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중학교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학교폭력 발생시 교사의 원조개입효능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변인들을 검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AMOS를 이용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토대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전체매개, 개별매개 그리고 개별매개간의 차이검증은 Mplus를 사용하여 비선형분석을 하였다. ‘사회적 책임감’과 ‘가해?피해자에 대한 올바른 인식’ 그리고 ‘교칙공정성’등 세 효과변인들은 직?간접적으로 교사의 ‘원조개입 효능감’(SMC, 64%, 총효과, .452)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요인이라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사회적 책임성’이 교사의 ‘원조개입효능감’에 미칠 수 있는 직접효과(.203)보다는, 두 매개변인(‘가해?피해자에 대한 올바른 인식’ ‘교칙공정성’)의 전체간접효과(.249)의 영향이 더 컸다. 두 매개변인들 중에서는 ‘가해?피해자에 대한 교사의 인식’(.224)이 ‘교칙 공정성’(.025)보다 훨씬 더 강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교폭력 ‘가해?피해자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은 ‘사회적 책임성’이 교사의 ‘원조개입효능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크게 증폭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강력한 매개변인이라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들의 원조개입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in: (1) the direct effect of social commitment on teachers' intervention efficacy for helping both victims and offender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 (2) the indirect effects of both teachers' perceptions of offenders and victims, and fairness of school regulations on teachers' intervention efficacy .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351 teachers(84 males and 267 females) from 10 middle schools located in different districts of the city of Daegu. In order for subjec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teachers' intervention efficacy for helping both victims and offenders were explor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mediators' effect, along with total indirect effect and each individual mediator's effects, bias-corrected bootstrapping analysis by using Mplus were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ed the significance on direct effect of social commitment, and indirect effect of both fairness of school regulations and teachers' perceptions toward offenders and victims, on teachers' intervention efficacy.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fairness of school regulations(.025) was far outweighed by teachers' perceptions(.224) toward offenders and victims.
I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claim our attention in that they provide a range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ers and other related professionals including school workers who are engaged in helping out both victims and offender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79-100
* DOI : 10.20970/kasw.2012.64.1.004
* UCI : G704-000330.2012.64.1.00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실증적 영향력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으며,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문화변용 사이의 직·간접적 인과관계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회적 배제는 이주여성의 특성을 고려해, 경제적 배제, 교육적 배제, 사회참여로부터의 배제, 민족적 배제로 차원화 했으며, 문화변용은 이차원이론에 근거해 이주문화정체감과 원문화정체감으로 구분했다. 사회조사연구로 이루어졌으며, 의도적 표집을 통해 추출한 346명 이주여성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해 분석했다. 이주문화정체감은 교육적 배제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으며, 원문화정체감은 교육적 배제와 사회참여로부터의 배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로부터의 배제와 민족적 배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이주문화정체감과 원문화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는 문화변용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통한 간접적 영향은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acculturation with a critical mind about empirical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individual's life. Social exclusion was dimensionalized as economic exclusion, exclusion from education, exclusion from social participation, and ethnic exclusion.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survey research with the data from 346 immigrant women.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exclusion from education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 cultural identity with origin culture and the cultural identity with immigrated culture. Exclusion from social participation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 cultural identity with origin culture. Also, exclusion from social participation significantly impacted on acculturative stress. Ethnic exclusion significantly determined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However, acculturative stress did not impact on acculturation at a significant level.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17-244
* DOI :
* UCI : G704-000662.2012.28.1.006
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청년패널 1~3차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취업자의 저임금근로 실태와 결정요인, 그리고 저임근로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취업자의 25% 내외가 특정 시점에 1회 이상 저임근로를 경험하지만 저임금근로 고착화의 가능성은 높지 않았다. 다만 청년취업자의 5%정도는 3년 연속 근로빈곤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은 상대적으로 학력수준이 낮은 저학력집단과 여성들이었다. 이들이 저임일자리를 지속하는 원인은 낮은 인적자원과 함께 노동시장 내에 존재하는 성별 이중구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사상지위가 저임금근로 여부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장기근속이 저임탈출을 높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회적 문제로 다뤄지고 있는 청년고용 문제는 청년층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육성하여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하는 정책과 함께 사회안전망과 고용서비스 활성화를 통해 저임금상태에 놓인 청년층이 단기간 내에 탈출할 수 있는 정책대안이 요구된다. 특히 취약집단에 대한 특화된 정책적 지원과 노동시장을 둘러싼 사회제도를 보완?정비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하겠다.
