는데, 과거 출생코호트(1930~1949년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근 출생코호트(1950~1969년생)의 경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이혼 리스크가 더욱 높아지는 패턴이 관측되었다. 둘째, 여성의 경우 교육과 이혼 리스크 사이의 연관성은 혼인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변이를 보였는데, 혼인 생애과정의 초기 단계에서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이혼 해저드가 높았지만 혼인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혼 해저드가 높아지는 반대 현상이 관측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는 남성과 여성 모두 이혼 해저드의 혼인기간별 패턴에 있어서 출생코호트를 가로질러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 주었다. 혼인기간별 큰 변화가 없는 과거 출생코호트(1930~1949년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근 출생코호트(1950~1969년생)의 이혼 해저드는 혼인 생애과정의 초기 단계에서는 상승하다가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이후 감소하는 뚜렷한 비선형적인 패턴을 보여 주었다.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is study analyzes the dynamics of gender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divorce in South Korea. Fir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education varies across birth cohorts for men. Compared to the older birth cohort(1930~1949), the effect of education becomes stronger among the recent birth cohort(1950~1969). Second, while men with higher education show significantly lower risks of divorce than poorly educated men, women's divorce risks significantly vary across marital duration. Women's education impedes marital dissolu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marital life course but, as marriages age, the effect of women's education on the risk of divorce turns positive. Finally, for both men and women, the divorce risks over marital duration significantly differ across birth cohorts. Compared to the older birth cohort(1930~1949), the recent birth cohort(1950~1969) shows the risk of divorce initially increasing and decreasing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observation perio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139-163
    * DOI : 10.15855/swp.2011.38.4.139
    * UCI : G704-001012.2011.38.4.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2006년에 조사된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지식이 정부의 사회복지 책임에 대한 지지도 및 지지도의 분산과 어떤 관련성을 맺는지를 분석하였다. 보건의료, 노인생활보장, 실업자 생활보장, 소득격차 완화, 일자리 제공, 무주택자 주거제공 등 6가지 정책영역 별로 이분산 서열로짓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들은 전반적으로 정부가 사회복지에 대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책임에 대한 지지도는 정책영역 별로 차이를 보였다. 정치적 성향과 관련하여, 진보적일수록 다양한 사회복지 영역에서 정부의 책임을 지지하는 인식을 보여준다. 또한 진보적일수록 보수층에 비해 동질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치적 지식은 사회복지에 대한 정부책임 지지도와 응답의 분산에서 일관된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회복지의 여러 영역에서 제도의 성숙단계, 정부의 정책실행능력에 대한 신뢰, 정치적 쟁점으로 표출되는 사안 등의 차이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있다.

    Using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2006,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olitical ideology and political knowledge are associated with the level and variance of support for government responsibility for social welfare in following six areas: health care, elderly income security, unemployed income support, reducing income inequality, job creation, and housing. Results show that Koreans respond that government should be highly responsible for social welfare with slight variation in the level of support in the six areas. The progressives support more positive roles for government in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than do the conservatives. The progressives show more homogeneous recognition on social welfare than do the conservatives. In contrast, political knowledge show mixed results in terms both of the level and the variance of support for the government responsibility.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olices, trust for government capability, and political issue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inconsistent res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57-83
    * DOI : 10.15855/swp.2011.38.1.57
    * UCI : G704-001012.2011.38.1.003서지정보 닫기
  • 사회적기업은 출범 당시 많은 우려가 있었지만, 현 시점에서 사회적기업은 복지정책 지형 속에서 독립적인 자기역할을 지속적으로확장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조기 제도화라는 부분적인 긍정적 성과를 거두고 있고, 한국사회에 연착륙에 성공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기업은 유럽국가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거의 유사하게 보여주고 있다. 정책목표와 핵심프로그램 측면에서 볼 때 사회서비스 공급과 고용창출이라는 정책 목표를 갖고 있다. 사회적기업이 설정하고 있는 사회적 목적 유형을 기준으로 볼 때, 사회서비스와 일자리 제공(고용창출)형이 전체 사회적기업의 85.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사회적기업은 매우 엄격한 법적규정에 기반을 두고 성장하고 있는 점이 확인된다. 