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11]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767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이 연구는 정부의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편안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대안적 개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수익성과 금융적 전문성 강화를 기조로 하는 정부 개편안의 이론적 기반이자, 최근 들어 공적 연기금 지배구조에 관한 논의에서 주류를 이루는 대리인 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공적연기금 거버넌스에서 대리인 이론을 바로 적용하기보다는 민주주의 원칙이 핵심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공적 연기금 지배구조 구성 원칙을 기존과는 다른 방향에서 재구성하였다. 이런 대안적 원칙을 기반으로 정부가 내놓은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편안을 평가하였다. 정부 개혁안은 공적연기금 지배구조의 민주주의 원칙을 후퇴시킬 뿐만 아니라, 개혁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연기금의 정치적 자율성을 확보를 위해서도 결코 적절한 대안이 아니며, 금융시장으로부터의 독립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대리인 이론에 의거한 원칙들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민주주의 원칙에 충실한, 국가와 시민사회의 협치구조 구성을 핵심으로 하는 방향의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편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riticize national pension fund governance reform plan of Korea government and to search for an alternative direction of the reform. Firstly, I examine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Korean government reform plan by clarifying limits of application of agency theory to the public pension fund governance. Secondly, I try to reconstruct principles of the public pension fund governance with an alternative theoretical view emphasizing democracy principle. Thirdly, I evaluate the government reform plan with the basis of reconstructed pension fund governance principles. The government reform plan is expected to cause retrenchment of democracy and even political autonomy. It also would make worse the problem of pension fund autonomy from the financial market and the risk of the pension fund caused by market turbulence. Finally I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 of the pension fund governance reform emphasizing the democracy principle. This direction contains constructing co-determination structure of the state and the civil society, escalating controling power of the governing body to the administration body, setting the limits of the roles of the state, attaining of the autonomy from the financial market,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and social accountabil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43-368
    * DOI : 10.20970/kasw.2011.63.1.014
    * UCI : G704-000330.2011.63.1.001서지정보 닫기
  • Due to reform of National Pension in 2007, problems of National Pension's vulnerable benefit levels have been pointed out and at the same time, expected benefits of annuity including such an old-age pension to be sharply decreased by lowering the amount of basic pension. While a reduction in an old-age pension is partially supplemented with the Basic Old-age Pension System and buffered with the interim measures based on the duration, reformed regulations intact are applied to a pension for the disabled and survivors. Eventually, those come under circumstances in which they cannot expect any proper insurance for social danger such as disabilities and death. In addition, even if the pension of the disabled and survivors as a hazardous insurance is distinct from the old-age pension, which is for savings insurance, it does not reflect on fundamental principles of insurance in making a salary structure but just considers subscription periods. This study proposes the alleviation of differential rates of pay according to subscription periods, introduction of the minimum pension system, and adjustment of a pay formula in order to secure appropriateness, which fits roles and functions of National Pension, of the disabled and survivors' reduction in salaries. With upgrading basic subscrption periods of the pay formula, it can improve levels of fundamental pension, and through the minimum pension system, it can construct security system that is faithful for the purpose of the basic insurance. By doing this, it can approach to faithful principles of social insurance.

