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17]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662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교사들의 조직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37명의 어린이집 교사들이 자신의 교직헌신도와 조직문화인식, 조직몰입의 정도를 평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현원경력이 1년 미만과 3년 이상인 교사가 교직에 헌신하는 정도가 높았으며 법인과 직장어린이집 교사가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들보다 교직헌신도가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와 조직문화인식 및 조직몰입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규범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 그리고 조직문화 중 위계문화와 합리문화에 대한 높은 인식이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s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teaching commitment. The subjects were 23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The teachers rated their own commitment to teaching, their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ir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worked for 1 to 3 years at a child-care center had the lowest teaching commitment among all of the teachers. Also, the teachers who worked at employer-supported and corporate childcare centers showed higher teaching commitment than teachers who worked at private centers. Second,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erceptions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eachers’ normative and emotional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the rational culture and the hierarchical culture of the centers wer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predicted teachers’ teaching commit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1
    * DOI :
    * UCI : G704-000724.2017..102.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청소년 내재화 문제 위험요인 연구 가운데 55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위험요인의 전체 효과크기를 추정하였으며, 개인요인, 가족요인, 또래 및 학교요인, 지역사회 요인별 효과크기를 추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의 전체 상관효과크기는 0.306으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위험요인 하위범주별 효과크기를 보면, 개인요인, 가족요인, 또래 및 학교요인, 지역사회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 하위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결과,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가장 큰 변인은 사회불안이며, 여자에 비해 남자의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연도가 내재화 문제와 위험요인 간 효과크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최근에 출판된 연구물일수록 효과크기가 다소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내재화 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previou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and risk factors through meta-analysis. Studies from 2001 to 2015 in Korea were collected, of these studies 55 eligible studies were finally analyzed. Overall effect size, and each effect size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peer and school factors, and community environment factors were estimated.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in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risk factors was 0.306, which was medium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by sub category individual factors were the largest, next family factors, and peer and school factors were small effect size. The result of moderator analysi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sub-type of internalizing problem Effect size of social anxiety was the largest and male was larger than female. Also, as recent studies had large effect size. No publication bias was fou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ie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85-119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7..49.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직업의식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나타난 집단별 특성변인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4년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연구’의 횡단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4,008명을 대상으로 프로파일 분석 및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적합도지수와 잠재계층분류에 따라 3개 하위유형이 선택되었다. 1유형은 ‘소명적 집단’, 2유형은‘소명-생계중간 집단’, 3유형은‘생계적 귀속주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직업의식은 소명적 집단을 기준으로 했을 때,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낮을수록 소명-생계중간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남학생이 여학생이 비해, 부학력이 높고 모학력이 낮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낮을수록 생계적 귀속주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dolescents’ vocational consciousness by using LPA,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variable per sub-group that appeared in profile. By using the cross-section data of ‘A survey on a Part-time jobs of Adolescents and Policy in 2014’issu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LPA concerning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type and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surveyed 4,008 adolescents from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to seniors in high school nationwid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ree class typ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goodness-of-fit index and latent class classification rate. Second, on the basis of Calling groups, there is higher probability to belong to Calling-Livelihood middle groups, the more they ar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the more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less their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re is higher probability to belong to Livelihood possession principle groups, the more they ar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of their father, the less educational level of their mother, and the less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ased on this study,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and its limitation we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61-84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7..49.003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청소년의 일상긴장과 인터넷사용시간이 사이버비행에 어떻게 영향력을 갖는지를 살펴봄에 있어 사이버비행의 가해뿐만 아니라 피해에의 영향을 다루고 아울러 일상긴장과 인터넷사용시간의 각각의 독립효과이외에 일상긴장이 인터넷사용시간을 매개로 하여 작용하는지, 아니면 두 요인이 통합적으로 상호작용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려고 했다. 이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그것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연령층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려고 하였고 이 분석을 위해 경기도 초, 중, 고등학교 청소년 3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분석결과 사이버비행 가해의 경우는 일상긴장보다는 인터넷사용시간의 영향력이 중요했지만 두 요인은 서로 통합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여 일상긴장, 특히 부모와의 긴장도 높고 또 인터넷사용시간도 많은 청소년들이 가해의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했고 그러한 상호작용효과의 결과는 주로 초등학생들에게서 나타났다. 사이버비행 피해의 경우는 일상긴장은 거의 중요하지 않고 주로 인터넷사용시간이 피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이었는데 특히 초등학생에서 크게 작용했다. 사이버비행 피해의 경우는 일상긴장과 인터넷사용시간의 상호작용효과보다는 중학생의 경우에서 일상긴장이 인터넷사용 시간을 매개로 피해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하기도 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both strain factors and daily internet use time on cyberspace in terms of two-fold actions: offending and victimization. It tests not only both independent effects of strain and daily internet use time, but also strain's mediating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trains and internet use time on both offending and victimization. That is, this study tests whether the effect of strain factors have an indirect effect on cyber delinquency by internet use time and whether cyber delinquency is high when the levels of both strain and internet use time are high.