제도 도입 초기에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된 것은 다른 국가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사회적기업은 ‘인증체계’에 기반을 두고 조직유형, 활동영역을 제한받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정부의 강력한 개입은 사회적기업이 조기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여건을 갖춘다는 의미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의 다양성, 혁신성을 발휘하는 데 장애로 현상되고 있으며, 제도적 동형화라는 결과로 인해 사회적기업의 자생력 확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한편, 사회적기업의 발전전략, 특히사회적기업의 재원조달이 과도하게 정부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 역시 중요한 특징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이 성장하기 위한 전략은 바로 위에서 지적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Social enterprises in korea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European countries. Policy objectives and core programs in terms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employment policy objectives have. The social purpose of social enterprises set up and based on the type of view,social servic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employment creation)type provided 85.5 percent of total social enterprises were occupy. Korea’s social enterprises are very strict legal regulations based on the growing points are identified. Social and business promotion in the early introduction of the enactment can not be found in the different countries is a case study. As well as social enterprises in Korea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type of organization, being limited to the activity area is showing a feature. Strong government intervention to settle early on a social enterprise is equipped with a foundation in the sense that the conditions can be evaluated positively. However, the diversity of social entrepreneurship,innovation as an obstacle to the exercise and that the phenomenon is demonstrated by the results institutional isomorphism of social enterprises to acquire a negative impact is judged to be insane. Meanwhile, the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 strategies, particularly social enterprise financing, and are heavily dependent on the government points to the important features are shown also. Therefore,strategies for social enterprises to grow just above the start to be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should be resolved. Specifically, first,government intervention in social entrepreneurship and the role of the degree of social consensus about how categories and is necessary to derive. Second, diversify sources of investment support from the market in the sense b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is needed. Government social investment environment through legislative priority that is required. Third, social service providers and create a place down in terms of achieving the policy objectives have shown the tendency, as a solution, the creation of social demand for public, private and the social contract entered into participation, social enterprise can grow stably construction should be based.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61-191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1..31.002서지정보 닫기
  • 복지태도에 대한 상당수의 연구는 공공의료보장제도인 건강보험을 다루는 연구가 많다. 많은 학자들은 복지정책의 영역에 속하는 건강보험에 대한 인식이 사회구성원의 복지태도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그러나 이 논문은 복지태도와 건강보험 인식을 구분하여 분석한다. 건강보험은 보편적인 사회보험이지만 선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공부조 등 대다수의 복지정책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두 변수 사이에 부합하지 않는 면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2007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건강보험 인식과 복지태도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건강상태 사이의 연계성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복지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건강상태를 매개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건강보험 인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건강상태와 복지태도를 매개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지태도가 건강보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복지지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한 분석 결과를 보면 복지의 이해관계에 따라 복지태도가 결정된다는 복지지위론의 가정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Many studies on welfare attitudes are concerned about health insurance. It is assumed that welfare attitud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awareness toward health insurance. Many scholars argued that the awareness toward health insurance is an integral part of general welfare attitudes. Unlike many conventional studies,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welfare attitudes and the awareness toward health insurance. While health insurance is a universal social insurance, other welfare policies including public assistance are based on means test. This paper looks into the correlations of two variables between welfare attitudes and the awareness toward health insurance, analyzing ‘Korea Welfare Penal in 2007’ data.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elfare attitud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d welfare attitudes directly and indirectly depending on their health conditions. Thir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awareness toward health insurance directly and indirectly depending on their health conditions and welfare attitudes. Fourth, welfare attitud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wareness toward health insurance. Finally, this paper argues that to some extent welfare attitudes are influenced by the welfare statu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25
    * DOI :
    * UCI : G704-000662.2011.27.2.005서지정보 닫기
