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원내자율장학에서 나타나는 보육교사의 교수행동변화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서울의 Y구 어린이집 보육교사 3명에게 주 1번 8회 동안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원내자율장학을 실시하고,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참여자 면담, 관찰, 현장노트, 자기보고서, 결과물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내자율장학을 통해 보육교사들은 1)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바람직한 교수행동의 변화를 보였다. 2) 반성적 사고를 통해 영유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인식하고 계속하여 발전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3) 교사의 개인차를 고려한 원내자율장학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에게 적합한 원내 자율장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behavior change and the meaning produced in internal self-supervision through project activities. Three(3) teachers at a childcare center in 'Y' district of Seoul were involved and placed under the internal self-supervision program including project activities which was totally conducted eight(8) times, once a week. The analysis resulted from using the various sources such as participant interviews, observation records, field notes, self-reports and activity-related documents.
In the results, the internal self-supervision program provides as follows: 1) The childcare teachers are expectedly changed on their teaching behavior by acquiring the sophisticated knowledge and skills. 2) They recognize the children’s positive changes and also keep developing themselves by reflective thinking. 3) They need the program to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each other in terms of learning knowledge, experience and personality. These results can affect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to develop an effective training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01-129
* DOI :
* UCI : G704-000724.2013..74.00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 가정의 채소?과일 가용성 및 접근성의 현황을 알아보고, 접근성이 갖는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6세 유아의 어머니 320명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Pearson 상관계수, Baron, Kenny(1986)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모든 항목에서 대상자의 과반수 이상이 1일 1회 또는 그 이하의 섭취빈도를 보였다. 둘째, 가정의 채소?과일 가용성과 접근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김치류(95.9%)와 참외와 수박(80.0%)이 가장 높은 가용성을 보였다. 반면 양배추(28.4%)와 복숭아(4.1%)는 가장 낮은 가용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유아들의 접근성은 채소보다 과일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정의 채소?과일 접근성은 가용성과 유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섭취빈도에 접근성은 직접적인 영향을, 가용성은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ruit·juice·vegetable(FJV) intake frequency,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to FJV at home. And also to verify mediation effect of accessibility. The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and three hundred-twenty mothers of young children(from three to six-years old) responded from twelve nurseries in twelve districts in Seoul.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18.0 using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aron, Kenny(1986) method of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children showed to eat FJV ‘once per day or less’. Second, the highest availability of FJV was Kimchi(95.9%), oriental melon and watermelon(80.0%). The lowest availability item was cabbage(28.4%) and peach(4.1%). For accessibility of FJV, young children had better access to fruits rather than vegetables and juice. Third, the study has prove that accessibility has a mediation effect between young children's FJV availability and intake frequency. The study emphasize that, although FJV availability is a critical factor to FJV intake, accessibility has more direct affect on young children's FJV consump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9
* DOI :