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them across three age group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surveying 353 students in Kyunggi area, results show that in case of cyber offending, internet use time is more important than strain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 effect between strain and internet use time is significa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age group. In case of victimization, the effects of strain factors are not significant, and internet use time is important in explaining victimization especially in elementary students. It i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strain on victimization is mediating by internet use time in middle school student age group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37-59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7..49.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청소년들의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참여경험과 참여 이후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중학교 3학년 때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종결하기까지의 경험이 있는 청소년 3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그들의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연구방법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분석 결과,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신청동기의 경험, 청소년동반자와의 관계 경험,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참여 과정의 경험, 종결에 대한 경험, 종결 이후 청소년내담자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들이 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내러티브 분석 결과에 따라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과 청소년상담자에게 주는 함의와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종결 이후 후속상담과 가족상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t-risk adolescent's experiences with Youth Companion Program and their socio-psychological experienc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Research participants were at-risk adolescents who were 9th graders. In this study, three at-risk adolesc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a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Narrative inquiry is an effective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by capturing their deeper personal stori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emerging themes were drawn from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based on Youth Companion Program. The emerging themes are as follow: 1) the experience o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d in Youth Companion Program, 2) the experiences with Youth Companion Program Counselor, 3) the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the program, 4) the experience of the program termination, and 5) the experience after the termination. The implications on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Youth Companion Program and adolescent clients as well as the limit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7-36
    * DOI :
    * UCI : G704-SER000002119.2017..49.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 및 자아개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간의 관계와 성별에 따른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Y시 7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102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에 의한 마음이론 발달 검사 및 자아개념 검사와 교사가 평정하는 유아교육기관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마음이론 발달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전체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마음이론 발달과 적응 간에 의미 있는 정적 예측관계가 있었지만, 여아의 경우 마음이론 발달과 적응 간에 정적 예측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전체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는 자아개념과 적응 간에 정적 예측관계를 보였지만, 여아의 경우 자아개념과 적응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on their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The subjects included 102 4-year-old children at seven child-care centers in Y city. Data was obtained by interviews that asked about the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through teachers recording their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sing a rat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wo finding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on their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cond, in terms of gender, the boy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were factors in predicting adjustment while girl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were not factors in predicting adjust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75-96
    * DOI :
    * UCI : G704-000724.2017..102.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자기결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및 충청 소재 영유아기관 교사 21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자기결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과 S 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성격강점, 자기결정성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격강점 중 정의와 인간애 그리고 자기결정성의 유능성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성격강점 중 초월성, 지혜, 지식과 자기결정성의 관계성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자기결정성은 성격강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변인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racter, self-determination on life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finall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between character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we conducted survey to ask about thos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in Seoul metropolitan and Chung-chong region then collected about 214. The collected dates was analyzed using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and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The results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It revealed that the character, self-deter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are related each other. Second, the factor which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was the justice, humanity of the character and competence of self-determination strongly in a order. On the other hand, the factor which negatively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was the wisdom & Knowledge and The transcendence of the character and also relatedness of the self-determination. In conclusion, the process positively considering the competence of self-determination for using character strength effectively need to put into the educational program, training for teacher and pre-teacher course and also it can help to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3-50
    * DOI :