The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ditions of youths' low-wage work, as well as the determinants of entry into and exit from such states, using the 1st~3rd waves of the Youth Panel data.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 of youth in low-wage work has gradually decreased from 22.6% in the year 2007 to 10.0% in the year 2009. However, we also show that up to 25% of youth experience low-wage work at least once during the sample period. In particular, up to roughly 5% of young wage earners were unable to exit the working-poor stat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indicating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ssistance for these groups.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temporary and day work, due to the weak hiring of youth, is the core factor behind the higher incidence of working-poor status. Therefore, we propose policies aimed at relieving the gaps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 between workplace scales and the work status of workers. In addition, we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contingency policies that aid the exit of youth from low-wage work through vitalizing both social safety nets and employment services. These should be accompanied by policies that promote the expansion of good-quality jobs for the youth.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63-190
* DOI :
* UCI : G704-000662.2012.28.1.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 복지정치 연구에서 복지태도와 인식을 넘어 주요 행위와 행위자를 찾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련 법안 ‘발의 행위’와 ‘발의 의원’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 입법과정의 동학(dynamics)을 분석함으로써 복지정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입법 발의에 참여한 국회의원들 간의 법안 공동발의 연결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주요인물과 주도세력을 밝혀내고 그 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 방법을 이용하여 18대 국회(2008-2010) 5대 사회보험 입법 발의와 관련한 연결망을 분석하였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18대 국회 회기 중(2008-2010) 5대 사회보험 입법 발의에 참여한 국회의원들의 연결망을 분석하였다. 18대 국회에서 5대 사회보험법과 관련된 처리법안은 총 11개였으며, 공동 발의 집단은 총 23개였고, 발의 의원들은 11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의 연결망을 중앙성(centrality) 지수로 분석하여 5대 사회보험 처리법안 발의(행위)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 주요 인물(행위자)을 찾아냈다. 나아가 이들 세력의 소속정당, 당선횟수, 소속위원회, 대표발의횟수와 같은 속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여당효과, 고참 의원의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고, 상임위원회 효과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focuses on action and actor beyond the welfare attitud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etwork pattern of joint submission among assemblymen in order to specify the dynamics of welfare policy making process. Research method is SNA(social network analysis). Data come from legislation information system in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11 legislations, 23 joint broacher groups and 118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related with five social insurance(the National Pension Ac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of former part of eighteenth assembly(2008-2010) are network analysis objec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etwork of the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is a dense network form. Second, Sim Jae-Chul who has three times elections and is president of the Policy Board of the Hannara party has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and prestige centrality. Lee Kyung-Jae who has four times elections in Hannara party has the highst closeness centrality and Chun, Hye-Suk who has only one elections in Democratic party has the highest betweenness centrality. Conservative party has taken the lead in a legislation in relationship with five social insurance more than liberal party. And progressive parties have not showed an active role. Third, main actors' attributes is affiliated in conservative party and in Committee on Culture, Sports, Tourism,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unaffiliated in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and Environment and Labor Committee which have responsibilities passing a bill about five social insurance, and have more three times election's experienc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3-51
* DOI :
* UCI : G704-000662.2012.28.1.004
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고령화 사회의 중?고령자 인력활용과 재취업 정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자부가조사(2009)를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구직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공공고용기관을 주된 구직방법으로 이용한 중?고령자집단은 연령이 높고 저임금의 단순하위직에 종사하는 취업취약계층이며, 직접방문이나 민간고용서비스 기관을 이용한 집단은 생애 주된 일자리 경력과 관계있는 직업을 가졌으며 전일제 고용을 희망하는 집단이었다. 인터넷 등 대중매체를 구직방법으로 이용한 집단은 도시에 살며 상대적으로 젊은 중?고령자 집단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 및 함의는 첫째, 우리나라 중?고령자는 주된 구직방법으로 대부분 개인적 접촉을 통해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공고용서비스 기관의 이용이 낮아 구직 및 재취업서비스의 공공성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둘째, 중?고령자가 구직방법을 선택하는 데는 생애 주된 일자리 관련성 여부와 의중임금이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조기 은퇴를 막기 위해 고용유지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공고용서비스 기관의 주 이용층이 고연령의 단순하위직으로 나타나 다양한 계층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넷째, 개인적 접촉을 통한 구직방법의 활용은 중?고령자의 빈약한 네트워크를 활용한 낮은 고용가능성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공식적-비공식적 연결망 확장이 필요하다. 다섯째, 베이비부머를 비롯한 중?고령층의 구직욕구는 매우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인 고용 및 재취업 정책이 필요하다.