* UCI : G704-000724.2013..74.006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에서의 영재교육 방안을 소개하기 위해 면접과 문헌조사를 통해 샌디에고 교육구의 세미나 학급이라는 지능 상위 0.1% 이내의 고도영재를 위한 전일제 영재학급을 사례를 조사하였다. 첫째, 세미나 학급의 배경으로 캘리포니아와 샌디에고 교육구의 영재교육 정책의 흐름과 현황을 고찰하였다. 둘째, 세미나 학급의 영재교육 운영 사례를 영재의 판별, 등록, 프로그램 등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미나 학급에 대한 평가를 한 후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seminar class for highly gifted student in San Diego school district using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First, as a background of seminar class, policy of gifted education in California state and San Diego school district were reviewed. Second, case of seminar class was introduced in terms of identification procedure, enrollment, and program. Then, evaluation of seminar class was described. Finally,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 in Korean were addre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57-75
* DOI :
* UCI : G704-000724.2013..74.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동작교육 교과에서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하고 그 분석에 기초하여 예비교사의 수업반성 및 평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1년 1학기(총 15주) 동안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예비교사 32명이 참여하였다. 마이크로티칭은 예비교사 3-4명씩 10개의 소집단으로 구성되어 수업계획, 모의수업, 수업 평가, 재수업 및 재평가가 실시되었다. 예비교사의 동작교육 계획안 및 수정 계획안, 모의수업 및 피드백 영상, 자기평가서, 교수 학습자료 사진 및 영상 자료, 반성적 저널과 연구자 노트 및 현장약기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의 수업반성 및 자기평가에 교사로서의 진지한 모습으로 수업에 임하겠다는 다짐이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수업반성 및 자기평가를 통해 수업에 대한 아쉬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의 수업반성 및 평가에 통해 뿌듯함과 자신감, 교사로서의 책임이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conduct microteaching for student teachers for children movement education. For this, 32 student teachers participate in this study, for the 1st semester (15 weeks) in 2011. In this study, microteaching is conducted with lesson plans, mock classes, course evaluation, re-lecture and re-evaluation, consisting of 10 subgroups in groups of 3-4.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are student teachers’ plans and modified plans for movement education, and feedback videos, self-reflection paper, reflective journals, field notes and qualitative analysis i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 teachers show determination to be committed to the class in sincere manner as a teacher, by assessing the external appearance such as attitude, language, outfits, etc., Second, the student teachers show regret about classes. Third, the student teachers show pride, confidence and responsibility as a teacher.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77-99
* DOI :
* UCI : G704-000724.2013..74.00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선과 수평선 그리기에서 유아들의 Euclidean적 공간개념을 측정하여 수직선 및 수평선의 인식과 성별의 차이도 그리고 단서 조건과 무단서 제시 조건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의 공간개념차이에 대한 인식능력을 도모코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지역 I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 남녀 유아 32명이다. 검사도구는 지붕위의 나무그림과 컵 속의 수표면을 그림자료와 입체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수직선 집단은 그림자료를 사용하였고 수평선 집단은 입체자료를 적용하였다. 연구당일인 시간대Ⅰ은 단서제시 조건이었으며 시간대 Ⅱ와 시간대 Ⅲ는 시간대 Ⅰ으로부터 각각 10일과 20일 간격으로 장단기적인 메모리 측정여부와도 관계되었으며 시간대 Ⅱ와 시간대 Ⅲ는 그림과 입체물을 제시하지 않은 무단서 제시 조건이었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수직선 집단과 수평선 집단의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수직선 집단에서 나무그림 자료를 활용했던 조건이 수평선 집단에서 입체자료를 활용했던 조건보다 더 높은 점수차를 나타내주었다. 둘째, 그림과 입체물을 제시하였던 시간대 I과 그림과 입체물을 제시하지 않았던 무단서 조건인 시간대 Ⅱ와 시간대 Ⅲ와의 차이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간대 I에서 시간대 Ⅱ와 시간대 Ⅲ조건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큰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Euclidean적 공간개념 인식에 대한 남아와 여아간의 성별차이에 대해서는 남아보다 전반적으로 여아가 공간개념 인식도와 수직, 수평 개념 인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공간 개념의 발달적인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여 남아보다는 공간 인식능력을 새롭게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그 동안 공간개념에 있어서 여아보다 남아의 능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여겨져 오던 것을 새롭게 인식하도록 해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children's tendency to draw vertical and horizontal objects perpendicularly to an oblique surface reflects their preference for perpendicular drawing as conceptually correct depictions. 32 five year old children were presented with concrete materials, a tree and the horizontal water level in a tilted cup in I city of JeonBuk.
