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14]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940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조직사랑의 상관을 알아보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이들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해 보육교사 2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몰입은 조직사랑 및 자기효능감과 상관이 있다. 특히 정서적 조직몰입과 지속적 조직몰입은 헌신과 높은 상관이 있고, 규범적 조직몰입은 열정과 높은 상관이 있다. 둘째, 조직몰입은 조직사랑과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조직몰입에는 조직사랑 중 헌신이 전반적으로 가장 영향력이 높으며 열정은 규범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다.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유사하게 영향을 주고 있으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지속적 조직몰입과 규범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고,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정서적 조직몰입과 규범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ildcare teacher’s self-efficiency and organizational lov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2 childcare teach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love. And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efficiency. Especially,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ntinuous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relate to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love. The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relate to passion of organizational love. Second, the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love and self-efficiency. Especially,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love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highly, and passion of organizational love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highly. The general self-efficiency influence the continuou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 self-efficiency influence the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35-257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조손가정 아동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이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 상태인지 살펴보고, 이들의 심리사회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조손가정 아동들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112부를 수거하였으며, 초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일반 아동 124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심리사회적응 수준과 개인, 가정, 학교 환경적 특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조손가정 아동들은 일반아동에 비해 더 많은 심리사회적응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손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검토한 결과 신체적 건강문제가 많을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흥미가 낮을수록 심리사회적응의 문제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우선적으로 조손가정 아동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사회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할 필요성이 높으며, 특히 조손가정 아동들의 건강 증진과 학교생활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evel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 headed families comparing children of normal families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 headed family. In order to collect data,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15 social w chare centers and 33 commun exacucted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xunggi area, 11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 headed families was lower than children of mormal families. Secondly, the physical health problem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the pschosocial adjustment and the sollows. Firstly, was the secondly effective factor. With aanve study results, he rcould, waslude that the social system for imprnvement of physical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 headed family should be provid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7-30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4..37.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그들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 관련기관(종합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문화의 집, 청소년수련관)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저소득층의 아동·청소년들이며(초등학교 4학년~중학교3학년), 최종적으로 771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발달시기에 따라 아동(467명)과 청소년(304명)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행복감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성별, 학년, 가족구조, 경제상황, 학교성적을 통제변수로 두고, 행복감(인지적 행복감, 정의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 집단이 아동 집단보다 낮은 행복감을 느끼고, 사회적 지지에 있어서는 아동 집단이 청소년 집단보다 가족과 교사로부터의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상대력 영향력은 가족지지가 아동, 청소년 집단 모두에서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고, 다음으로는 친구지지도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효과적 개입 방안으로 청소년문화복지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정책 개발의 필요성, 부모교육 및 가족구성원 간의 관계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확산, 또래집단을 활용한 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ffective intervene methods for improving happines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through analysing how perceived social support influences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who are from low-income families. Children and young people(aged from 4th grade primary schools to 3rd grade middle school) who receive social care from various social service providers in Busan were surveyed, and in total 771 numbers of survey questions were analysed. Firstly, this research looked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eeling of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eriod such as children and young people. Secondly, this research tried to find how social supports from family, teachers and friends can influence in happiness increase under the control variables(gender, grade, family, economic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rst research finding was that young people felt less happiness than children, and children have more support from family and teachers than young people. The second finding was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family support was the biggest influence in the happiness for both children and young people. Then friends support was the second influence for the happines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several effective intervene methods for developing of the happiness for the children and young people; needs of active interest on youth culture and welfare and developing of the policies ; promotion of programme which help to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members of families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me; encouraging peer programmes the efficient intervene ways of improving happiness among children and young people.