To acquire basic data for the pre-elderly's manpower utilization and re-employment policy in aging society,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determinants of the pre-elderly's job searching method using Additional Survey of the Elderly,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2009). The pre-elderly group that used a public employment agency as the major job searching method was vulnerable class in higher age. On the other hand, the group that used direct application and a private employment agency was one re-employed in jobs relating to life-time main job while wanting a full-time employment. The group that used mass media tends to reside in the city with lower age and higher reservation age. The main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 First, it shows that most of the pre-elderly were re-employed through personal contact so raises an important policy task to ensure publicity in job searching and re-employment service. Second, it shows that career and reservation wage were main variables in the pre-elderly's selecting of job searching method so suggests their job retention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y to be required. Third, re-employment of the pre-elderly through personal contact means lower quality of re-employment so required to expand network through participation of community. Finally, job searching needs of the pre-elderly including baby boomer are expected to be diversified so required to prepare systemic policies on employment and re-employmen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97-128
* DOI :
* UCI : G704-000662.2012.28.1.003
서지정보 닫기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marriage among Chinese wives in Taiwan. The data used is from the 2008 Survey of Foreign and Mainland Chinese Spouses’ Living Conditions in Taiwan (SFMLCT), which contains detailed information on individuals’- health, employment, economic status, family structure, and social networks. Duration models are used to estimate the hazard rates of marriage duration, especially for divorce or separation. Further,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unobserved heterogeneity in frailty model. The main results show that older Taiwanese husbands, husbands in good health, two previous marriages, higher earnings, and Chinese wives with jobs have higher hazard rates of divorce or separation. In contrast, older Chinese wives, wives in good health, living longer in Taiwan, with higher household income, with more children, with good communication skills, friends from own Chinese relatives, own Taiwanese relatives, neighbors and others have lower hazard rates of divorce or separation. The empirical results also confirm that, after considering the effect of unobserved heterogeneity, some estimated coefficients on the marriage hazard regressors are larger in magnitude than the corresponding coefficients in the reference model. Therefore, to reduce the rate of divorce or separation the Taiwanese government could create more job opportunities and ensure eligibility of the Chinese wives for work.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marriage among Chinese wives in Taiwan. The data used is from the 2008 Survey of Foreign and Mainland Chinese Spouses’ Living Conditions in Taiwan (SFMLCT), which contains detailed information on individuals’- health, employment, economic status, family structure, and social networks. Duration models are used to estimate the hazard rates of marriage duration, especially for divorce or separation. Further,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unobserved heterogeneity in frailty model. The main results show that older Taiwanese husbands, husbands in good health, two previous marriages, higher earnings, and Chinese wives with jobs have higher hazard rates of divorce or separation. In contrast, older Chinese wives, wives in good health, living longer in Taiwan, with higher household income, with more children, with good communication skills, friends from own Chinese relatives, own Taiwanese relatives, neighbors and others have lower hazard rates of divorce or separation. The empirical results also confirm that, after considering the effect of unobserved heterogeneity, some estimated coefficients on the marriage hazard regressors are larger in magnitude than the corresponding coefficients in the reference model. Therefore, to reduce the rate of divorce or separation the Taiwanese government could create more job opportunities and ensure eligibility of the Chinese wives for work.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22
* DOI :
* UCI : G704-000662.2012.28.1.002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근로자 퇴직급여보장법개정안의 국회통과로
2012년 새롭게 도입될 개인형 퇴직연금제도의 잠재가입자(자영업자, 근로자 등)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인형 퇴직연금제도에 대한 인식 및 니즈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형 퇴직연금제도의 필요성 및 가입의사는 높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정부의 홍보 및 교육 부족 등으로 인해 개인형 퇴직연금제도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투자지식 부족으로 은퇴재무설계서비스의 니즈가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기본형 펀드제도 도입에 대한 선호도 또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적립금 수령시 연금에 대한 충분한 세제혜택이 주어지면 일시금보다 연금을 보다 선호하겠다고 응답하여 이를 감안한 제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 등을 감안할 때 개인형 퇴직연금 인식제고를 위한 정부차원의 인프라지원(홍보 및 교육시스템지원), 가입자의 속성별에 따른 세제혜택 차등화, 가입자의 투자지식 부족을 고려한 기본형 펀드(디폴트펀드)제도 도입, 연금세제 확대에 기초한 퇴직급여 단일화 방안 등이 마련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the amendment of the Law of Employee Retirement Income Security Act on 2011, June, the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 is revised to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IRP) and self-employes and employees ar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IRP. Using the survey data on self-employers and employees who are the potential participants,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ir knowledge and preference about various issues of IRP and we propos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self-employers and employe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cure stable income through the IRP after retired, they are unknowledable about details regarding IRP. Especially, they little know how to manage their IRP funds. For this reason, they prefer the financial service and advise related with the retirement and basic products such as life-cycle funds with default option. They also strongly prefer to receive their IRP funds as annuity rather than lump-sum on condition that enough tax-benefits are imposed on annuitizing their funds. From the empirical investigation, we propose that it is essential to provide to the self-employers with eduction about IRP and general retirement income system and reform tax-system to induce the self-employers and employees to annuitize their IRP funds. It is also necessary to unify two different retirement pension schemes, simple funds such as life-cyle funds with default options for participants who are unknowledable about managing their IRP fund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29-161
