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15]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994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지역의 보육교사교육원 재학생 187명이었으며,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학습성과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과 F검증, 상관분석, 단계별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의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삶의 만족도는 평균 이상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인구학적 변인인 연령과 결혼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및 삶의 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호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삶의 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교육원 교사양성과정 운영의 개선을 통하여 예비보육교사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consist of 187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from a Child Educare Teacher Education Institute in P city.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s from a series of scales, such as the Self-efficacy Scale, the Learning Outcomes Scale, and the Life-satisfa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e PASW 1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cored above average on levels of self-efficacy, learning outcomes and life-satisfaction.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Second, self-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life-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life-satisfaction.. Third, there were meditating effects of life-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 practical methods of enhancing learning outcomes through improving the course of Child Educare Teacher Education Institute we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17-241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주5일 수업제도에서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를 파악하고 정책대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2013년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서 실시한 경기지역 청소년 여가활동 실태조사를 활용하였다. 경기지역 중학교 1, 2학년 청소년 780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조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말에 참여하는 주요 여가활동은 봉사, 문화예술, 스포츠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의 주5일 수업제도 이후에 나타난 긍정적인 변화로는 가족과의 동반시간 증가, 학교생활 즐거움, 친구만남의 확대 등이었다. 반면에 혼자 있는 시간, 사교육시간, 학업 스트레스는 지속되거나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여가활동의 문제점으로는 재미부족, 홍보미흡, 참가비용, 낙후된 시설환경 등이 제기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5일 수업제에서 가족, 학생생활, 친구관계 친화적인 청소년 활동의 활성화, 다양한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 극대화, 창의성과 다양성 증진을 위한 여가활동의 개발, 학교와 청소년활동 기관의 변화와 긴밀한 연계 및 협력 등을 주요 정책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lternatives on social policy and scrutinize the practical conditions of Gyeonggi Province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time at weekend and search the suggestions for leisure activities, since the enforcement of 5-days-a-week school system. For achieving this goals, the authors used the 2013 Survey on leisure activity of youth in Gyeonggi Youth Activity Promotion Center, which surveyed 780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By sequenc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came out. First, youth mainly participated in voluntary activity, art and culture, sports in weeke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ime for leasure increased generally after whole enforcement of 5 days a week school system. The positive change in youth were frequence of activity with family, pleasure in school life, rising opportunity of meeting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of private education hindered good use of their leisure time for youth development due to strenuous academic stress. In addition, introduction of 5-days-a-week school system demonstrated various problems of youth activity. Based on this analysis, the suggestion of authors include collaboration of school and youth activity agency, family-oriented youth activity, and maximization of agency for youth developing of creative youth activity.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11-131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5..41.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복지사들의 중요성 인식과 현재 실행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러한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지역 교육복지사 40명을 대상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수준과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프로그램의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프로그램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상위영역의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의 차이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전략을 수립하고자 IPA matrix 분석결과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social work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current performance of program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order to explore the practical strategy to overcome these differences. To this end, targeting educational social worker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empir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awareness level and performance level of program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differences between awareness of importance and current performance of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is shared.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in the top area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Third, in order to establish a practical strategy to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IPA matrix analysi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33-158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5..41.006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유럽연합이 청소년대상의 기업가정신 교육을 강화하게 된 배경과 주요 국가별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가정신 함양과 실제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분석과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내용에는 첫째, 유럽의 기업가정신 함양교육의 배경이 된 오슬로 아젠다 내용 분석과, 둘째 , 유럽연합 회원국의 기업가정신 함양교육의 실제 파악, 마지막으로 한국에 기업가정신 함양교육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었다. 