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03-127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4..37.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립의지가 개인요인, 가족요인(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 이 요인들이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는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D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남·여 학생 총 768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개인요인,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부모양육태도 중 자립의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민주적 양육태도였고 그 다음으로 학업성적, 방임적 양육태도, 가정형편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청소년의 자립의지 형성에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립의지를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elf-Reliance in adolescents. Subjects were 768 middle school students(377 boys and 391 girls). Data analysis was done by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elf-Reliance in adolescent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dolescent academic grades and mother's democratic parenting style, but negatively related to mother's permissive parenting style and family economic conditions (2) Among these variables, the effect of mother's democratic parenting style on their adolescents' self-reliance was most powerful. These findings tell us that parenting styles are ver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elf-Reliance in adolescents and that some special programs to support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re need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31-58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4..37.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자살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서울시 소재 D 중학교 131명의 학생과 통제집단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M 중학교의 118명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자살위험성이 감소하였다. 자살위험성 척도의 하위요인 중에는 부정적 자기평가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자살태도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살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살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점이 확인됨에 따라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학교교육과정에 포함됨으로써 자살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실제적으로 학교에서 자살예방 프로그램 보급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suicidal prevention. For this purpose, we obtained raw data from 158 students of D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118 students of M middle school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 show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suicidal risk and improvement of suicidal attitude. Negative self-evaluation and hopelessness of suicide probability scale show to reduce of the program. Also, suicidal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was changed positively a littl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assure that 'suicide prevention program' in this study is positive effect to reduce suicide risk. It is suggested that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re applied for middle school student in regular curriculum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81-101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4..37.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7차 데이터 중 고등학생 데이터 총 486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남학생은 249명, 여학생은 237명으로 총 486명이었고, 1학년 168명, 2학년 174명, 3학년 144명이었다. 연구결과, 먼저 남학생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요인으로 공격성과 비행친구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격성이 높고, 비행친구가 많을수록 가해행동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은 공격성, 비행친구, 자아존중감이 가해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격성이 높고, 비행친구가 많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해행동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지지는 가해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여학생들의 가해행동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녀 학생에 따른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개입을 제시하였으며, 남·녀 모두 공격성과 비행친구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지만 여학생에게는 자아존중감과 교사지지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affecting school violence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486 high school students of the Korea welfare panel 7 data.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ggression and friend delinquency affected school violence behavior for male students. And Higher aggression level and having more friend delinquency appeared to increase school violence behavior. second, aggression, friend delinquency, self-esteem and support of teacher affected school violence behavior for female students. And Higher aggression level, having more friend delinquency and higher self-esteem level appeared to increase school violence behavior. But support of teacher appeared to make a dent in school violence behavior.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 we suggested how to approach for decreasing the school violence behavior i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59-80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4..37.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 나타난 대학생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유아교육과 1, 2, 3학년 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저널쓰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1학년 학생들은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사고와 태도 및 자아중심성에 기초한 실제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간의 차이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2학년 학생들은 갈등, 불안, 두려움 등의 특징이 다른 학년에 비하여 더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졸업을 앞둔 3학년들은 더 나은 곳에 취업하기 위해 교사로서의 자아정체감과 역할을 재확인하고 준비하는 경험 특징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저널쓰기는 자기에 대한 성찰과 내성(introspection)을 가능하게 하여,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대학생활의 지도 및 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lege liv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t's also meant to find out their differences by academic year to shed light on their unique tre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3 students who