* DOI :
* UCI : G704-000662.2012.28.1.00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구조모델(structural model)방법론의 하나인 DEMATEL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 현장에 존재하는 복잡한 문제(과제)의 전체 구조를 파악함으로, 문제발생의 메커니즘과 본질을 추적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지역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복지와 관련된 문제는 어떠한 것들이 존재하고 있는가? 둘째, 지역사회복지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어떠한 의식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계획수립, 예산배분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직공무원과 현장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시민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감시하는 시민운동가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구조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지역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로 설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이 수립된 해인 2005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의 주된 문제구조는 ‘복지예산 편성이 절차적으로 합리적이지 못함’, ‘구의 외곽지역이 빈민지역의 형태로 격리되고 있음’,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구의 장래 인구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지역 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의 형태로 나타났다.
직종별 결과를 보면 사회복지직공무원은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사회복지사는 ‘구의 장래 인구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와 ‘지역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으로, 시민운동가는 ‘단기간의 욕구조사로 인해 다양한 복지수요 파악의 한계가 있음’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및 개별 프로그램 수립의 틀(framework)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and essence of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complicated problems that exist in the social welfare field with DEMATEL method, one of structural models.
This paper consists of (1) What kind of social welfare problems exist in the community that is related to welfare? (2) What kind of thoughts do people who work in social welfare field have related to these problem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ructure of thoughts among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who take charge of planning and dividing budgets for community welfare, social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personally and civic activists who criticize and keep watch on behalf of civilia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in Busan Busanjing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year of 2005 when community welfare plan was first established up to now.
The major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mmunity welfare of the Pusan Jin-gu, Korea, are: 1) welfare budget allocation procedure is not logical, 2) the outskirts of the Pusan Jin-gu are isolated as poor areas, 3) geographic imbalance is severe among communities, and 4)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future population structure needs to be more developed. All of these problems are the fundamental origin to the social resource disparity within communities.
The major problem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 Pusan Jin-gu, Korea were recognized by different perspective in terms of professional career such as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social workers, and civic activists. Majority of the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thought “severe geographic imbalance”; majority of the social workers believed “lack of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 the future” and “disparity in social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ies”; and majority of the civic activists said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social welfare needs because of short term need assessments” as main issue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t seems that this paper is able to be used as a framework to establish community welfare plans and individual programs in Busan Busanjingu.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9-223
* DOI : 10.20970/kasw.2012.64.1.009
* UCI : G704-000330.2012.64.1.011
서지정보 닫기
-
2007년 바우처 사업 실시 등 사회서비스가 재정, 공급자, 서비스 등에서 다각적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이 과정에서 도입된 선택과 경쟁을 중심으로 한 시장적 접근에 논란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한편으로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이동을 의미하기도 하며 이것은 국제적으로 나타나는 흐름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회서비스의 역사적 발전을 경험한 영국에서 나타났던 사회서비스 담론을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적 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에서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이동하는 사회서비스 담론의 흐름이 집합주의와 개인주의라는 또 다른 축으로 구분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담론을 가르는 이 두 개의 축은 우리나라 사회서비스 논의에 이론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social service voucher schemes were introduced in Korea, many controvers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market-based approach, which encourage competition and choice while amount of funding, number of providers, and types of services have been rapidly expanded. This also could mean that transform of social service paradigm from provider-centered approach to user-cantered approach, one of the trends found internationally. Therefore, this is the study to reveal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 discourses in Britain where various models of social services have been attempted in their modern history. Then, through the historical analysis, the trends toward more user-cantered approach were found to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divis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is could provide theocratical implication to the current discussion on social services in Korea.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9-324
* DOI : 10.20970/kasw.2012.64.1.013