향후 한국에서 청소년대상의 기업가정신 함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제시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함양교육은, 개인의 진로나 경제역량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국가적, 혹은 더 넓게는 지역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업가정신 함양교육을 위해서는 개인과 기업뿐만 아니라 사회적, 국가적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기업의 대상과 지역을 전 세계로 확장하고 이를 위해 정부 간 협력체계구축과 전담사무국이나 기구의 설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기업가정신 함양교육은 유럽과 한국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사회통합의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섯째, 기업가정신 함양교육과 정책은 민과 관의 주도와 협력 하에 수립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 함양교육은, 모든 아동과 청소년에게 학교교육이나, 혹은 청소년활동을 통해서 실시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and strategies for promo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mong young people in EU. Osler Agenda has been analysed as a cornerston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so this research tried to find how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delivered in practice. Then, important factor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n context was discussed. The outcomes of this paper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the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econdly, there should be a national support system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rd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other countries and regions. Four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play a key role in social cohesion. Fifth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policy have to be set up between public and business network. Final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play better roles when it is provided from the early school age and has to be delivered through both formal education and non-formal educ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65-85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5..41.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자아상태에 따른 사회성, 진로계획, 자원봉사활동 만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남권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며,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총 317부가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조사 대상자의 자아상태가 논리적이고 이성적 유형인 어른자아(A), 호기심 많고 적극적인 자유스런 어린이자아(FC), 사교적이며 상대를 배려 양육적 어버이자아(NP) 유형이 봉사활동을 위한 교육 참여도가 높고, 활동 참여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상태가 사회성, 진로계획, 자원봉사활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어른자아(A), 자유스런 어린이자아(FC)가 사회성, 진로계획, 자원봉사활동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육적 어버이자아(NP), 어른자아(A), 자유스런 어린이자아(FC)가 높을수록 사회성, 진로계획, 자원봉사활동 만족 모두 높아짐을 알 수 있었고, 비판적 어버이 자아(CP)와 순응적 어린이자아(AC)가 높을수록 사회성, 진로계획, 자원봉사활동 만족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sociality, career plan,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ccording to ego states of undergraduate volunteers and by knowing correlation among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sociality, and a career plan.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4 universities in honam and Jeju. Totally 317 copies were used in statistical processing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ego states of survey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y, Adult ego(A) which is logical and rational type, Free Child ego(FC), which is much curious, positive and free, and Nurturing Parent ego(NP) type which is voluntary, social, nurturing, and considers counterpart, demonstrated high levels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for volunteer activity and even in activity particip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ego state upon sociality, career plan,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NP and A, FC. Thus, the higher in Nurturing Parent ego(NP), adult ego(A), and free child ego(FC) increases sociality, career plan,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Plus, higher in Critical Parent ego(CP) and Adapted Child ego(AC) decreases sociality, career plan,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59-182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5..41.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종단자료인 한국청소년패널조사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하여 청소년 비행과 부모감독 간의 종단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비행과 부모감독 관계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은 존재하며, 꾸준한 부모감독은 청소년 비행 참여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청소년 비행과 부모감독의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에서 남녀 집단은 대체로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미미하게 그 영향력 크기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예를 들어, 여자 집단에서 부모감독이 남자 집단보다 더 높고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부모감독이 현 시점의 청소년 비행에 주는 교차회귀효과는 여학생들에게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를 종합하면, 남자 집단에서 부모감독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청소년 비행과 부모감독의 상호 영향력은 여자 집단에서 더 발현된다고 하겠다. 요컨대 적절한 부모감독은 청소년 비행을 줄이는 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히 여자 청소년의 경우 비행에 참여하더라도 부모감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비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nd parental monitoring across gender groups by utilizing data from a Korea Youth Panel Survey. Wit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e explored two ideas: 1) th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parental monitoring and delinquent behaviors, and 2) the difference in these effects among gender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utoregressive effects of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and parental monitoring appeared stable. However, cross-lagged effects between delinquent behaviors among juveniles and parental monitoring in female and male groups were different. In the female group, parental monitoring had a stronger influence on reducing delinquent behaviors than in the male group. In conclusion, parental monitoring is shown to be an influential factor in preventing delinquent behaviors, especially among femal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87-109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5..41.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춘기 성적인 성숙 시기가 여자 청소년들의 적응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 패널의 2~3차년도 자료 중 여아들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여아들의 평균 초경 연령을 기준으로 정상집단, 조숙집단, 만숙집단을 구분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기반을 두어 사춘기 성적인 성숙 시기에 따라 공격성과 학교규범준수 정도에 차이가 있고 이러한 차이가 다음해까지 지속될 것을 가정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분석결과, 사춘기 성숙 시기가 이를수록 공격적 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종단적으로 지속되어 학교규범 준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교차지연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어 발달 시기에 적절한 성교육의 필요성, 개인별 성숙시기를 고려한 관심과 개입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bertal timing on the psychosocial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girls.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was used for analysis. The theoretical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pubertal timing and adjustment of adolescent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level of aggression and school rule compliance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ubertal maturation and the difference would persist until next year.