    * UCI : G704-000724.2017..102.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성발달 및 혼합연령 경험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두 곳의 만 3~5세 유아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자유선택활동 중 혼합연령 경험 놀이를 8주 동안 매일 1시간씩 제공하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동일연령 환경에서 놀이를 제공하였다. 먼저 실험 전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발달에 관해 살펴본 결과, 남아에 비해 여아가 전체 인성에서와 나눔, 배려, 질서, 정직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연령에 따른 유아의 인성은 만 5세가 가장 높고, 만 3세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형제가 있는 유아가 형제가 없는 유아보다 인내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험 후 혼합연령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인성이 비교집단 유아의 인성보다 나눔, 배려, 예절, 인내, 존중, 질서, 책임, 협력, 정직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합연령 환경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경험으로도 유아의 인성이 발달한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유아의 인성은 체험적으로 습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seeks to find persona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preschool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mixed-age experience to the preschooler’s persona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125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in two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had been studied. Som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re given the mixed-age experience play among children’s free choice play activities for an hour daily during the period of 8 weeks, whereas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re given the same age experience play. The result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entire preschoolers before experiment is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female preschooler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preschoolers in share, consideration, order and honesty as well as whole personality. The personality depending on age is highest at five years old and lowest at three years old, and children with siblings show higher patience than those without siblings. Later, after 8 weeks of experiments, the children with mixed-age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hare, consideration, courtesy, patience, respect, order, responsibility, cooperation and honesty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Thus, preschooler’s personality can be developed through free choice play activity in a mixed-age environment. In other words, preschooler’s personality can be acquired through experie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1-141
    * DOI :
    * UCI : G704-000724.2017..102.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0차년도 자료의 미취학자녀를 둔 537가구를 대상으로 영유아의 교육?보육서비스 이용현황과 서비스 선택 결정요인을 교차분석, 다항로지스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아버지 학력, 연령, 어머니 연령, 취업유무, 자녀수, 연령, 가구소득에 따라 첫 번째 이용기관 선택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2번째 3번째 중복이용선택에는 어머니의 취업과 자녀 연령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아이사랑 바우처 이용으로 인해 유치원, 어린이집 선택비율이 높았으며, 사교육비, 보육비 지출이 높을수록 유치원 선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녀 연령, 사교육비와 보육비지출, 모의 취업여부 등이 교육?보육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나열식이 아닌 전문점 형태의 맞춤형 교육·보육서비스지원 형태 확대, 교육?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보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s’ decision in choosing education and care services for their young children. The data of 537 families were obtained from 10th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analyzed using chi-square and multi-logistic regression. First, selection of the first service provider (institu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thers’ educational degree and age and mothers’ age and working conditions. The number of children, children’s ages, and family income also played meaningful roles in choosing the first service. Only mothers’ working conditions and children’s ages were remarkabl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cond and third services. Second, Asarang boucher, cost of private education, and extra cost for childcare were important factors for parents in deciding kindergartens or other services. Third, it was revealed that children’s age, cost of private education, extra cost for child care, and mothers’ working conditions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support of customized education and child care services ensuring the public service is needed, and also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nd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care servi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97-120
    * DOI :
    * UCI : G704-000724.2017..102.007서지정보 닫기
  • 본 실태조사는 G광역시에 소재한 11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17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음악 교육환경, 음악활동의 실시정도를 파악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4-7세의 인지적 수준과 음악에 대한 포괄적 이해능력을 측정하고자 개발된 유아음악적성 검사도구(Musical Talent Test, 2000)를 본 연구자가 27문항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유아의 음악적 능력은 직장어린이집, 유치원, 민간어린이집 순으로 높았고, 정규시간 음악수업 시수에서는 주4회 이상, 주2회 적용 시 높았으며, 특별활동 음악수업의 경우에서는 주3회 이상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활동방법에서는 노래부르기 활동이 음악감상/노래부르기 활동에 비하여 음악적 능력 중 고저능력과 화음능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래부르기 활동 시 사용하는 매체로는 CD/영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음악교육 시수, 방법을 포함하는 음악교육환경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기초적인 실증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ren music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and current musical activity. The target population is 175 5-year-old children from 11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metropolitan city. We developed 27 items for our questionnaire based on the “Musical Talent Test, 2000” which tests the perception level of children aged 4 to 7 and their comprehension of music.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musical ability of the young children was determined with a keyword at the education institution. The workplace nursery earned the highest score, and the kindergarten and the private nursery placed 2nd and 3rd, respectively. In the case with the keyword and the number of regular lectures, 4 times a week or more was higher than 4 times a week or more. In the cas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4 times a week or more earned the highest score. Second,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of musical activities, the singing activity was higher than the listening activity in terms of the pitch and harmony. Moreover, we examined the use of a CD player and video in the singing activity. Singing was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improve the musical ability of 5-year-old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51-74
    * DOI :
    * UCI : G704-000724.2017..102.006서지정보 닫기
  • 어린이집에서의 CCTV 설치?운영과 관련하여 CCTV 설치가 아동의 안전사고 및 아동학대 예방과 근절을 위한 가장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대안인가에 대한 논의를 규명하는 것이 우선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논란 속에서 이미 CCTV 설치가 의무화 방안으로 시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CCTV 설치여부의 당위성과 합법성을 논하기 보다는 본 연구에서는 관련 법률(헌법, 영유아보육법, 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 개인정보보호법, 정보공개법, 정보공개법시행령)의 검토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짚어보고, 보다 나은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함이 주된 연구목적이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어린이집 CCTV 설치?운영이 아동안전 및 아동학대 예방이라는 ‘공공복리’를 위한다는 대주제에 적합한 조문이라면, 이에 따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은 반드시 법률로 규율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보육교사에 대한 권리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선언적이고 포괄적인 규정이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규정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CCTV 운영(열람, 재생, 영상정보 처리)에 있어서 교사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절차를 구하는 등 최소한 근로자인 교사의 기본 인권과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법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CCTV의 운영과 관련하여 보다 명확한 관리운영 범위 및 규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보육교사를 포함한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아동학대와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컨설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닌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CCTV installations in a child care center are used for operations.