were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shmen were found to be characterized by egocentrism, positive and active thinking, and gaps between realistic self and ideal self when their school lives and roles. Second, the lives of the sophomores were more characterized by conflicts, anxiety and fear than those of the other students. Third, the juniors who were soon going to graduate led a rational and responsible life by reconfirming their identification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ind a better employment. And then, they were able to reflect on and introspect themselves in the course of journal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5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1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아동상담 의뢰 성공 경험을 통해 의뢰 과정과 의뢰 성공에 기여하는 전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경력 5년 이상인 유아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Creswell(1998)의 질적분석 방법을 따라 의미단위를 도출하고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상담 의뢰 성공 과정은 문제행동의 발견과 확인, 상담 의뢰 준비, 거절과 도전, 성과, 조력과 기대로 구분되었으며, 각 과정에서 사용된 효과적인 상담 의뢰 전략을 도출하여 기술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teachers' successful experience of refering infants with behavioral problems to counseling. The aims of this study are understanding the refering process and the strategies of facilitating the process. The participants were 13 infant teachers who have five or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reswell(1998)'s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result showed that refering process consists of five stages: 'discovering and confirming', 'preparing for refering infants to child counseling', 'being refused and challenging', 'achieving', and 'supporting and expecting'. During the whole stages, the teachers continue to make and change strategies until refering proccess is complet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43-161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결혼만족도와 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이 이들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집한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인 1,70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전반적인 자료 특성 확인을 위해 SPSS 18.0을 활용하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구조모형분석은 AMOS 18.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가 지각하는 결혼만족도는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중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취업유무는 결혼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취업유무에 상관없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어머니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양육태도를 변화토록 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어머니의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자녀 양육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and how their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mothers’ psychological backgrounds such a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depression regard to their employment status. By using sample of 1709 Korean infant-mothers from the 3rd year of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attitude and mothers’ psychological backgrounds with AMOS 18.0.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attitude and the mediating effects through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positive. However, significant prediction of marital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was only founded from working mothers. Results suggest that marital satisfaction play an important role on parenting attitude through mothers’ psychological backgrounds and its relations does not changed by mothers’ employ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were discussed in detai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57-84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모의 특성과,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유아의 언어능력에 관한 연구이다.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문화가정 모의 특성과 유아의 언어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수용언어에서는 한국거주기간, 한국어습득기간, 주 사용언어, 한국어 사용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현 언어에서는 국적, 한국거주기간, 한국어습득기간, 주 사용언어, 한국어 사용비율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용언어와 표현 언어 모두 “한국어 사용비율”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정의 가정환경 변인과 유아의 언어능력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월 소득, 가족형태, 모의 교육관심정도, 부의 교육관심정도, 학습 환경, 부부관계 친밀도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용언어와 표현 언어 모두 “한국어 사용비율”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based on mother's personal variables of multicultural family and home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effect on children language speaking ability. Empirical analysis about the issue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skills of a mock and multicultural differences in infant was examined whether the result in acquiring a residence period of Korea, Korean language accommodate terms in the language used, the ratio used Korean week,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to be that expressive language, nationality,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Korean language, Korean acquisition period, use the injectable rati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fant language skills and multicultural home practice and if you look at the relationship of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use, the highest percentage of Korean influence both. Next, Multicultural home home environment variable was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nguage skills of an infant as the resul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the variables. The multicultural nature of the infant's mother language is defined by the ability to look at the relationships of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use, the highest percentage of Korean influence both.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ercentage, the use of mother's Korean language skills of an infant, also a hig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59-282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9서지정보 닫기