The instrument of test used a picture of tree to the vertical group and the horizontal group used an abstract tilted cup in three Time periods which Time I was a picture (a cue) condition and Time Ⅱ, Ⅲ were non-picture con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verall between vertical group and horizontal group to the picture of a tree and an abstract tilted c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ime I condition rather than Time Ⅱ and Time Ⅲ condition. Further,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on Time I, Time Ⅱ, and Time Ⅲ condition which the score of girls was higher than boys. Therefore, girls were excellent developmentally in Euclidean concept which can be expressed girl's right to boy's recognition in drawing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31-55
* DOI :
* UCI : G704-000724.2013..74.003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7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생활만족과 인간지향적 및 관료지향적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인간지향적 및 관료지향적 조직풍토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스트레스에 의해 매개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지만, 이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ildcare teacher's life satisfaction in relations to organizational climate, self-esteem, and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276 childcare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 a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self-esteem, job stress and childcare teacher's life satisfac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e associ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childcare teacher's life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their job stres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self-esteem and job stress predicted their life satisfaction. Childcare teacher's self-estee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for who demonstrated low level of job stres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31-151
* DOI :
* UCI : G704-000724.2013..74.002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입양인의 생애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명의 성인입양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관찰, 기록물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생애사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과정은 우선 연구참여자의 생애 과정을 연대기 형식으로 요약한 뒤, 인생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고, 연구참여자 사례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주제들을 파악하여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앞서 분석된 내용들을 검토하여 입양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개입이슈들을 파악하여 논의하였다. 주제분석에서는 ‘옹이 신세’, ‘나비가 되려는 애벌레’, ‘괜찮아요. 아니, 안괜찮아요’, ‘내가 잘못한 건 아니니까’, ‘사랑, 삶을 이끄는 결정적 요소’ 등의 주제들을 발견하여 제시하였으며, 입양 시점, 사후관리, 비밀입양과 공개입양, 뿌리찾기, 성인입양인 대상 개입 등의 개입이슈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입양인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an adult adoptee.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n adult adoptee, observation, and documents and analyzed using life history approach. Results of analysis were composed of summarized life history, thick description of life history, theme analysis, and issues for intervention. The themes generated from analysis are 'a slub', 'a larva that want to be a butterfly', 'I am okay. No, I am not okay', 'because it is not my fault', 'love, the critical determinant leading my life'. Researchers, also, examined intervention issues of adoption, post-adoption service, closed adoption or open adoption, searching root, intervention for adult adopte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i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adult adoptees were suggest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3-107
* DOI : 10.20970/kasw.2013.65.1.004
* UCI : G704-000330.2013.65.1.00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과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성공적 노화구성요소를 비교하고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한 연구다. 연구대상은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 620명,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 3,460명으로 모두 4,080명으로 구성되었다.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기 위하여는 t검증과 카이자승검증 및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이 사용되었고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위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 건강,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교육수준, 심리적 건강이 높았다. 반면 질병 비율은 낮았고 직업활동, 노후생활비준비나 경제적 독립은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중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성별이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고 연령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노후연령으로 인식한 집단은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도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다. 또한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활동 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도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used the third wave of individual data of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because the third wave of data only had the necessary variables which fit into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in 2010 using national random sampling. The target population was adults who are older than 65 an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4,080.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were compared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group ①: people who recognize they are not older adults(n=620); group ②: people who recognize they are older adults(n=3,460)). For comparison of each variable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t-test, chi-square test and ANCOVA were used depending on the types of variables. To test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used for each group. 1) Except for the number of leisure activities, older adults who recognized they were not old(group①) had a higher level of factors composing of successful aging than older adults who recognized they were old(group ②). 2) For group ①, age did not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ut for group ② age negatively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3)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ing were more important than avoiding disease and disability. 4) For group ②, IADL affected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ut for group ①, IADL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5) For group②, whether they had a job or not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differentl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27-245