* UCI : G704-000330.2012.64.1.010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이주문화에 대한 상호문화적응과 통합의 관점에서 대학생들의 다문화 태도변화를 위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유사실험전후비교 조사설계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45명)과 통제집단(47명)에서 나타나는 다문화태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성의 지속성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4.264, p=.000) 그리고 사전-추후 차이 역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음(t=2.466, p=.016)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사후-추후점수간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할 다문화교육의 전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program was designed to offer them a series of twenty lectures for three months, 60 hours in total, an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participants of both experimental group(N=45, Mdiff=.378) and control group(N=47, Mdiff=.036) on their attitudes on cultural diversity. Also, pre-test and follow-up test scores were compared to confirm whether the effect was sus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pre-post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t=4.264, p=.000),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or control group students.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sustained amo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a 3-month follow-up test(t=2.466, p=.016). In conclusi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fact, proved to be effective in changing the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in understanding and accepting different cultures in Korean socie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5-150
* DOI : 10.20970/kasw.2012.64.1.006
* UCI : G704-000330.2012.64.1.009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관한 종단적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고령화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의 3개년도 자료를 잠재성장모델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연령집단일수록, 무배우일수록, 농촌지역 거주자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사회활동의 수가 적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에 여유가 없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초기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의 종단적 변화는 거주지역, 교육수학기간,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노년층이 본인의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elf-perceptions of own aging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ing with the three waves of the "Aging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Korea", which sampled adults aged over 45 living in Seoul and Chuncheon. The dependent variable is attitudes toward own aging, the sub-scale of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developed by Lawton (197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attitudes of their own aging deteriorated over time. In addition, the lower initial statu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ttitudes of their own aging was associated with being older, being non-married, living in rural areas, attaining the lower level of education, having the fewer social activities, reporting the worse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reporting the wors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slop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ttitudes of their own aging differed by the residence areas, educational attainments,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of the initial status by educational attainments grew over time.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to improve attitudes toward their own aging.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1-124
* DOI : 10.20970/kasw.2012.64.1.005
* UCI : G704-000330.2012.64.1.008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에 경험하는 다양한 거주형태 변화와 그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거주형태별 영향요인을 검증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의 고령자패널조사 자료 중 2003년과 2009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60세 이상 유자녀 노인 825명이다. 분석 방법은 T2(2009년)의 거주형태를 종속변수로, T1(2003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 문화적 변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2003~2009년 6년 동안 거주형태 변화를 경험한 노인이 29.82%에 달해 노년기 거주형태가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노인 거주형태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주택소유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심리적 안녕감, 부양책임감 등이 도출되었으며, 각 거주형태별로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제언으로 노년기 거주형태의 변화가 매우 크고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만큼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degree and the patterns of living arrangement transitions and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 among elders in Korea. Data came from four-wave panel study of Hallym Aging Research Institute. The first wave was conducted in 2003, and each successive wave occurred exactly 2 years after. Respondents who were aged 60 and over, and had at least one living child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 baseline consisted of 1,907 respondents(2003), then became 985 for the fourth transition interval (2009). A total of 825 who participated both in 2003 and 2009 were used. Binomial logit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status, physical health, cognitive fun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ultural attitudes toward elder care on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s. Results show that 29.82% of the elders made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s from 2003 to 2009, indicating remarkably unstable living situation over this time period. The ratio of living alone is increased from 17.6% to 19.6%, in contrast with decreased ratio of living with married children from 30.5% to 25.2%, and that of living with unmarried children from 19.9% to 13.7%. Factors affecting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living arrangement. Elders living with married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be older, widowed and to have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re traditional attitude toward elder care. Elders living alone were more likely to be women, widowed, and to have more chronic diseases and low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49-271
* DOI : 10.20970/kasw.2012.64.1.011