    Due to reform of National Pension in 2007, problems of National Pension's vulnerable benefit levels have been pointed out and at the same time, expected benefits of annuity including such an old-age pension to be sharply decreased by lowering the amount of basic pension. While a reduction in an old-age pension is partially supplemented with the Basic Old-age Pension System and buffered with the interim measures based on the duration, reformed regulations intact are applied to a pension for the disabled and survivors. Eventually, those come under circumstances in which they cannot expect any proper insurance for social danger such as disabilities and death. In addition, even if the pension of the disabled and survivors as a hazardous insurance is distinct from the old-age pension, which is for savings insurance, it does not reflect on fundamental principles of insurance in making a salary structure but just considers subscription periods. This study proposes the alleviation of differential rates of pay according to subscription periods, introduction of the minimum pension system, and adjustment of a pay formula in order to secure appropriateness, which fits roles and functions of National Pension, of the disabled and survivors' reduction in salaries. With upgrading basic subscrption periods of the pay formula, it can improve levels of fundamental pension, and through the minimum pension system, it can construct security system that is faithful for the purpose of the basic insurance. By doing this, it can approach to faithful principles of social insura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341-364
    * DOI :
    * UCI : G704-000662.2011.27.1.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현행 국민연금에서 유족연금의 매우 낮은 급여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대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유족연금의 낮은 급여수준과 관련된 문제들을 타당성, 적정성, 그리고 형평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 국제기구에서 제시하는 유족연금의 적정 수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독일, 벨기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족연금의 급여 계산 방식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유족연금의 급여계산 기준인 20년 가입 기준 기본연금액을 30년으로 개선하고 사망한 가입자의 가입기간에 관계없이 기본연금액의 50% 혹은 55%로 개선하는 방안을 유족연금의 적정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adequacy of survivor's benefit in National Pension. In order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adequacy of survivor's benefit, first of all, characteristics and role of survivor's benefit in pension system are examined and issues of current survivor's benefit in National Pension are analysed. Then, survivor's benefit in other countries are compared. That is, in order to get policy implication for adequacy of survivor's benefit from other countries, survivor's benefit in Germany, France, and Belgium is examined. Based on the above policy implication, the policy alternatives for adequacy of survivor's benefit are propo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41-275
    * DOI :
    * UCI : G704-000662.2011.27.1.005서지정보 닫기
  • 최근 노인수발을 둘러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가족수발의 한계가 인식되고 가족의 수발부담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족수발자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의 발전은 지체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정책 속에 내포되어 있는 가족수발에 대한 가정들이 허약한 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의 실제 수발경험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노인수발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여 가족수발의 특성과 이용가능성에 대한 가정들을 조사하고 가족수발자 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다음에 가족수발에 대한 정책적 가정과 가족의 노인수발경험을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복지정책은 여전히 전통적인 효의 이념에 근거한 가족수발에 의존하고 있으며 노인수발에 대한 가족(여성)의 일차적 책임과 친족관계망 내에서 수발책임의 공유와 비공식적 도움의 동원에 대한 가정과 기대들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가정과 기대들은 가족의 노인수발현실과는 다소 괴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수발자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개발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Radic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have affected the context in which families give care to their older relatives. Despite the increased awareness of the limitations of family care and the caring burden and family carers, the policy development for family carers of older people has been delayed. This study examines what assumptions concerning family care are made in social policies and how far those assumptions are in accord with the realities of families giving care to older people. To do so, it analyses the law and system relating to the care of older people, exploring the assumptions and expectations about the nature and availability of family care, and examines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welfare provision for supporting carers, and discusses the gap between the policy assumption and the reality of family car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older people still rely on family care based on the traditional value of filial piety, and reflect the assumptions and expectations about the family's(woman's) primary responsibility for the care of older relatives and family members sharing the responsibility for caring and mobilising informal help within kinship networks, and those assumptions differ in some ways from the actual caring experience of families. Finally,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of the policy development for supporting family carers of older people in Korea.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7-53
    * DOI :
    * UCI : G704-000662.2011.27.1.004서지정보 닫기
  • 상병으로 인한 장기요양은 의료비 부담과 실업이 수반되어 가계의 소득 불안정을 초래하고 극빈층으로 전락시킬 수 있는 주요한 위험중 하나이다. 상병이 발생하는 원인은 업무상 재해, 자동차 사고 및 업무외 상병 등이다. 배상책임적인 성격을 띠는 업무상 재해와 자동차 사고로 인한 상병이 발생한 경우 산업재해보상보험 및 자동차보험에서 상병수당과 장애연금 등을 비교적 충실하게 보장한다. 우리나라는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의료 접근성이 높고 의료환경도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OECD 30개 국가중 27개 국가에서 건강보험 등의 사회보장제도로 시행하고 있는 상병수당제도는 도입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기업체에서 근로복지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급병가제도도 공기업, 금융회사 및 대기업 등에서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국민건강보험의 재정부담을 고려한다면 다른 OECD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도의 충실한 상병수당제도는 현실적으로 도입하기 어렵다. 다만, 근로기준법에서 재직기간에 따라 유급연차휴가가 15일 이상 보장되어 있으므로 국민연금에서 장애연금을 받을 정도로 진전될 수 있는 중증 상병으로 인한 장기요양에 대해서만 소득보장제도의 충실화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시행방안으로는 국민건강보험의 급여구조를 개편하여 재정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중증상병에 대한 상병수당제도를 제한적으로 도입하는 방법, 근로기준법을 개정하여 법정 유급병가제도를 도입하는 방법 및 세법 개정을 통해 자발적인 소득보상보험제도의 도입을 장려하는 방법 등이 있다.