* DOI : 10.20970/kasw.2013.65.1.010
* UCI : G704-000330.2013.65.1.01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는 빈곤여성가구주의 임파워먼트 과정에 초점을 맞춰 그들의 취업 경험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는 9인의 빈곤여성가구주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및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결과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빈곤여성가구주들의 취업 경험을 통해 ‘미래에 대한 희망과 불안감의 교차’, ‘홀로 서기를 통한 경제적 자립’, ‘보람과 강해지는 자신을 발견’, ‘수평적 연대의식’, ‘조직에 내재하는 갈등상황에 대한 고민’, ‘전문성과 자긍심의 발휘’, ‘문제해결능력’, ‘사회에 기여한다는 자부심 함양’ 등 8개의 핵심 구성요소들이 도출되어, 개인적 역량 뿐 만이 아니라 관계적, 사회적 역량 역시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빈곤여성가구주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및 임상적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orking experience of poor female-headed families in social enterprise focusing on empowerment process. For this study, nine female-headed women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Mai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eight main construct factors, such as the intersection of hope and unhappy,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being alone, finding myself strong and worthy, consciousness of horizontal bondage, trouble situation, professionalism and pride, capacity to problem solving and self-importance of contribution to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rking experience of poor female-headed families in social enterprise was strengthened from personal level and relational level to social level. Therefore, various policies and practical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empowerment of female-headed families in poverty working in social enterpris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75-199
* DOI : 10.20970/kasw.2013.65.1.008
* UCI : G704-000330.2013.65.1.013
서지정보 닫기
-
맹자의 왕도정치의 핵심은 국민의 생활안정을 추구하는 保民과 교육을 통한 인격적 성숙에 이르는 敎化이다. 맹자의 保民論이란 왕이 된 자가 백성을 보호하고 소득을 보장하여 삶의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는 일종의 복지이론을 말한다. 그의 보민론의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논의는 恒産論, 四窮賑恤論, 饑饉救濟論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항산론은 백성의 삶에 필수불가결한 생업 제정과 가족 부양, 기근 탈피에 대한 논의로서 오늘날의 소득보장 이론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궁핍한 자에 대한 사궁진휼은 鰥寡孤獨을 보호하고 그들을 보살펴야 한다는 주장으로 공공부조 및 사회복지서비스 제도라든가 그밖의 관련제도로서 보살피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것이다. 셋째, 맹자의 이재민에 대한 기근구제론은 국가에서 한해, 풍해, 수해, 화재 등 각종 비상재해가 발생했을 때 공적자금을 활용하여 백성의 생존권 보호 차원에서 긴급히 재해를 구호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것은 오늘날 국가의 공공부조로서 긴급복지지원제도에 의한 지원이나 사회복지관련법상으로는 재해구호법 등과 맥을 같이하고 있는 주장이다. 이로써 보면 맹자의 보민론은 소득보장으로서의 공공부조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등과 같은 사회보장론의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efine Mecius’s people-care theory(保民論) , and aims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curity contained in Mecius’s people-care theory. Mecius considered to the public relief as King’s obligation. So to speak, the King protects to the property of the people.
Especially his people-care theory implicate to continuity of safety life, a relief fund on the property, protection of disaster damage. Continuity of safety life means to enabling the people procurable food, clothing and bury dead persons without difficulties. It’s may be said that implicated to the theory and system of modern social-welfare. It is reason for his opinion that a state should construct in the minimum social safety network by taking responsibility for basis needs of life. He was a humanist so much. He thought about the pursuit of the human happiness and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Therefore his idea nearly means to the social security system in a modern sense.
His thought is not only an ideal background on the public assistance and a social relief security in the contemporary but also a relief activity system such as Jindaebup called historical prototype of social welfare. It is an important fact that his people-care theory implicate to social security system.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9-126
* DOI : 10.20970/kasw.2013.65.1.005
* UCI : G704-000330.2013.65.1.012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중년기 뇌졸중 발병 후, 장애인으로 사는 삶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활용하여, 내부자 관점으로 그들의 삶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본질적 주제는 ‘반동강 난 삶’, ‘단절과 고립’, ‘거듭나는 삶’, ‘재발의 두려움에 짓눌림’, ‘가족의 울타리로 버텨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년기 뇌졸중 발병의 경험은 ‘가족을 지켜내야 하는 삶에 드리워진 재발의 그림자’로 맥락화 하였다. 이 연구는 중년기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본질과 그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실천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middle-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after a stroke. Using van Manen'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is study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middle-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after a stroke. The following main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lived experiences of middle-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were interviewed: 'a life broken in half', 'discontinuity and isolation of life', 'being born again', 'fear of stroke relapse', and 'overcoming all difficulties through harmony in a family'. Therefore, the core theme on the lived experiences of middle-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after a stroke is a shadow of relapse over lives that have to protect famili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s results on policy making and actual practices are discussed focusing on th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3-58
* DOI : 10.20970/kasw.2013.65.1.002