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 was employ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Earlier pubertal timing increases the level of aggression, but has no effect on school compliance. The cross-lagged effect was found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rule compliance for two years. In conclusion,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sex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stages and the necessity of attention and intervention in regard with individual maturation phase was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39-64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5..41.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아동 대상 사회서비스에 대해 제공기관, 제공인력, 이용자 측면에서 주요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사회서비스의 시장화, 규모화, 보편화 수준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2013. 7.15 - 8.20 사이에 경기도 지역사회서비스 제공기관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630개 제공기관 중 213개 아동 대상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응답, 21개 기관 100명의 이용자 응답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서비스 제공기관은 문제아동 심리치료 프로그램인 우리아이심리지원서비스와 독서프로그램인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 제공기관이 가장 많았고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중복?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제공인력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해왔으나 근속기간이 짧고 근로조건은 열악하였다. 이용자는 수급자 보다 비수급자 비율이 훨씬 높았으며 서비스 이용기간과 이용절차 부분에서 불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 외 타 영역 서비스의 개발과 확대, 제공인력 근로조건 개선과 교육훈련, 지속적인 이용자 조사 및 자료관리 등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service for children in regard with service provider, service worker and service user, and examined the level of large-scale market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community-based investment social service. For this, a survey concerning community based investment social service of Gyeonggi do was conducted from 2013. 7.15 ~ to 8.20, and 213 responses from social service for children out of 630 service provider and 100 user’s responses from 21 providers were analyzed. The result was that Wooriai psychological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who ha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 Children cognitive power enhancement program and reading theraphy program occupied the largest part of service providers Even there were lots of cases where two or more service were simultaneously provided. Though the number of providers has increased steadily, their service period was short and working conditions were inferior. Most of the users were not beneficiaries of National Basic Security Act and they were dissatisfied with service usage period and proces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need for exclusive children service program, better working conditon and education, and traing system for service worker and consistent need analysis of user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7-37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5..41.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맞춤형 보육의 한 유형으로서 24시간 보육 어린이집원장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24시간 보육기관의 실태와 합리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적의 맞춤형 보육은 영유아 중심이어야 하지만, 최근 부모의 보육기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아동 양육에 대한 부모 역할의 축소 및 왜곡을 낳고 있다. 이에 영유아복지 측면을 강조한 맞춤형 보육의 개선점으로 장기간 보육기관에서 생활하는 아동발달에 적합한 표준서비스체계를 구축하고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대한 엄격한 제한이 필요하다. 또한, 보육기관 보육료 상향 조정, 야간 근무자 중심의 보육교사 처우개선, 맞춤형 보육만의 재정지원 기준 마련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ctual conditions of 24-hour child care centers and the way to manage customized childcare reasonably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about the director of childcare center. I deal customized childcare is infants centered. However, parents are more dependent on childcare center, so this lessons the role of parents and causes the distortion about it. Therefore, it's necessary to construct the appropriate standard service system for children. Who stay in childcare center for a long time and to introduce the strict time-limit about using childcare center. Also, the study suggests providing more financial support for childcare center,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for day care teachers who work at night mostly and establishing proper standards for financial support of customized childc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31-157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 전통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연구이다. 교사와 부모 571명(교사 48명, 어머니 271명, 아버지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유아전통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려움, 전통놀이 활성화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였다.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부모 간의 알고 있는 전통놀이의 평균 개수와 어려움의 평균 개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험해본 전통놀이의 평균 개수는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높았다. 전통놀이 활용의 어려움은 교사와 어머니는 사전지식이나 자료의 불충분이 높았고, 아버지는 장소의 제약이 가장 높았다. 전통놀이 활성화에 대한 욕구에서 교사는 전통놀이 지도시 인터넷을 참고하였고, 강연이나 연수경험이 전혀 없다는 비율이 높았으며, 전통놀이 활성화를 위해 국가수준의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을 요구하였다. 부모는 학부모 참여프로그램이나 가정과의 연계, 협력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ants’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relation to the Nuri-curriculum. The survey of a total of 571 teachers and parents (48 teachers, 271 mothers and 252 father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ants’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relation to the Nuri-curriculum. Regarding the percep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s of the awareness and the difficulties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but the average experience frequency shows that fathers' figure is higher than mothers'.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play were caused, for mothers, mainly by an insufficiency of preliminary knowledge or materials and, for fathers, by the location restri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lay.