    Long term care due to sickness accompanied by unemployment and medical expense results in the financial distress of a household. The incident is typically resulted from occupational accidents, car accidents, or non- occupational occurrences, etc. In case of sickness due to occupational accidents or car accidents, the nature of indemnification or a liability,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or the Automobile Liability insurance provides a sufficient coverage for sickness benefits or disability pension. Compared with other OECD countries, Korea has better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s and relatively better health care environment throug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However, sickness benefits are not available in Korea unlike most other OECD countries. Considering the financial burde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given the aging population, it would be practically difficult for Korea to introduce the similar benefits as in other OECD countries. Since the Labor Standards Act guarantees paid sick leave for more than 15 days a year depending on the length of employment, the limited disability income benefit is proposed only for the long term care due to serious sickness which is eligible for the disability pension 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Possible measures to initiate the disability income benefit are as follows: development of sickness benefits only for serious injury or illness by reforming benefits structur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to minimize the financial burden, introduction of statutory paid sick leave by revising the Labor Standards Act, or introduction of disability income insurance by revising the corresponding tax law.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33-156
    * DOI :
    * UCI : G704-000662.2011.27.1.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시장과 공공의 틈새시장인 제3섹터에 사회적 일자리를 만들어 “완전고용과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 복지사회를 구현하고 있는 오스트리아의 사회적 경제와 사회통합적 기업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오스트리아의 사회적 경제에서 활동하고 있는 NPO들은 정부의 공식 혹은 비공식적인 지원 아래 각종 사회사업 및 사회서비스,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서비스, 문화, 정치, 환경, 지역발전, 스포츠, 건강, 연구개발, 종교, 국제원조 등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특히 NPO들은 노인, 여성, 청소년,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사업 및 사회서비스분야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면서 오스트리아의 고용이나 GNP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등 국가와 시장기능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오스트리아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우수사례를 살펴본 결과 카리타스, 힐프스베르크, 폴크스힐페, 디아코니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그 서비스 제공 규모가 크고,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추고 규모의 경제효과를 단단히 누리고 있었다. 또한 고용시장이 다소 불안정했던 1980년대부터는 시장에서는 일정한 장애가 있어 스스로는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이 곤란한 장기실업자 등 취약계층에게 노동기회 및 근로능력을 향상시켜주어 정규노동시장으로 이동을 돕고자하는 목적으로 사회통합적 기업을 만들어 아낌없는 지원을 하고 있어 우리에게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ee the Austrian social economy and social integrated-enterprises and earn suggestions for activa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our country. It is widely known that Austria has created social jobs in the Third Sector called as a niche market between the market and public and realized welfare society by achieving complete employment and solving social problem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ustrian NPOs participating in social economy activities are known to have been playing very actively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businesses, social service, employment service for the vulnerable group, culture, politics, environment, regional development, sports, health, R&D, religion and international aid etc. under the official or unofficial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 Having especially been playing an outstanding role in social businesses and social services for the vulnerable group including the old, women, youth and handicapped, thus having huge impacts on both employment and GNP of the country, the NPOs are positively considered as a new rising alternative of the nation's development and market functions. According to searching for good examples for social job creation in Austria, Caritas, Hilfswerk, Volkshilfe, Diakonie have been producing reliable economic effects, providing a large scale of social service through nation- wide networks. Furthermore, since 1980s, they have been offering very active assistances through social integrated-enterprises designed to help the vulnerable group including the long-term unemployed incapable of getting into the labor market for themselves to move into the regular labor market by giving labor chances and improving their working ability. Such efforts give us lots of suggestions, I suppos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57-183
    * DOI :
    * UCI : G704-000662.2011.27.1.002서지정보 닫기
  • 실제 발생한 의료비를 보상하는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이 확대됨에 따라 실손형 보험가입자의 의료이용 행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2008년 한국의료패널조사』자료의 민간의료보험 가입자(n=10,482)를 대상으로 정액형 민간의료보험과 대비하여 실손형이 외래 및 입원서비스 이용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외래 및 입원서비스의 이용량과 진료비를 종속변수로 두고 인구?사회적, 경제적, 건강관련 변수를 통제변수로 하는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중 실손형이 8.5%, 정액형이 91.5%였다. 두 군간(실손형과 정액형) 인구?