  • 한국 정부는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아동의 양육부담을 사회적으로 분담하기 위한 보육정책에 대한 정부지출을 급격히 증가시켜 왔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영유아 보육료지원 사업의 정책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육료지원제도가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효과, 특히 취업모 친화적인 정책효과를 낳고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영유아 보육료지원제도의 주요한 정책목표는 자녀양육의 부모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여성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2차년도(2007년) 자료를 이용하여 영유아 자녀를 가진 가구 중에서 어떤 특성을 가진 가구가 보육료지원제도의 혜택을 보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행 보육료지원제도가 취업모를 지원하는데 과연 효과적인가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결과, 현행 보육료지원제도는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것과 같이 취업모에 대해 전혀 친화적이지 않았다. 보육료지원제도 수급자격은 모의 취업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모일수록 보육료지원 혜택을 받을 가능성은 낮았다. 이는 모의 취업여부와 관계없이 가구소득에 따라서만 결정되는 현행 보육료지원제도의 특성으로 인하여 모가 취업하여 맞벌이 가구가 되는 경우 소득수준이 높아져 보육료지원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Korean government has rapidly increased the budget for the Child Care Subsidy Program to share child care expenses socially as low birth rate became a serious social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iveness of the Infant Child care Subsidy Program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Korean Child care Support Policy. It is analysed with the empathies on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on work-family, especially to see how friendly it is to working mothers. The main goal of the Infant Child Care Subsidy Program is to decrease the parental burden of child rearing as well as to support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In this study, 2nd Wave Korea Welfare Panel Study(year 2007) was used to practically analyse which families receive benefit from the Child Care Subsidy Program among families with infants. This analysis was used to see the effectiveness in supporting working mothers with the current Child Care Subsidy Program. The analysis showed, as the experts have predicted, current Child Care Subsidy Program is unfriendly to working mothers. The eligibility to receive the Child Care Subsidy Program has statistically negative influence on the mother's employment. In other words, working mothers has low possibility of receiving the benefits of child care subsidy. This is because the current Child Care Subsidy Program determines the eligibility by family income regardless of the mother's employment. When the mother is employed, the family income increases resulting the less possibility of receiving the benefi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138-163
    * DOI : 10.15855/swp.2011.38.2.138
    * UCI : G704-001012.2011.38.2.005서지정보 닫기
  • 최근 민간, 가정어린이집의 서비스 수준을 국공립어린이집 서비스 수준으로 끌어올려 공공성(publicness)을 강화하겠다는 ‘제3의 보육체계’가 지자체별로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민간어린이집의 준공영화가 보육의 공공성을 담보하고 보육서비스 질적 개선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표적으로 ‘제3의 보육체계’ 중 하나인 ‘서울형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질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울형어린이집은 완전한 국가개입하의 공공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보긴 어렵지만, 지배적인 민간보육시설의 보육서비스 질적 개선효과 및 향후 국가개입하의 공공성 담보 가능성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Local governments recently try to introduce ‘the third system of childcare’, which aims for enhancing the publicness of childcare. These are mainly carried out through the way giving publicity to private facilities, and then pursue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quality in those facilities like as the level in public childcare facilities. We will identify this change in private facilities as the term of ‘the third system of childcare’, which represents the semi-publicizations in childcare, since there should be the state intervention for service management. This research aims for analyzing whether those trials in private markets are effective in terms of service quality. ‘Seoul type childcare’ is currently mentioned as one representative example among those experiments. We there for evaluate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in ‘Seoul type childcare’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third system of childcare’.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assuring the publicness of childcare with the state intervention. However, there still exists a doubt to say that ‘Seoul type childcare’ ideally accomplish the publicness of childcare through complete state interven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07-137
    * DOI :