  •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고 경제적인 이유로 최근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고 있다. 맞벌이 부부의 가장 큰 문제는 자녀의 양육이다. 문제는 자녀의 양육이 조부모에 의해서 이루어지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한다. 즉 조부모의 건강이 염려되고, 아이를 키우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도 발생하고, 육아방식에 대한 차이로 인한 갈등도 있다. 한편 아이엄마는 어려서부터 자녀에 관심을 가지고 인성이 바르고 공부 잘하는 아이로 성장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자녀 육아를 엄마가 전적으로 책임지는 것도 힘들다. 따라서 조부모에 의해서 자녀가 양육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찾고자 하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More and more females are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outside their home and the number of parents working outside is on the rise in recent years due to economic reasons. The biggest problem facing the working parents is child-rearing. The matter is further complicated since children are usually brought up by their grandparents, giving rise to a variety of unexpected problems. Namely, the health of grandparents is at risk, they suffer stress in the course of taking care of their grandchildren and they experience conflicts that stem from different ways of child rearing. On the other hand, mothers are interested in bringing up their kids from their early childhood in a way that will bring about good personality and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s. But, it is very difficult for mothers to take on all the burden of bringing up their kids.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seek reasonable alternatives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grandparents are obliged t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83-299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참여 관찰하여 유아들의 놀이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N시의 만 3, 4, 5세 혼합연령반 17명과 교사 2명이었으며, 3개월 동안 총 30회에 걸친 참여관찰과 교사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바깥놀이는 진행과정, 장소, 대상에 따라 놀이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바깥놀이 양상의 의미를 추출한 결과 ‘정서적 만족감 증진’, ‘새로운 놀이에 대한 설렘’, ‘주도적 표현활동’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바깥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aspect of young children's play presented at the outside of by observing their activities, mostly outside activities conducted at Sandeul kindergartens, and establish the meaning of play indicated in their outside play. The research target is 17 students of a mixed-age class with 3-, 4-, and 5-year-olds and 2 teachers of a kindergarten located in N city. As for research method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teacher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pattern of play in their outside play varied depending on the process, place, and the student. Also, the meaning of pattern in their outside play was established as the following: 'improving emotional satisfaction'; 'excitement about new play'; 'self-directed expression activities.' Such findings are significant, since they serve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r outside pla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85-119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맞벌이로 인해 조모에게 영유아 자녀양육을 맡긴 손자녀 양육지원 가정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이들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취업모-조모간 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조모(친정어머니, 시어머니)에게 영유아 자녀양육을 맡긴 취업모 203명이다. 연구방법은 편의표집을 통한 설문조사로 수행되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취업모가 인식한 조모와의 관계의 질은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조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양육특성 중 조모와의 관계유형, 양육을 맡긴 자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특성 중 취업모의 부부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취업모를 비롯한 손자녀 양육지원 가정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과 함께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ived relationships of employed mother with grandmother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in double-earner households. A total of 203 employed mothers in family raising grandchildren who were under 6 years of ag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nam provinc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erceived relationships of employed mother with grandmother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was found to be middle level. It was also appeared that main factors of the perceived relationships were spousal support, relation patterns with grandmother and a numbers of children. This study implies that these factors may be a strategy to enhanc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d mothers and grandmothers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Based on this research, I suggest intervention and intervention plans for family in providing child care by grandmoth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63-183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과학·미술 통합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 그리고 과학적 탐구능력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 유아 총 53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고, 이 중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과학적 탐구원리와 미적요소에 기초한 과학ㆍ미술 통합활동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 과학적 탐구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과학ㆍ미술 통합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 및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문적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여 개별적인 특성만을 강조해온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에서 벗어나, 과학활동에 내재된 미적요소의 체험과 미술활동을 통한 과학적 탐구의 경험을 제공하고,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고 공감하는 협력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 본 활동이 유아기 창의·인성 및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활동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writer focused on analyzing influences of Scientific Inquiry and Aesthetic Factorson creativity, personality, and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For the analysis, 53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years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sorted into Activity or Control Groups; and only subjects in Activity Groups participated in Integrated Art and Science Activity. The data collected from both groups were then analyzed to calculate average score for Creativity, Personality, and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 aspects, along with standard deviations; then ANCOVA was performed, with pre-activity scores as covariat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Integrated Art and Science 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reativity, personality, and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writer, based on the analysis, discussed that such integrated activities provided the children opportunities to explore with an inquiring mind the aesthetic nature of science, to emphasize others’ opinions that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eparated fields of learning could not provide, and therefore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for children as effective tool in improving creativity, personality and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7-56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유치원 평가에 참여하는 다양한 역할의 전문가 의견을 통해, 유치원 평가의 장?