사회적 또는 경제적 특성에서 큰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실손형 보험가입자는 정액형에 비해 외래서비스(외래방문횟수와 외래 총 본인부담금)와 입원서비스(입원당 재원기간과 입원당 본인부담금) 모두에서 의료이용을 많이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료이용 증가는 미충족(unmet needs)의료가 실손형 보험으로 실현된 것인지, 아니면 부적절한 의료이용의 증가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사후 평가와 그에 따른 정책적 대처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s indemnity reimbursing for the medical costs that actually occurred among the types of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SPHI) has become widely spread in Korea, concerns whether healthcare use was increased by the insured of indemnity PHI were grown. The study using 『2008 Korea Health Panel』 analyzed the sample of 10,482 who were the insured people in SPHI for the effects on healthcare utilization of indemnity compared to fixed-benefit. Mult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effects of indemnity SPHI on health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controlling for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ealth behavio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ured of indemnity SPHI was 8.5% and the rest(91.5%) was the insured of fixed-benefi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or socioeconomic variabl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ured between indemnity and fixed-benefit. The insured of indemnity SPHI had more outpatient services (numbers of physician visits and the total amount of out-of-pocket) and inpatient services (length of stay per hospitalization and the amount of out-of-pocket per hospitalization) compared to the counterpart. The increase of healthcare use by indemnity is unclear whether by the unmet needs were realized or moral hazard was appear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results and policy responses are requir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77-292
    * DOI :
    * UCI : G704-000662.2011.27.1.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당사자에 의한 집단적 사회행동 전략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임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적 배제와 차별의 개념적 관계를 고찰하였는데, 주류와 비주류집단의 관계적 속성이라는 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관계적 속성이라는 면에 천착할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배제된 비주류집단의 참여를 강조하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활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과정을 분석하였다. 법제정과정분석에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정책형성 분석틀을 활용하였는데, 분석 결과 문제 형성, 아젠다 형성, 대안 형성, 정책 결정 등 법제정의 전 과정에서 장추련이라는 장애인 정치행동 집단이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와 청와대, 국회와 재계 전반을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장애인에 의한 장애인의 법을 제정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legislation proc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S. Korea focusing on social exclusion and participation through social action approach. I can find a thing in common in that both of disability and social exclusion are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Therefore we need to lay emphasis on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When we explore the legislation proc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we recognize that the legislation is mainly due to a great deal of effort of the disabled, especially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Solidarity of Korea. So researchers need to focus on the social action approach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social workers have to analyze the macrosystem as well as microsystem to overcome the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 Besides the course of macro practice should include the community organization skills focused on the social action approac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7-239
    * DOI : 10.20970/kasw.2011.63.1.009
    * UCI : G704-000330.2011.63.1.01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네트워크 내 개별 조직의 연계활동이 아닌 네트워크 수준의 조직간 연계인 전체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2006년 11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3년에 걸쳐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후원하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가 관리 운영한 ‘지역사회네트워크지원사업’의 대상인 10개 지역사회 네트워크 중 3개 사업단을 선정하여 사업수행 결과보고서를 포함한 관련자료와 설문조사(기관장, 중간관리자, 실무자 대상)를 통해 확보하였다. 분석을 위해 각 네트워크의 참여조직과 네트워크 사무국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하여 조직간 네트워크의 전체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전체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다중이해관계자관점(multiple stakeholders perspective)을 반영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참여조직과 네트워크 사무국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네트워크 참여 조직들은 핵심 기관을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는 전체적 구조를 보여주고, 네트워크가 안정적일수록 전체 네트워크의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네트워크 효과성 분석을 전체 네트워크 관점에서 시도하고, 개별조직, 네트워크수준, 지역사회수준의 다차원적인 다중이해관계자관점을 반영한 효과성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의 성격상 분석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후속 연구를 통해 검증을 시도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whole network effectiveness by expanding the unit of analysis beyond individual organizations in a network into network-level collaborative relations. Data for the analysis were drawn from the evaluation reports and surveys of leaders, mid-level managers, and staff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Community Network Building' project which was funded by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carried out by the Academy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from November 2006 to November 2009. For the analysis, three out of the 10 networks established in diverse local communit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on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the center organization of each network, we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t a network-level. Second, to analyze effectiveness of the whole network, we employed a multiple stakeholders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whole network's structure and its effectivenes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whole network effectiveness is higher when the network is more centralized around the hub organization and more sta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provided and tested a new framework for network effectiveness evaluation by combining the two network effectiveness evaluation framework of Provan and Milward's with evolutionary organizational theor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7-84
    * DOI : 10.20970/kasw.2011.63.1.003