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mostly used the internet to teach their children but they had little experience in taking training courses or seminars on Korean traditional play. To revitalize the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play, teacher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a national level, and parents wanted more programs that allowed their participation and they wanted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relation to the kindgarten-curriculu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09-129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451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조직신뢰와 학부모신뢰 구성요인과 그것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영향관계는 보육교사들의 재직기간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보육교사들의 조직신뢰는 투명한 조직운영 그리고 학부모신뢰는 학부모들의 도움과 배려가 가장 중요한 구성요인이며, 조직 및 학부모신뢰 구성요인 모두 그들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재직기간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재직기간이 1년 미만인 교사들의 경우 조직의 능력성, 참여기회 확대, 투명성으로 인한 신뢰가 그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들의 경우 보육프로그램 참여기회 확대로 인한 신뢰만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신뢰의 경우 인지적 신뢰가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학부모들의 정서적 신뢰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s of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on their job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mediation impacts of the period of service in their 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and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study, 451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had impa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lso the teachers’ the period of service in their posi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and their job satisfaction. Most of a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nhancement of the chance of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ay care program management has to be in company with the parents’ emotional support.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ce of participa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mediated by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 par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53-77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특성, 양육방식 및 유아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와 같은 관계가 취업모 집단과 비취업모 집단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탐색하였다. 따라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자료(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의 3차(2010년)부터 5차(2012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연구대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취업모의 경우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적 양육방식에 부적영향을, 유아 문제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양육가치가 긍정적, 통제적 양육방식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양육스트레스가 긍정양육방식에 부적, 문제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취업모의 경우에는 통제적 양육방식을 취할수록 유아 문제행동의 빈도가 높아졌지만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이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취업모의 경우, 양육가치와 양육스트레스가 통제적 양육방식을 매개하여 문제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던 것에 비해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in Korea i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mothers’ employment and child-raising syst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hip in terms of maternal parenting variables - especially those related to parenting knowledge, value of having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tyles which influence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in term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Data from a total of 1,555 mothers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were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for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negatively predicted positive parenting style while it positively predicte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non-employed mothers, value of having children significantly predicted posit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styles. The difference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as found in the prediction of a controlling parenting style; only employed mother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path from a controlling parenting style to problem behavio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59-184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이용하여 어머니와 아버지의 정서적 자녀가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간 관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 1,5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서적 자녀가치는 결혼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자녀가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자녀가치는 전반적으로 양육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아버지의 정서적 자녀가치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스트레스는 결혼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자녀가치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간접효과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s of the emotional value of children of married couples and their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We adopte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to analyze data of 1,582 samples from the four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value of children for both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s of married coupl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 although the emotional value of children for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s negatively influenced on parenting stress overall, only the partner effects of the husband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positively influenced onthemothers’ parenting stress. Third, both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marital satisfaction. Fourth,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ing stress for both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otional value of children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also significant. This study is valuable because it provides us with interpersonal aspects as well as intrapersonal aspects of the value of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79-108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5서지정보 닫기
  • 동화는 유아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정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특히 전래동화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구전되면서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동화 「백설공주」는 유럽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민담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도 가장 많이 읽히는 서양의 전래 동화 중 하나이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프로이트는 사람들이 살면서 겪는 많은 갈등과 문제들이 전래동화 속에 들어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즐겨보는 동화 「백설공주」를 프로이트식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백설공주」를 중심으로 한 통합과정을 제시하여,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한 통합과정의 실제와 함께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동화 「백설공주」는 작품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문학적 가치도 크지만,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육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더 큰 유아교육적 가치를 발산할 수 있을 것이다.