* UCI : G704-000330.2012.64.1.007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개입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Double ABCX 모델을 적용하여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스트레스,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요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구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 2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 가족기능성,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는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an effective way for social welfare in order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 mother having a child with autis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ed factors of parenting stress, family functioning, social support, and redefinition of family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a mother having a child with austin by way of applying the Double ABCX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07 mothers having a child with autism in Daegu. Results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mpacts of parenting stress on social support, family functioning, the redefinition of family on crisis situ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redefinition of family on crisis situ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having a child with autism. Third, it turned out that family functioning, social support, and the redefinition of family on crisis situation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y functioning should be strengthened for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having a child with autism. We should construct and provide social supports in multilateral aspects and help mothers having a child with autism positively recognize stressful situations and improve their capacities to overcome them as well.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25-247
* DOI : 10.20970/kasw.2012.64.1.010
* UCI : G704-000330.2012.64.1.006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 활동에서 지역주민이 구성한 언어를 토대로 주민조직과 참여자의 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근린지역사회조직화모델의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주민조직의 조직적, 개인적 차원에서의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주민조직차원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참여자들은 문제의 발견과 주민조직을 거쳐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고 조직의 질적, 양적 변화의 의미를 구성한다. 개인적 차원에서 참여자들은 ‘갇힌 세계로부터의 탈출’을 거쳐 가치 있는 일을 통한 ‘나의 재구성’단계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참여자는 가족을 통해, 자신을 자랑스러운 존재로 재규정하고 있고 또한 이웃을 통해, ‘이웃은 곧 나’라는 새로운 의미를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근린지역사회조직화모델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mean of neighbourhood and community organizing model on lived experiences of their organizing and members which had changed.
The methods of collecting data was progressed in depth interview. According to study questions and analysis challenges based on theory, we analyzed texts.
outcome of study we understood experiences of their organizing and members which had changed.
In changing phases of organizational dimension, meaning of 'the discovery of the community problem' was extracted. In this time, organization's members set the goal and experienc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of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changing phases of individual dimension were followed, which are 'escaping from locked life', 'reconstruction of self image' ,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both family and self-concept' as well as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both neighbourhood and self-concept'.
Conclusively, we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 which might increase the effect of neighbourhood and community organizing model.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0
* DOI : 10.20970/kasw.2012.64.1.001
* UCI : G704-000330.2012.64.1.01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행복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의 효시로 불리는 이스털린 역설을 이해하고, 이 역설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논쟁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스털린 역설을 둘러싼 논쟁의 흐름을 파악하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인 만족점(satiation point)의 존재여부에 대한 논쟁을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이스털린 역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첫째, 행복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고, 둘째, 이스털린의 관찰을 파악하고, 그리고 셋째, 이스털린 역설의 이론을 설명한다. 이어 제3장에서는 이스털린 역설을 둘러싼 논쟁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쟁은 주로 욕구이론가들이 이스털린 역설에 대해서 공격하고 이에 대해서 이스털린이 방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비단 행복과 소득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 전반에 걸친 인식의 충돌을 보여준다. 이러한 논쟁에 대한 이해의 기초 위에서 제4장에서는 “만족점(satiation point)은 존재하는가?”라는 논쟁적 이슈를 제기하고, 이 논쟁을 제1절에서 욕구이론의 입장, 그리고 제2절에서는 행복의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제3절에서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The Easterlin Paradox is widely accepted as a pioneer of happiness study in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Economics, Psychology, and Sociology. Moreover, it should be noted, the paradox has abundant implications on many social issues such as ‘economic growth or social equity’, 'basic income' and so forth. It is in this regard that this paper purports to understand debates around the paradox. For this purpose, the chapter two examines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the Easterlin Paradox, and accordingly the chapter three examines the Easterlin Paradox debates since the early 1990s. In the context of the Easterlin paradox debates, the chapter four scrutinizes the debates around satiation point in income-happiness nexus and duly concludes with som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77
* DOI : 10.20970/kasw.2012.64.1.003
* UCI : G704-000330.2012.64.1.013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보호아동이 친가정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친부모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친부모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과적 조건은 ‘자녀를 맡김’이 도출되었고, 현상은 ‘형벌같은 삶’, ‘자녀와의 분리상황에 적응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맥락적 조건은 ‘가족 신념’, ‘자녀양육 신념’이며, 중재적 조건은 ‘재기할 힘’, ‘뜻대로 안됨’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양육기반 마련하기’, ‘부모 역할 지속하기’, ‘적응에 저항하기’, ‘자녀복귀시기 조정하기’로 나타났다. 결과로는 ‘돌봄 부담감’, ‘맡기고 싶음’, ‘가족의식 강화됨’, ‘미래가 희망적임’이 도출되었다. 과정분석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① 자녀위탁단계: 자녀를 위탁한 모진 부모가 됨, ② 자녀 위탁 후 단계: 자녀복귀위해 무너진 가정세움, ③ 자녀 친가정 복귀 단계: 나, 가족, 세상에 떳떳함 ④ 자녀 친가정 복귀 이후 단계: 재위탁 경계하며 가정지킴으로 구분되었고 보호아동의 친부모들은 자녀를 친가정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긴장의 연속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호아동의 친가정 복귀를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1 parent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experience of the parents on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family reun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leaving one’s child’ that composed causal conditions, and also it was ‘sentenced life’ and ‘adapting to a life without child’ that composed existing conditions. Thus,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found out as ‘a belief of family' and 'a belief of child caring’ and the mediation conditions were ‘power to recover’ and ‘not being as one’s intentions’. Also, re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urned out as ‘preparing a basis of child-care’, ‘playing a parent’, ‘standing against being adapted’ and ‘adjusting as their children back to family’.