    * UCI : G704-000330.2011.63.1.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정신질환 발병 이후 생애경험을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에 주목하여 재구성함으로써 발병이후 위기의 진행과 전환의 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정신장애인 5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ch?tze의 생애사적 이야기식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분석에 의하여 이루어졌고 위기 상황의 전환을 중심으로 ‘발병과 혼란단계’와 ‘집중적 치료?재활단계로’ 나누어 재구성하였다. 전자는 '질환에 압도당함, 고통스런 삶의 반복과 감내, 가족으로부터의 분리', 후자는 '정신보건법제정과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의 확대, 사회적 역할변화를 통한 자신의 재발견, 생애사적 잠재성을 깨닫게 해준 중요한 타인, 지역사회통합의 장애물 경험, 가족관계의 재통합, 발병이전의 삶에 대한 고찰을 통한 질병경험의 재해석, 미래에 대한 기대'라는 주제로 분석했다. 그리고 두 단계를 전체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life, aimed to recompose and analyze into what life progressive structure the life experience by the mentally ill, after the onslaught of the disease, developed in a bid to understand the risk progress in the mentally ill's life, and to determine what contributed to the current stabilized recovery and adjustment. Five mentally ill pers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chutze's narrative interview was used to gather data.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Schutze's process structure of life. The interviewees' life experiences were chronologically organized as understood, and significant stories were recomposed that not only brought about changes but also helped overcome their disabilities in the process of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fter the onslaught of the disease. As a result, their experiences were recomposed into the stage of onslaught of the mental illness and confusion, and into the stage of intensiv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e former was categorized into suppression by the disease, repetition and endurance of the painful life, and separation from their family and frustration. The latter was categorized into the rediscovery of self through social role change, others who helped realize the life potential, the expans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community, obstacle to the integration of communities, re-integration of family relationships, re-analysis of experience of the diseas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life prior to onslaught of the disease, and expectation for the future. Also, these themes were comparatively examined so as to examine the crisis progress in the mentally ill's life after the onslaught of the disease, as well as the life transfer process through positive rehabilitation. Last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mportant areas of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 mentally ill we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4
    * DOI : 10.20970/kasw.2011.63.1.001
    * UCI : G704-000330.2011.63.1.01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한 농촌남성들의 에이전시를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8개를 실시하였고, 인터뷰자료는 Sch?tze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분석과 Rosenthal의 내러티브식-생애사 인터뷰 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중적 소외자로 객체화되고 있는 외부자적 관점과는 달리, 에이전시를 작동시키며 살아가고 있는 주체로 재현되고 있었는데, 주 생활영역인 직업생활에서는 주변부에 자리한 직업적 위치에도 불구하고 자기주도적인 직업생활을 하도록 추동하는 에이전시가, 가정생활에서는 ‘아래로부터의 다문화주의’를 실현하는 초국가적 가정의 주체로 위치시키는 에이전시가, 그리고 학교생활에서는 탈획일화된 학교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도록 추동하는 에이전시가 작동되고 있었고 또 현재도 작동되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국제결혼한 농촌남성들에 대한 이해가 전제된 사회복지실천을 하는 데에 시사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rough the biographical approach,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reconstruct the Agency of 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Rural Areas. Eight interviews were conducted, grounded on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Schutze's analysis of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and Rosenthal's analysis of narrative- biographical interview. Findings showed the following: Whereas they were objectified as multiple-marginalized from an outsider's standpoint, they were represented as subjects with the agency. Despite the work status of their being marginalized, the agency was at work that drove the self-initiative in their working life. In their family life the agency was also at work that positioned themselves as subjects of transnational family, which was geared toward multiculturalism from below. Additionally, they have had the agency that found themselves in the position of subjects, rejecting uniformity at school. For the practice of social work, this paper finally addressed some implications that have flowed from the understanding of 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rural area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17-342
    * DOI : 10.20970/kasw.2011.63.1.013
    * UCI : G704-000330.2011.63.1.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학교 내 학생들 사이에는 권력관계에 바탕을 둔,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권력관계 유형이 존재하고, 이 유형들 간 역동이 학교폭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전제로, 어떤 권력관계 유형의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상황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권력관계 유형화 작업을 위해 권력요소를 ‘권력장악가능성’과 ‘권력장악욕구’라는 두 차원으로 보고 이 두 개념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각 차원의 높고 낮음에 따라 학교폭력 상황에서의 권력관계 유형을 지배자, 실력자, 추종자, 은둔자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학교폭력 상황에서 학생들이 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역할은 Salmivalli 외(1996)가 제시한 여섯 가지 역할들을 활용했다. 분석을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 중 7개의 학교로부터 수집된 1822개의 사례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지배자 유형의 학생은 가해자, 조력자, 강화자의 역할을, 추종자 유형의 학생은 피해자, 방관자의 역할을, 은둔자 유형의 학생은 피해자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력자 유형의 학생들의 경우 두드러진 역할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결과에 대한 함의와 함께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ower types and the roles taken by students in school bullying situation. Four types of power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by crossing two dimensions of power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which are 'possibility of power acquisition,' and 'need for power acquision.' Salmivalli et al.'s(1996) six particpatants' roles taken by individual student were employed as possible roles for students in school bullying situations. Samples of 1822 cases were analyzed to test the relationships. Results showed that control type youth tend to be bullies, assistants of the bullies, or reinforcers of the bullies; both the followers of bullies and the recluse type youth tend to be victims. Surprisingly influential youth did not take any vivid roles in school bullying situations. Implic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were presen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41-266