    Fairy tales entertain children and promote mental growth. Especially,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ranscending time and space, espousi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umans. The fairy tale Snow White is a fairy tale that originated from the European context. The fairy tale is one of the traditional Western fairy tale that are frequently rea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Freud, who is known as the founder of psychoanalysis, thought that all the conflicts and problems people experience in their lives are contained in traditional fairy tal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Snow White from the aspect of psychoanalysis and proposed an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Snow White and attempts to identify meaning within an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childhood literature. Fairy tales such as Snow White offer significant literary value but it may display more significant educational value when it is applied to an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85-215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유치원에서 지역별 3%를 집락표본 추출한 후, 유치원별 만 4세 담임교사 1명이 응답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7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운영관리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에는 시설?설비 및 운영방침이 취약하였으며, 환경관리규정조차 전체의 1/3 정도의 유치원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내용 및 실시정도와 관련하여 보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시비율은 자연교육이나 환경교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 재교육과 관련해서는 그 기회나 정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치원에서 바람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치원의 물리적 환경, 운영방침 등 기반 조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교사 재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check Korea kindergartens' state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ur research methodology is to let a teacher of each kindergarten for four-aged children answer the questionnaire after selecting 3% regional intensive samples from all country-wide kindergartens. As the result of analyzing 370 questionnaires, it is found that, in case of operational management, kindergartens have weaknesses in facilities, equipment, and operation policy in executing an effici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also found that only one third of all kindergartens own environmental management rules. Next, compared with nature education or environmental education, a conspicuously low rate of ESD had been conducted if education contents and an extent of its execution are reviewed. Last, an opportunity or extent of continuing education on teachers, in relation to ESD, turned out to be low. Based upon this result, in order to perform a desirable EDS, first, basic condition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operation policy of kindergartens must be improved. And it is simultaneously proposed that an opportunity of continuing education be extensively given to teachers in order to make an execution of EDS possibl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3-52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숲 놀이활동 경험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문제행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K구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03명으로 실험집단에 48명, 통제집단에 55명의 유아를 배치하여 숲 놀이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한 공분산분석 결과 숲 놀이활동은 부모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향상 및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study objective is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s experience in forest play activity affects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3 five-year-old children sampled from a private kindergarten at K district in Seoul, South Korea.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48) and a control group (n=55)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forest play activ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COVA using SPSS 18.0, forest play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a decrease of their problem behavior perceived by their par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1
    * DOI :
    * UCI : G704-000724.2015..90.002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클라이언트 관계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클라이언트 관계경험은 5개의 영역과 7개의 주제, 28개의 하위주제로 이루어졌다. 5개의 영역은 관계의 대상, 관계의맥락, 관계의 영향, 관계의 조건, 관계의 양상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과 클라이언트의 관계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experience ofsocial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s with clients. To achieve this purpose, we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ocial welfare dedicated publicofficials, and analysed the data using by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resultsof study are as follows; the clients relationship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dedicated public officials are figured in the five categories, seven themes and 28sub-themes. The categories are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the relationship',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the conditions of therelationship',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wesuggested some policies and practice guidelines to consider in order to supportth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dedicated publicofficial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9-142