* UCI : G704-000330.2013.65.1.011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캐나다의 사회학자인 도로시 스미스(Dorothy Smith)가 발전시킨 ‘제도적 문화기술지(institutional ethnography)’를 소개하고, 이 방법론이 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를 탐색하였다.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소개에서는 이 방법론의 출발점, 개인과 사회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전제, ‘입장(standpoint)’, ‘문제틀(problematic)’과 같은 방법론적 장치, ‘일’과 ‘일 지식(work knowledge)’, ‘텍스트’, ‘제도적 담론’과 같은 ‘제도’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적 개념들과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기술하였다.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론은 사회복지 제도가 작동되는 실천(정책) 현장의 ‘실제(actualities)’를 정교화하고, 제도적 변화의 구체적 지점들을 발견하게 해주며, 연구자가 선택한 사람의 입장에서 지식을 생산하게 촉진한다. 이를 통해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기존 사회복지 지식지형의 공백을 메우는 것은 물론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Institutional Ethnography, a methodology, developed by Dorothy Smith in Canada. Institutional Ethnography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ethnography. Also it differs from various kinds of ethnographies such as interpretive ethnography, political ethnography, organizational ethnography, feminist ethnography, auto ethnohraphy. Institutional Ethnography explores social organization of everyday's actualities in institutional settings. This study introduuces the outline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and examines the usefullness and implications in social welfare knowledge. Usefulness and implication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follows: 1) expansion and specification of knowledges of 'organized actualities' i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fields 2) discovery of specific points for institutional changes in social welfare fields 3) production of social welfare knowledge from the standpoint of ruled, oppressed peopl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9-324
* DOI : 10.20970/kasw.2013.65.1.013
* UCI : G704-000330.2013.65.1.010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들이 이용자 중심 서비스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용자 중심서비스의 실천적 원칙으로 강조되는 이용자들의 선택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떠한 맥락에서 과연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서비스 이용 경험의 본질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적 연구에서 Giorgi가 제시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시내 65세 이상 이용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로서의 경험은 “제한된 서비스 선택”, “강화되지 못한 이용자로서의 권한”, “서비스에 대한 모순된 감정”, “돌보미와의 관계 중요성 인식” 이라는 4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이들의 서비스 경험의 본질적 현상은 “제한된 선택권 안에서 관계의 중요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이용자 중심으로서의 서비스 이용경험은 여전히 이용자로서의 선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용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서비스 선택권보다 돌보미와의 긍정적 관계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 중심 서비스가 정착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have an understanding of how the users of comprehensive care service for the aged experience the user-centered services. For this, this study placed focus on the essential aspects of the experience of using the service including the meaning of the choice of users being emphasized as practical principles in user-centered services as well as the real context of such a choice. The research methods suggested by Giorgi in phenomenological studi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and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0 users living in Seoul who are over 65 years of 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nterviewees' experience of the service as us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elements of "restricted choice of service", "unstrengthened right for the users", “ambivalent emotion about the service",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caregiver", and the essential phenomenon in their experience of the service wa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within restricted choic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choice or self-determination of users was still restricted in the usage of user-centered services. It also found out that the users think it more important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aregiver than the choice of the service granted to them. On the basis of such research results, political implications are proposed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user-centered servi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25-346
* DOI : 10.20970/kasw.2013.65.1.014
* UCI : G704-000330.2013.65.1.009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를 보여주는 데에 있다. 이에, 한 재독한인노동이주자의 인터뷰를 사례로 하여 생애사적 데이터의 연속적 분석, 텍스트분석과 주제적 영역분석, 체험된 생애사의 재구성과 연속적 세밀분석, 이야기된 생애사와 체험된 생애사의 비교 분석의 절차에 따라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를 보여주었다. 이어, 이러한 연구가 사회복지학 분야 생애사 연구와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ntends to show the practice of the narrative- biographical interviews analysis developed by Rosenthal. As an example of this, the research analysed an interview with a Korean migrant worker in Germany in 4 stages as follows: 1. analysis of biographical data, 2. text and thematic field analysis, 3. reconstruction of life as lived and sequential fine analysis, 4. contrasting the life-story as narrated with life as lived. Based on the research, some implications for the biographical research in the social welfare and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were addre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71-298
* DOI : 10.20970/kasw.2013.65.1.012
* UCI : G704-000330.2013.65.1.008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시설유형에 따른 적절한 인사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은 자격등급, 직무내용, 근무환경, 승진 및 발전으로, 이용시설은 직무내용, 상사 및 감독, 임금, 근무환경, 승진 및 발전, 동료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으로는 생활시설은 직무내용, 근무환경으로 나타났고, 이용시설은 근무환경으로 나타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classifying social welfare facility's workers into community facility and using facility to apprehend the standard of their organize causes, job satisfaction, intention of turnover and influence cause by these.