Finally, the analysis showed ‘burdens on caring’, ‘wanting to leave one' child again’, ‘having stronger family membership’ and ‘being hopeful in a future’ as results. The specific levels of the process were found out as following 4 steps, as time goes by. 1)Fostering children at institutions: become harsh parents(or a harsh parent), 2)After fostering: rebuild collapsed family in order to take the children back, 3)Family reunification: become aboveboard to oneself, family and the world, 4)After family reunification: try to keep the family taking precautions against resending. While taking their children back, the parents turned out to experience long, unremitting tension. Reflecting results of the analysis above, and in order to promote sending institutionalized children back to their families this article suggests practical alternatives for parents who left their children in institution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73-297
* DOI : 10.20970/kasw.2012.64.1.012
* UCI : G704-000330.2012.64.1.012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며 자살위험에 처한 청소년을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의 영향에서 대인관계내재화와 절망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부모학대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보다 직접적으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또래괴롭힘은 대인관계내재화와 절망감에 순차적으로 매개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signed a mediating pathways model on how parental abuse and peer victimization lead to the development of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interpersonal needs and a hopelessness. The development is sure to help reduce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nd, in turn, seek for distinct mediating methods to help teens with suicidal ideas.
To validate the suggested model, this paper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o 768 students in their 10th, 11th and 12th grades of high schools in Incheon, and then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efore confirming the research hypothesis by adopting the tools of SPSS 17.0 and AMOS 18.0.
The result clearly demonstrates that parental abus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developing suicidal ideation. Peer victimization, however, had no direct bearing on suicide ideation, only indirectly affecting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interpersonal needs. In addition, peer victimiz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a sequential intervention of variables from interpersonal needs to a hopelessnes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ha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mediating pathways of youth suicidal ideation resulting from parental abuse and peer victimization. The result could possibly help find preventive measures and effective mediating approaches to save the lives of young people at risk of committing suicide. Secondly, this study proved that the interpersonal needs, a relatively new concept hardly introduced in previous studies, i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suicide ideation, serving as an intervening variable of developing suicidal ideation among young people who have suffered parental abuse and peer victimiz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51-175
* DOI : 10.20970/kasw.2012.64.1.007
* UCI : G704-000330.2012.64.1.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본질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0년 4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약 12개월동안 14명의 ADHD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현상학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강점관점으로 본 ADHD 아동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의 본질은 ‘완주를 위해 자신과 싸우는, 원하지 않는 마라톤’을 위해 달려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어머니의 강점관점으로서의 경험 본질은 ‘그래도 이쁜 내새끼와 함께하기 위한 힘을 찾아가는 여정’인 마라톤이었으며 그 경험은 시?공간적으로 8가지로 구성되었다. 처음 아이의 독특한 행동들을 겪으며 ‘혼란의 연속’속에서 ‘ADHD진단의 먹먹함’을 경험하지만 ‘엄마라는 운명’에 아이를 위한 총체적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그 과정에서 ‘총알이며 은총인 선생님의 말’에 절망과 감사함을 경험하면서 엄마들은 원하지 않은 마라톤의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포기할 수도 없는 완주를 향해 달려가는 외로운 전투를 하면서도 내아이를 위해, 나를 위해 ‘그래도 긍정적으로’ 살기로 한다. 하지만 자식을 위해 자신을 독려하지만 쉬운 과정은 아니다. 그럼에도 아이로부터, 가족으로부터, 전문가들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버텨내는 힘’을 얻게 된다. 평범하지 않은 아이를 키우는 게 힘들고 ‘현재진행형이지만 그래도 이쁜 내새끼를 위하여’ 오늘도 엄마는 아이와 함께 완주를 위해 달려가고 있는 것이다. ‘도착점’이 다시 ‘출발점’이 된다 하더라도 달려갈 수 밖에 없는 마라톤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여 ADHD 어머니와 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seek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Strengths Model based experience of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DHD. To achieve such goal,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0 to April 2011 covering about 12 months in the way of 2~3 times of interviewing with 14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DHD.