    * DOI : 10.20970/kasw.2011.63.1.010
    * UCI : G704-000330.2011.63.1.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긴장감소가설과 독성가설을 토대로 우울수준이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행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동시에 고려하여 우울수준과 음주행위의 종단적상호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사회행동적 요인들(흡연량,자아존중감,가족관계만족,사회적친분관계만족)이 우울수준과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2,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종단적인 변화 관계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음주행위 초기값이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수준 초기값이 음주행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주행위 초기값이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경로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심리사회행동적 요인들 중에서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만족수준은 우울수준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난 반면, 흡연량과 사회적친분관계만족은 음주행위 초기값과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음주행위와 우울수준 간의 복합적 관계 기제를 밝히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분석결과를 통해 연구의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based on the tension reduction hypothesis and the intoxication hypothesis considering for path of depressive symptoms on alcohol use and vice versa simultaneously. A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sychosocial behavior factors (i.e. smoking level,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o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Using the data o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for the 1st, 2nd, and 3rd years, this study were estimated using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which is helpful for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itial level of alcohol us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thereby supporting the intoxication hypothesis. Second,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ct as variables with the biggest effect on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whereas other psychosocial behavior factors such as smoking level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exert the largest influence over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in alcohol us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clarified the confused relationship mechanism between alcohol use and depressive symptoms the two.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7-214
    * DOI : 10.20970/kasw.2011.63.1.008
    * UCI : G704-000330.2011.63.1.009서지정보 닫기
  • 경찰의 성폭력 수사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경찰의 인지 및 태도(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와 실제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경남지역 세 도시의 남성경찰 354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델이 발견되었다(CFI=0.947, IFI=0.948, RMSEA=0.048). 분석결과, 적극적 수사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적극적 수사행동이 증가되며, 반면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차폭력 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이 높을수록 이차폭력 행동이 감소되었다. 특히,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직접적으로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적극적 수사,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와 적극적 수사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극적 수사를 강화하고 이차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폭력관련 법에 대한 교육, 수사지침의 재정비, 의식전환 프로그램, 경찰의 전문화, 수사환경의 개선, 사회복지사와의 연계체계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male police officers' investigative behavior(active investigation vs.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5 variables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active investigation, and secondary victimiz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354 male police officers of 3 cities in Gyeongnam area,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For data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and the final model was found(CFI=0.947, IFI=0.948, RMSEA=0.04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l, the followings were found: ① Active investigation was increased by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and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while decreased by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② Secondary vicimization was decreased by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③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mediate the effects of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and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on active investigation. ④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econdary victim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multi-educational programs, protocols on investigation of sexual violence, professionalization of the police, and changes in investigation environment as well as a system of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olice officer and social worker were suggested as a way to increase active investigation and to decrease secondary victimiz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59-185
    * DOI : 10.20970/kasw.2011.63.1.007