    * DOI : 10.20970/kasw.2015.67.1.005
    * UCI : G704-000330.2015.67.1.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내실화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종단적인 차원에서 개인들의 다층체계 구축 양태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의 다층체계는 분석대상 중 다층보장형(27.7%)과 공적연금중심형(12.8%), 그리고 미준비형(59.6%)으로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둘째, 노동시장지위나 성별, 나이 등 어떠한 요인도 안전한 다층체계 구축을 보증하기 어렵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노후 빈곤 위험집단인 미준비형을 공적연금의 테두리 안으로 포괄할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다층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조건임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heck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in Korea. That iswhy, We analyzed the insured status of people in terms of multi-pillar pensionsystem including National Pension Service, Private Pension, Retirement Pensionover tim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ulti-pillar type’(27.7%),the ‘public pension type’(12.8%) and the ‘insecure type’(59.6%) have been formed. Secondly, any socio-demographic factors like labor market status, gender, age etcetera could not guarantee the pension right for multi-pillar system. As a result,we emphasize that including the ‘insecure type’ into public pension schemes is a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5-237
    * DOI : 10.20970/kasw.2015.67.1.009
    * UCI : G704-000330.2015.67.1.004서지정보 닫기
  •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는 지역자활센터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음주문제와 자활의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281명의 자활사업 참여자가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음주문제와 자활(참여기간, 자활의지)의 관계를 분석한 이변량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활사업 참여기간과 자활의지의 관계는 음주문제 유무에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음주문제가 없는 자활사업 참여자들 사이에서 참여기간과 자활의지는 음(-)의관계를 보인 반면,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들 사이에서 두 변수는 양(+)의 관계를 보였고 그관계는 유의미하였다. 즉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은 자활사업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자활의지가 다소 강해지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음주문제에 따른 자활사업 참여기간과 자활의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기존 연구와 다른 새로운 결과라고 볼 수 있다.

    Although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alcohol problem is widelyrecognized among social workers in the field, it has not been received much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problem and self sufficiency among the participants. A total of 281 participants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problemand self sufficiency were not found in bivariate analysis. However, themoderating effect of alcohol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participants with alcohol problem, the length of participation waspositively related to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The result on the moderatingeffect of alcohol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participationand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has been never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43-163
    * DOI : 10.20970/kasw.2015.67.1.006
    * UCI : G704-000330.2015.67.1.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망자가 많은 한국사회 중에서도 자살률이 높은 농촌지역 자살사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을 둔 자살예방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자살원인을 후향적으로조사하는 심리부검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인에 초점을두며 유가족 지원사업을 병행하도록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심리부검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유가족이 동의한 25사례를 조사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자살위기자의 전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남성노인, 여성노인, 청장년층 귀향자 유형에 따른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살원인과 경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농촌지역 자살의 심리사회적 요인 상호작용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단기별 농촌지역 자살예방 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With the psychological autopsy, an analytical method of backward reasoningfor individual case of suicid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routeof individual suicides in Korean rural areas, which has long had a bad reputationof world-wide high rate of suicide. The compound approach of the study whichcombines the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concerning suicidesimultaneously, is able to make this study clearly distinguished from existingrelated inquires and results. Analysis of 25 suicide cases could make clear the typical characters of riskygroup of suicide in rural area and elucidate the obvious socio-cultural impact onsuicide respective of several suicide type, for example, male and female elderly,homecoming youth etc. Then, the psycho-social interactive model to account forrural area suicide adequately could be established as a final result of the study.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everal counter-plans toprevent the suicide-committing of the risky groups are suggested in short-termand long-term bases as wel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5-81
    * DOI : 10.20970/kasw.2015.67.1.003
    * UCI : G704-000330.2015.67.1.002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