As a result,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those mothers was interpreted as 'the running of unwanted marathon struggling themselves to complete it'. The joining in the unwanted marathon turned out to have led 'me' the mother of the children with ADHD into miserable pain, but that is the 'energy' for 'my child' to endure the world. The essence of those mothers'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eight processes by timely constitution.
They firstly experience ’a serial confusion' by their children's odd behaviour which turns out to be 'a semiconscious feeling by the diagnosis with 'ADHD' but then they make full efforts for their children accepting their ' maternal fate' . In that process, they participate in the unwanted marathon with the feeling of misery and gratitude for the 'sayings of teachers which play the roles of shot and grace'. The process was expressed as 'marathon like pain' They make a resolve to live positively in the midst of lonely struggle unable to give up toward the finish line for 'my child and myself'. They encourage themselves for their children, but that's not easy process.
Nevertheless, they gain enduring energy supported by their child, family and specialists. Those mothers keep running today also for their ' beloved doves enduring the ongoing hardship' from the raising of abnormal child toward the finish line of the marathon they have to run for even though the 'finish line' may turn into' 'starting point' again' This researcher submits here the maternal experiences above as the task to practice social welfare for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DHD and the children themselv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25-355
* DOI : 10.20970/kasw.2012.64.1.014
* UCI : G704-000330.2012.64.1.00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의 연구 목적을 갖는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공정성은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쳐서 조직몰입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주장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냉소주의에 영향을 미쳐서 조직몰입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경쟁적으로 설정하여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가 과연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마지막으로는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직무특수성의 핵심의 하나라 할 수 있는 일가치감이 조직공정성,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검증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사회복지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중 해당기관 경력 2년 이상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층화표집을 통해 구축하였는데, 총 564명의 응답을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가설1지지), 일가치감과 조직몰입의 관계 역시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가설 2지지). 그러나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에 대한 논의가 하나의 쟁점으로 부상하는 영리영역과 달리 사회복지기관은 조직공정성 그 자체 그리고 사회복지사가 지니는 일가치감에 주도적으로 영향을 받는 독특한 관계구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in Korea. Second, it simultaneously examines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also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on the combined model by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profession. This study employs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on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two year work experiences in their current social service agencie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finally it analyzes the responses from 564 social workers by using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ults: (1) there is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2) there is also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3) i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there are no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1-52
* DOI : 10.20970/kasw.2012.64.1.002
* UCI : G704-000330.2012.64.1.003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성 측정을 위한 조직혁신성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척도개발을 위해 먼저 문헌분석과 전문가 조사로 조직혁신성 측정을 위한 37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예비 문항에 대한 사회복지현장실무자 178명 대상의 1차 설문조사자료로 실행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7요인(리더십 혁신, 팀워크 혁신, 업무 혁신, 프로그램개발 혁신, 환경관리 혁신, 프로그램기술 혁신, 아이디어 혁신), 31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들 7요인 구조의 적절성은 2차로 실시한 사회복지현장실무자 409명 대상의 설문조사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또 조직혁신성 척도의 7개 하위 요인 모두는 조직혁신문화 변인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정(+)의 유의한 관계로 나타나 조직혁신성 척도의 준거타당성이 확인되어 추후 연구에서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성 측정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mpirically-based inventory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Review of literature on innovation research and panel study resulted thirty-seven(37) pre-items for measuring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re-items drawn from the first survey data of 178 social workers revealed seven(7)-factor structure of 31 items. The factors included leadership innovation, team work innovation, task innovation, program development innovation, program technology innovation, idea innova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second survey of 409 social workers also indicated relevance of seven(7) factor structure of the inventory. Further these seven factors showe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measures for innovation culture indicating the inventory ha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lthough additional work remains in methodological issues,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have shown that this inventory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can be an useful tool for assessing innova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77-197
* DOI : 10.20970/kasw.2012.64.1.008
* UCI : G704-000330.2012.64.1.002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