단점과 이를 바탕으로 유치원 평가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나아가 유치원 평가의 개선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1, 2주기 유치원 평가에 모두 참여한 공립유치원 교사, 사립유치원 교사, 평가위원, 장학사 각 1인이 한 자리에 모여 논의하는 인터뷰 형식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논의한 내용은 평가지표, 평가방법, 평가 결과 및 활용, 그리고 기타 다양한 내용 등이다.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 3.17점이 나타났다. 해당 분야에서 다수의 경력을 갖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심층적으로 논의하며, 유치원 평가에 대한 평가, 그리고 방향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kindergarten assessment, perform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kindergarten assessment and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and development of kindergarten assessment on the basis of opinions of various specialists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level kindergarten assessment. For the study, the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where 1 public childhood teacher, 1 private childhood teacher, 1 kindergarten committee man to value and 1 kindergarten inspector participating the 1st and 2nd kindergarten assessment were gathered for discussion. The discussion includes assessment index, assessment method, assessment result, usage and other various matters. The general satisfaction about kindergarten assessment was average 3.17 in 5 point scale. Various specialists with the career in the field were gathered to exchange the opinion about kindergarten assessment, perform in-depth discussion, evaluate kindergarten assessment and deduct meaningful result about the direc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85-208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총 189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PASW18.0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기효능감 및 문제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기조절력 및 자기조절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 및 문제행동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 문제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 감소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정서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ion, self-efficacy of preschoolers on their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9 preschoolers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3, 4 and 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self-efficacy and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Second, as for a pervasive trend in problem behavior, attention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that was most affected by cognitive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fficacy. Third, the preschoolers who were better at self- regulation, who had a better self-efficacy was higher showed less problem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make it possible to grasp the personal and internal variables of preschoole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behavio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1-142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컨설팅 당사자인 유아교사들의 컨설팅에 대한 의지, 운영방법, 활용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유치원컨설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 활성화를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 178명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대부분 유치원컨설팅에 대한 의지가 높았으며 컨설팅의 영역 중 수업컨설팅에 대한 요구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영방법에서는 운영단위를 개인별, 유치원별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이나 유치원이 원하는 횟수와 시기에 운영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절한 운영방식 및 컨설턴트는 영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활성화 방안으로는 전문성을 지닌 컨설턴트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에 대한 교원들의 적극적인 자세가 주요한 전제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for kindergarten consult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8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 in the city of Bu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willingness for kindergarten consulting was generally high.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want to take a consulting by an individual or kindergarten and to be operating in the frequency and time were the most desirable. In addition, the appropriate operating system and consultants differed by area. Finally, as a way to enable the securing of consultants with expertis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to change teachers' positive attitude was found to be a major prerequisit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09-234
    * DOI :
    * UCI : G704-000724.2014..84.002서지정보 닫기
  • 이 논문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서비스 목표라 할 수 있는 ‘좋은 돌봄’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구성요소를 찾아내며, 좋은 돌봄을 산출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 탐색했다. 또한 서비스 질을 어떻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부가 채택하고 있는 질 확보 전략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돌봄의 근원적 속성을 탐구한 선행 문헌들을 검토하고 지난 5년간 서비스 제공 경험에서 축적된 서비스 현장의 지혜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담아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좋은 돌봄’은 개개인의 총체적 삶의 질(total quality life)이 가능한 최대로 보장될 수 있도록 단순히 신체적?기능적 욕구 충족만이 아니라 진정한 관심이 결합되어야 한다. 좋은 돌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좋은 돌봄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 관계가 시장규범에 훼손되지 않고, 상호신뢰 및 존중과 진정한 소통으로 돌봄수급자 욕구를 중심에 둔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평가체계는 전면적인 상대평가보다는 시설서비스의 핵심적 질에 대하여는 기관규모별 절대기준 인증체계를 마련하고, 인증기준 이상 부분은 기관마다 자율적으로 특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문 재가서비스 평가는 이용자 만족도, 돌봄종사자 만족도, 재가서비스기관의 사례관리체계 등이 평가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This paper has the objectives to define the concept of 'Good Care' which is the service goal we are aiming essentially for the improvement of long-term care service quality, to find out the components for 'Good Care', and to explore the conditions that create a good care.