As a result, in organize causes, using facility's workers are more satisfied than community facility's workers. By influence causes of working satisfaction's resul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using facility and community facility's working satisfaction influence causes, the working satisfaction deciding causes of community facility's social workers are level of qualification, contents of works and working environment, using facility's workers are contents of works, superior and director, wages, job environment, promotion and improvement and co-workers. Living facility's social workers's influence causes of intention of changing jobs are level of qualification, contents of works and working environment and using facility's workers are only working environment.
Finally,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ed various discuss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staffing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9-81
* DOI : 10.20970/kasw.2013.65.1.003
* UCI : G704-000330.2013.65.1.007
서지정보 닫기
-
지금까지 자영업은 노동시장연구에서 배제되거나, 연구가 수행되더라도 자영업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영업자는 일을 하면서도 빈곤위험에 크게 노출된 집단이다. 그럼에도 자영업자의 경제적 심각성에 주목한 논문은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을 통해 자영업자의 취업빈곤 실태와 취업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영업자의 빈곤율이 임금근로자보다 평균 3.2배 높다. 특히, 임시일용직의 빈곤위험이 높지만, 자영자의 빈곤율도 높다. 둘째, 자영업자의 빈곤정도는 임금근로자보다 더 심각하다. 셋째, 자영업자가 취업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24%이지만, 빈곤층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53%에 이른다. 취업빈곤층의 절반이 자영업자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상용직에 비해 임시일용직과 자영자의 빈곤위험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임시일용직뿐 아니라, 자영자 역시 주된 정책대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말해준다. 다섯째, 고졸이하 중고령층 자영업자, 그리고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고령 자영업자의 취업 빈곤율이 다른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정책개입이 시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Until recently, self-employment workers are often excluded from labor market studies. Most relevant studies has focused on the determinants of entry into self-employment. However, the self-employment is highly exposed to poverty risk although they are working. Despite tha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economic severity of the self-employed.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self-employed's in-work poverty and the determinants of in-work poverty among the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employed people experience 3.5 times higher in-work poverty risk than employees. Especially, the ratio of own-account self-employed people living below the poverty line is similar with that of even precarious employees. Second, the extent of poverty of self-employment is more serious. Third, the proportion of self-employed among working poor is about 53% although self-employed workers are composed of only about 24% among working people. Fourth, temporary employees and self-employed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poor than full time employees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mplies that it is desirable to regard the self-employed as the policy target group along with temporary employees . Fifth, the ratio of in-work poverty of self-employed aged 40-64 whose education level is low and the self-employed aged 40-64 who work in low-skilled service sector a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It implies that measures to alleviate their economic difficulties are urgently need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47-174
* DOI : 10.20970/kasw.2013.65.1.007
* UCI : G704-000330.2013.65.1.006
서지정보 닫기
-
최근 노인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면서 노인 자살예방을 위한 학문적·실천적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노인 자살의 위험요인 파악에 치중한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내부자 시각에서 자살행동을 극복하게 도움이 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질적 연구의 목적은 자살시도 후 노인의 삶이 어떻게 전개되며 무엇이 이들에게 삶의 희망을 주는지에 관해 이해하는 것이다. 중심주제분석(thematic analysis)방법을 활용하여 자살시도 노인 35명과의 심층면담 및 연구노트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참여자의 ‘다시 살아보자’의 경험은 마음 기울기의 방향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한 그 경험은 생각의 전환과 행동이 수반되는 과정이며, 자살행동을 저지하는 요인과 힘을 내서 살게 하는 요인들이 함께 작동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요인 향상에 초점을 맞춘 노인 자살예방을 제언하였다. 그것은 일상의 소소함을 회복시키는 개입, 사회적 지지망을 돈독하게 하는 개입, 강점관점에 따른 개입, 그리고, 자기 의지를 세우게 하는 마음지원 개입이다.