    * UCI : G704-000330.2011.63.1.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Antonak(1982)이 개발한 SADP and ATDP-O(Scale of Attitudes for Disabled Persons and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s Scale-Original)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에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무원, 의료인, 교사, 언론인,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로 구성된 표적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한 비장애인 500명을 표집하여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표적집단과 일반집단 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 척도는 ‘염세주의-고정관념’, ‘낙관주의-인권’, ‘손상된 성격’ 세 가지 차원의 15개 문항으로 정리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재구성한 척도의 적합성은 수용할만한 수준(good/reasonable fit)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척도의 Cronbach's α 값은 .8이 넘어 안정적인 신뢰도를 보였으며, DFS(Disability Factor Scale)와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표적집단이 일반집단보다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는 다양한 장애유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유형별 검증이 필요하며, 척도의 활용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임상적, 실천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scale of attitudes for disabled Persons and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original by translating and modifying the scale proposed by Antonak(1982). In order to test valida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processing survey and statistic data analysis and tried to find a way to applicate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00 non-disabled persons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consist of target group (public officials, health care providers, teachers, journalists and rehabilitation facility staffs) and general group. Based on the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ata,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Also to find the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 on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 between target group and general group, t-test was proceed. The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rew 15 items representing 3 factors (Pessimism-Stereotype, Optimism-Human Rights, Derogatory Personality Stereotyp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provid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is scale as good and reasonable fitness. Cronbach's alpha ranged from .67 to .85 showed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sub-scales. The subsca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nvergent with DFS(Disability Factor Scale) variables. And the target group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disabled person than general group. It is suggested this scale more suitable for various disability types be elaborated, and get a practical implication on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67-289
    * DOI : 10.20970/kasw.2011.63.1.011
    * UCI : G704-000330.2011.63.1.007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거주시설에서의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을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거주시설 중 대표적으로 인권관련활동을 하는 기관으로 추천받은 A기관을 선정하고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조직 및 개인차원에서의 경험, 성과 및 딜레마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조직차원에서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이용자의 욕구를 어떻게 충족해 줄 것인가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권보장위원회 구성, 인권규정 제정 등 조직의 정비와 인권교육 및 인권관점을 강조하는 조직 문화 구축이 나타났다. 개인 차원에서 종사자들은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으로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이용자, 직원 및 기관 조직문화에서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천과정 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딜레마로 인해 또 다른 고민과 대안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역동적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인권관련 선행연구들이 정책적, 이념적, 개념적 논쟁에 집중되어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미시적 측면의 사회복지실천에서 인권관점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탐색한 국내 최초의 기초연구로서 그 함의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in a residential fac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facility practicing a human rights perspective was selected by recommendation of professional groups.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sed. In detail, it explores the experiences of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at both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respectively, and then discusses ethical dilemmas that arise from workers in the process of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According to resul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of the residential facility began from workers' interests in needs of us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ome trials to apply human rights in social work practice resulted in regulation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tepped up organizational culture on human rights perspectives. And, at the individual level, self determination and choice of us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tressed among various forms of human rights. As the results of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it appeared to be improved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users,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qualities of rights-based activities. However, ethical dilemmas still existed. Hence,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should understand a process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workers, which require workers to endeavor continuous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focusing on field experienc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suggested practical tasks to settle it down in the futu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55
    * DOI : 10.20970/kasw.2011.63.1.002
    * UCI : G704-000330.2011.63.1.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선택이론을 바탕으로 노년기 자원봉사시간과 심리사회적 안녕감의 비선형성을 탐색하고, 노인의 성별, 고령화정도 및 건강상태에 따라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분석한다. 분석은 2009년도 전국노인자원봉사실태조사 자료 645사례에 대한 2차 분석이며, 단순선도표 및 다중선도표를 활용한 기술적 분석을 수행한다. 연구결과, 자원봉사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0시간)의 노인은 낮은 심리사회적 안녕감을 보이며, 보통수준에서 자원봉사에 참여한 노인은 높은 수준의 안녕감을, 이후 높은 강도의 참여시간부터는 다시 낮아지는 U자형의 비선형적 관계를 보인다. 남성노인, 75세이상 고령노인,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이 보다 낮은 시간대에서 긍정적혜택을 경험한다.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자원봉사 참여가 비참여에 비해 심리사회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나, 활동은 년 100-200시간 미만의 보통수준으로, 700시간 이상을 넘지 않아야 함을 발견한다.