    * UCI : G704-000724.2011..69.01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노숙인복지를 주거복지와 주거지원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우리나라의 노숙인복지체계는 시설중심의보호체계를 구축해왔으나 노숙인복지체계가 의도한 지역사회복귀라는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시설중심체계는 노숙인을 특정 취약집단으로 범주화해 온 관점과 관련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주거배제의 관점에서 주거취약성의 연속선상의 한 위치로 노숙인을 조망하는 관점을 제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에서 잘 다루지 않고 있는 주거복지와 주거지원서비스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우리나라의 노숙인복지에서도 점차 주거지원의 특성을 많이 가지는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는데, 기존의 시설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대표적인 것으로 노숙인 쉼터, 상담보호센터, 임시주거비지원프로그램, 운영기관을 통한 매입임대주택 프로그램의 네 가지를 제시하여각 프로그램의 성격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논의를 통해 주거취약성 자체를 규범적 욕구로 설정하는 주거복지의 관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할 필요성, 노숙인 주거지원사업에서 사례관리를 보강하고 탈배제적 사회복지실천 방법을 통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welfare system for the homeless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housing exclusion. Korean homeless assistant system was focused on accommodation facility but had little effect on rehabilitation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homeless. Taking the homeless for isolated category from general population in Korea was responsible for accommodation facility centered approach. To the contrary, in the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the homeless could be regarded as a point on contiuum of the housing exclusion. Housing welfare, community residence welfare, supportive housing strategy were discussed as relative issues. Recently, a few housing assistant programs for the homeless were introduced in Korea. Four programs - homeless shelter program, drop-in center program, temporary housing rental subsidy program,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for the homeless - were identified as representative housing assistant program for the homeless in Korea.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program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t was suggested that housing exclusion itself should be considered as normative needs in the social welfare system. Assertive case management and anti-exclusion social work practice in the supportive housing program for the homeless were emphasized as a practical issue.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21-159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1..31.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에서 기본소득도입의 우선순위 설정을 위하여 사회복지정책연구자 27명을 대상으로 연구모형 및 대안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AHP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무조건성을 기반으로 이자, 배당, 증권 및 부동산 양도차익 등에 대한 고율의 조세부과, 등록 장애인, 1인당 최저생계비수준, 재분배를 중시하는 복지집합주의 전략이 각 요소별 중요한 대안으로 판단되고 있었다. 그리고 각 대안들의 통합적인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가장 중요한 3가지는 재분배를 중시하는 복지집합주의, 이자 등에 대한 고율의 조세부과, 1인당 가처분 소득의 50% 수준의 급여지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한국에서의 기본소득 도입의 기본방향 및 우선적 제도 틀이 제시되었다.

    This paper's aim is to establish the priority of a basic income scheme in korea. To do this,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conducted to social welfare professor 27 in korea,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 of professors' perceived weight among the each elements and alternatives in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judging on based of unconditionality, they weighed 1) imposing a higher tax on interest, dividend, stocks etc, 2) the handicapped in enrolment 3) the standard of minimum cost of living per capita 4) a welfare collectivism for focusing on redistribution. And a synthesize analysis on 17 alternatives and their weight were deduced: a welfare collectivism, a higher tax on interest, dividends etc, the standard of a disposable income 50% were followed orderly,Based on these results, the basic direction and a priori framework for introducing a basic income scheme was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39-64
    * DOI : 10.15855/swp.2011.38.2.39
    * UCI : G704-001012.2011.38.2.002서지정보 닫기
  • 정신건강 측정도구의 부족을 인식한 본 연구는 전반적 정신건강 측정을 위해 개발된 K10과 K6의 한국어판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10과 K6은 기존 선별도구와 비교할 때 문항 수가 적고 선별능력 또한 뛰어나 사회복지 연구와 실천을 위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이다. K10과 K6은 서울시 OO구에 거주하는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평가되었다. K10과 K6의 이상적인 절단점수는 각각 13점과 8점으로 나타났다. 절단점수를 13점과 8점으로 했을 때 K10과 K6은 모두 지난 1년간 정신과 치료 경험이 있는 조사대상자들의 76%를 선별하였다. 한국어판 K10과 K6을 적용했을 때 각 도구의 절단점수 이상을 받은 조사대상자의 비율은 각각 48.8%와 49.9%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판 K10과 K6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s of K10 and K6 which are mental health screening instruments. Compared with other screening instruments, K10 and K6 are brief and easy to use and have a good screening ability. The Korean versions of K10 and K6 are evaluated with low-income individuals residing in Seoul at the time of conducting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s of K10 and K6 correctly identified 76% of respondents with having psychiatric treatment experiences in the past year. The specificity of the Korean versions of K10 and K6 are .63 and .62 and the optimal cutoff scores of the instruments are found to be 13 and 4 respectively. Cronbach's alphs for the Korean versions of K10 and K6 are .94 and .91. This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creening ability of K10 and K6.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5-88
    * DOI :
    * UCI : G704-000500.2011..37.001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