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the answer about what is the best way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For this, I referred the advanced researches which explored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care and tried to find the answer from the accumulated wisdom of service field through the 5-year long term care service experience. As a result of research, the good care can be defined as helping someone to be able to maintain his own life as maximum as possible with the goal to assure total quality life.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good care is making 'a good care relationship'. Without dam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provider and care receiver, the individualized service focusing on the demand of care receiver based on mutual reliability, mutual respect and smooth communi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evaluation system, it is reasonable to set the standard according to the size of each institution for the core quality of facility service and establish the certification system of absolute standard to carry ou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rather than the relative evaluation in the whole. For the part over the absolute certification standard, it is reasonable for each institution to characterize its own characteristics autonomously and carry out the qualitative evaluation for this. For the evaluation of home visit care service, it is recommended to contain the evaluation contents such as use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care worker, how well the case management system of home care service center is operated etc.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21-249
    * DOI : 10.20970/kasw.2014.66.1.014
    * UCI : G704-000330.2014.66.1.010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기업 규모가 클수록 장애인 고용률이 하락한다는 장애인 고용계의 상식을 상세히 재검토한다. 이러한 상식은 기업 규모와 산업 유형의 교호작용에 대한 고려 없이, 통상적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 연구는 기업규모별 장애인 고용률이 통상적 회귀분석의 가정인 자료의 선형성과 등분산성을 위반한다는 사실을 밝힌 후, 일반 선형회귀모형, 가중회귀모형,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설명하는 데 적합한 모형을 찾고자 했다. 또한 경로모형 분석을 통해 고용률에 대한 기업 규모의 직간접적 효과가 산업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 규모와 산업 유형의 교호작용을 모형에 추가할 경우,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의 기업에 대해 규모는 장애인 고용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업무 환경, 장애인 고용으로 인한 도움, 장애에 대한 배려, 제도/정책에 대한 인지와 같은 요인들이 기업의 규모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의 장애인 고용 연구와 정책 이행에서는 기업의 규모 못지않게 산업 및 방금 열거한 요인들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scrutinizes the common sense in the field of disability employment that the bigger the size of a firm, the lower the employment rat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common sense has been established by conventional cross-tabu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possible interactions between the sizes of firms and the industries in which they operate. This study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disability employment rate violates the linearity and homoscedasticity assumptions of the OLS. In an effort to find models that explain the data better, this study fits the OLS model, the weighted linear regression model, an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as well as the path analysis which is mea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irm size and other variables relevant to disability employment. The result shows that, when an interaction term between firm size and industry is added to the model, firm size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disability employment rate for those firms with 100 or more regular employees, to the contrary of the findings of prior studies. It also demonstrates that other factors such as job setting, the extent of helpfulness of disability employment employers perceive, employers’ care for disability, and employers’ awareness of disability policies may matter more than does firm size. This study proposes that future research and policy implementation for disability employment should pay no less attention to industry and other factors mentioned above than to firm siz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51-276
    * DOI : 10.20970/kasw.2014.66.1.015
    * UCI : G704-000330.2014.66.1.01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 가치에 관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한국적 사회복지 실천 상황을 고려한 사회복지 가치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외 관련 문헌 및 기존 척도를 검토하여 핵심가치를 도출하고,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6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은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521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33개 문항으로 구성한 사회복지 가치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들 문항은 ‘자율성’, ‘평등’, ‘온정적 개입’ 등 세 가지 사회복지 핵심가치를 측정한다. 척도의 신뢰도는 양호하였고, 한국어판 Professional Opinion Scale(POS)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가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irst social work values scale in Korea. Its development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empirical studies on social work values.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of social work values, the examination of codes of ethics as well as existing scales, and the comments from professionals in this field, 62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Preliminary items were evaluated with a total of 521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fields of social work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A ser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tructure of the scale. After deleting 29 items with low factor loadings or being cross-loaded, the scale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with each factor having 11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obtain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was named autonomy, the second factor was named equality, and third factor was named paternalistic inter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social work values scale is found to be reliable and vali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77-306
    * DOI : 10.20970/kasw.2014.66.1.016
    * UCI : G704-000330.2014.66.1.011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