    This study explor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time spending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the old adults, on the ground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This is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2009 National Old Aging Volunteer Survey data including 645 cases. The simple and multiple line graph method are implemented. As a result, this paper shows a nolinerar relationship which the low level of psychosocial well-being at non volunteer status is increasing to the paticular time spending, and then decreases after high level participation like U-shape. Male, over the 75 and not good health status has showed lower level of volunteer time spending. It can be founded that volunteering activity contributes to improve a psychosocial well-being in old life, but the desirable volunteer time spending is medial about 100-200 yearly not over the 700.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37-158
    * DOI : 10.20970/kasw.2011.63.1.006
    * UCI : G704-000330.2011.63.1.005서지정보 닫기
  • 현대에 들어 노동시장이 더 유연화 되고 있기 때문에 고용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고, 이에 따라 비정규직 일자리가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고용 불안정과 열악한 근무 여건 때문에, 사회적 배제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비정규직 근로자가 사회적 배제를 겪을 경우에는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중에서 우울은 음주, 자살, 장애 등을 유발하는 증상이므로 관심을 가져야 할 정신건강 문제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적 배제와 정신건강 문제를 다룬 연구는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비정규직 근로자인 건설직 일용근로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와 우울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일용근로자의 사회적 배제는 우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As intense economic competition has led to more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marginal or atypical employment has rapidly grown. Although marginal work represents an important proportion of whole employment, it is still characterized by insecure and unfavorable working conditions. Therefore employees in marginal jobs are highly likely to be subject to social exclusion. In turn, social exclusion puts marginal workers in a high risk of mental health problems. One of major mental health symptoms has been depression. So far,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f marginal employees on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ing depression. Hence this study examines empirically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f casual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protype of marginal employees, on depression. Its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exclusion has influence upon depression of marginal workers. This study is the first one to delve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orary employment,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of marginal employees. Yet much more empirical researches are needed in order to shed brighter light on these relationship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13-135
    * DOI : 10.20970/kasw.2011.63.1.005
    * UCI : G704-000330.2011.63.1.004서지정보 닫기
  • 다차원적 빈곤접근에 있어 빈자의 구분방식에는 복합지수방식, 합집합 및 교집합방식이 있는데 이들 방식들은 타당하지 않은 문제들이 있었다. Alkire와 Foster는 이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합집합과 교집합의 중간 형태로서 결핍차원들의 개수를 경계선으로 이용하는 차원계수방식을 이론화하였다. 차원계수방식에 의해 우리나라의 다차원적 빈곤을 측정한 결과, 3개 결핍차원을 정책적 차원빈곤선으로 하는 경우 다차원적 빈곤율은 20% 수준으로서 10명 중 2명이 다차원적으로 빈곤하였다. 다차원적 빈곤율이 높은 것은 자산, 소득, 사회보장, 건강 등 여러 차원으로 결핍의 폭이 넓은데 기인하였다. 여성, 한 부모, 노인, 비경제활동인구 등 취약계층일수록 다차원 빈곤의 폭이 넓고 가중되고 있었다. 연구결과 현행 기초생활보장제도가 탈 빈곤유도와 기초생활보장이라는 두 가지 정책목표를 각각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근로능력 유무에 따라 수급자선정과 지원체제를 이원화하고 차원계수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본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measure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Korea by the counting approach which was theorized by Alkire and Foster to overcome problems of unidimensional approach, union method and intersection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poor. By the counting approach applying to Welfare Panel in Korea during 2006-2008 , the head-count ratio of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was measured. When 3 dimensions are applied as a dimension poverty line,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rate was 20% in 2008. It was due to broad deprivations in assets, social securities, income and health. Vulnerable classes such as single parent families, low-education level group, the aged, economically non-active population were among the severe poverty rates, which were reaching around 50%. The analysis reveals the possible alternative to change the present public assistance program to the robust approach of multidimensional poverty measurement, the counting approach. Social policies to reduce poverty in Korea would gain expected positive outcome with the various approaches based on the concepts of multidimensional pover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5-111
    * DOI : 10.20970/kasw.2011.63.1.004
    * UCI : G704-000330.2011.63.1.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교육성과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임파워먼트가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담공무원의 인사관리차원의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396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AMOS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과모형은 적합도 지수가 매우 적절하게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적 모형을 잘 나타내고 있었으며, 사회복지교육과 직무성과, 그리고 임파워먼트와의 관계를 잘 설명하는 모형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회복지교육이 선행조건이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사회복지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한 인사관리차원의 다양한 교육훈련 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ight strategies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the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public social workers. Not to make any flaws when looking for the appropriate strategies, this report studies how outcom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fluences the performances of public social workers and how the empowerment is connec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s of public social workers. For clearer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396 public social worker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AMOS was used to analyze the outcom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itness Index of the Casual Model, proposed by this study, was similarly matched with that of theological model. The Casual Model proved that it explains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welfare education, job performance and empowerment. Hence, to improve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orkers,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are needed and basically associates related social welfare education should do their effort. Also to enhance empowerment of public social workers, various measures are need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1-316
    * DOI : 10.20970/kasw.2011.63.1.012
    * UCI : G704-000330.2011.63.1.002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