The elderly suicide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nd the need for academic and practice-based knowledge for preventing elderly suicide has been addressed. Unlike previous literature focusing on identifying risk factors, this study aimed to address protective ones which help to overcome suicidal behavior among older adults.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understand how older adults get over being suicidal and get back to life, and to identify what helps them during the process. Both in-depth interviews with 35 elderly with suicide attempts and field notes were analyzed through thematic analysis. The older adults described a pathway to rediscovering a ‘will to live’ that was related to a ‘mind’s incline’ and included two kinds of protective factors. Based on the findings, it addresses the implication for the elderly suicide prevention utilizing protective factor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7-146
* DOI : 10.20970/kasw.2013.65.1.006
* UCI : G704-000330.2013.65.1.005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은퇴 전 고용과 노인일자리의 고용유사성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연속이론과 유사모델에 근거해 고용유사성이 첫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둘째, 직무만족과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비례층화표집을 통해 추출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 700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고용유사성 가운데 직종유사성만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유사성과 표현된 유사성은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참여노인의 우울은 낮추고 삶의 만족도는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continu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Based on Continuity theory and Similarity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direct impacts of continuity of employment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 impact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The study was designed as a social survey research. Data from 700 participant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was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only continuity of type of employment directly impacted on life satisfaction, and continuity of salary and expressed importance on continuity of employment indirectly impacted on depression as well as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 efficac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47-270
* DOI : 10.20970/kasw.2013.65.1.011
* UCI : G704-000330.2013.65.1.004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WHO의 국제건강관련분류체계인 ICF를 적용하여, 한국의 근골격계질환 장애인(척수손상, 근육디스트로피, 왜소증, 류마티즘) 352명의 사회참여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술분석, 집단별 평균분석 및 분산분석과 사후검정,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근골격계질환 장애인의 정신기능,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과 연관된 기능, 비뇨생식기와 생식기능, 피부 및 관련구조, 학습과 지식 적용, 일반적 과제와 요구, 이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참여의 수준도 높았다. 개인요인에서 소득이 근육디스트로피질환 장애인의 사회참여 관련요인으로 나타났고, 환경요인에서 서비스, 시스템 및 정책이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에 관한 보편주의적 접근을 의미하는 ICF 구성요소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ICF 코어셋을 검토하여 질환관련범주를 측정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rincipl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with musculoskeletal conditions (spinal cord injury, muscular dystrophy, osteogenesis imperfecta, rheumatoid arthritis) in South Korea using ICF relevant categories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index by WHO. The subjects of this study 352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CF component(body functions, body structure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relevant categories deprived from ICF core sets. The collected data were evaluated with descriptive analysis, ANOVA,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mental function, Neuromusculoskeletal and movement-related functions, Genitourinary and reproductive functions, Skin and related structures,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General tasks and demands, and Mobility positively influenced social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musculoskeletal conditions. However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didn'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to examine by ICF components of universal approach on disability study and utilized the relevant ICF categories as measurement tool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1
* DOI : 10.20970/kasw.2013.65.1.001
* UCI : G704-000330.2013.65.1.003
서지정보 닫기
-
외환위기 이후 청년실업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으나, 청년층의 노동시장 경험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경력을 단순한 일자리 이동과 달리 노동지위의 연속적 배열과 순서적이고 위계적인 변화과정으로 개념화하였으며, 배열분석을 활용하여 외환위기 전후 청년층의 노동경력을 노동지위의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외환위기 이후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이 장기화되고 고용형태와 사업장 규모 면에서 첫 일자리의 질적 저하가 발생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청년 코호트는 미취업형과 실업형, 비대기업형, 비정규직형 및 이동형 특성을 갖는 경력유형에 속할 상대적 위험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청년층의 고용불안정성이 더 커졌으며, 내부노동시장형에 비해 외부노동시장형 경력유형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early work career of youth cohort entering the labor market pre and post-the economic crisis and compare career pathway types of different cohorts. Labor market experiences of youth cohort were constructed by sequencing the number of organizations, kinds of jobs, the scale of the business, and type of employment. In addition, a holistic sequence was created by including complementary factors. In this sense, the labor market experience in this study was conceptualized as a process involving continuous sequences and hierarchical and orderly changes which differs from a simple job mobility.
Sequence analysis involving Optimal Matching method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uch cohort-differences in labor market experiences were related to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career pathway typ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ost-economic crisis cohort had a relatively higher likelihood of falling into the non-employment type, unemployment type, non-corporate employment type, irregular employment type, and mobile employment type.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employment precariousness of cohort has exacerbated after the economic crisi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01-226
* DOI : 10.20970/kasw.2013.65.1.009
* UCI : G704-000330.2013.65.1.002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