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at the CCTV installation are primarily for operations. This study is a discussion of the most rational and desirable alternative to apply for a accident prevention and eradication of child abuse. However, in this study, rather than discussing the necessity and legality of whether the CCTV installed at the present time, the already CCTV installation is performed with mandatory measures in controversial laws such as the Constitution, Infants Care Act, Enforcement Rules to Act on Infants Car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These controversial laws point out the problems reported through the review and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research for better management. We propose the following few improvements. First, the child care center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provisions for child safety and preventing child abuse is called "public welfare", whereby personal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imitations of self-determination must be legislated by law. Second, public welfare must be presented in a more clear and specific declaration and comprehensive regulations in order to prevent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the child care teachers. Third, it should be made easy to prevent the violation of basic human rights and the right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worker, by seeking the procedure of smooth communication of teachers when operating a CCTV(viewing, playback,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Fourth, operation of the CCTV will be given a more specific range and control regulations. Fifth,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and consulting for child abuse and prevention should be conducted for child care staff, includes child care teache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43-162
    * DOI :
    * UCI : G704-000724.2017..102.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실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실습생으로서의 권리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학습권 및 노동권 관점에서 이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인터뷰(FGI)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총 19명의 실습생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권리인식은 총 5개의 범주 및 18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및 실습기관은 실습생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거나 미흡하였다. 둘째, 실습참여 학생들은 실습 현장에서 훈련생이자 노동자로서의 이중적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실습생들은 훈련생으로서 적절한 지도와 교육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실습생들은 현장에서 실질적인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당한 보상 및 안전문제 노출시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해 불안함과 부당함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실습생의 권리보호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실습기관 및 학교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학생들의 권리보호를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rights of students who are unde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s trainees, in the aspect of the rights to learn and the rights to work, in particular. This study utilized FGI method, and a total of 18 trainees participated. As a result, awareness of students who joined social work field practicum was reduced to five categories in total and 19 sub-categories. The results is as following. First, social work field trainees did not aware of their rights. Second, the field trainees were taking the role with double positions as a trainee and a worker, and experiencing confusion and difficulties thereof. Third, they were not provided proper instructions as trainees, and feeling burden therefrom. Fourth, even though the students were providing actual labor at the field, they felt anxiety and unfairness because they were not properly protected when they were faced with issues regarding reasonable reward and safety. Fifth, due to such difficulties, students were demanding that field organizations and schools make positive efforts to improve awareness about protection of the rights. Based on such results, offered basic data for field training improvement plans and intended to explore alternative plans for improvement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47-174
    * DOI : 10.20970/kasw.2017.69.1.007
    * UCI : G704-000330.2017.69.1.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연구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 장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40대 성인 기혼 남?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과 SNS 중독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의 완전 혹은 부분 여부를 경쟁모형 비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을 비롯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완전매개 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 매개모형에서 사회자본 크기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신의 사회자본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집단이 작게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과정과 결혼불만족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경로의 효과 크기를 더 크게 인식했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중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 대 면과 SNS 사회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 간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resulting from marital dissatisfaction and loneliness is influenced by gender or size and composition of social capital. 714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40’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online research center with quota sampling based on demographical proportion. To analyze this research model,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verified that the loneliness moderated between marital dissatisfaction and SNS addiction.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is insignificant, comparison of competition model was able to determine if mediating effect was fully or partially shown. As a result, the complete mediated model was ultimately chosen because its various goodness-of-fit index including performed fairly well. Second, the mediating effect which moderates social capital size was presented in the mediated model between the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Specifically, It implies that group who recognizes their social capital big recognizes the route and effect size more than that who considers their social capital small.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depending on different type of social capital among the marital dissatisfaction and loneliness and between SNS addiction was substantiated. It implies that disequilibration of SNS social capital in face-to-face sphere and in online acted as a danger fact with respect to the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23-254
    * DOI : 10.20970/kasw.2017.69.1.010
    * UCI : G704-000330.2017.69.1.011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형성과 경로를 ‘사회복지’ 담론의 작용과 결부시켜 분석해보고, 그에 따른 쟁점 현안을 설명해보려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경로의존적 변화와 분기점 분석 접근을 채택했으며, ‘사회복지’ 용법의 담론적 기호와 맥락들에 대한 추출은 법제적 역사 자료들을 중심으로 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을 제시한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 담론이 태동되는 기점은 1961년 「생활보호법」제정 때이다. 둘째, 1987년을 기점으로 하는 사회복지관 사업 확장 및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채용은 ‘사회복지’ 담론이 전달체계를 통해 제도적 형성을 이룬 사건이다. 셋째, 근래에 이르기까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경로적 변화는 큰 틀에서 이 같은 담론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채 내적 확장과 조정의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넷째, 2015년을 전후로 해서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기축 제도들에서 탈‘사회복지’ 용법이 가시화되고 있다. 결론적으로는, 이것이 1960년대 이래 지속되어온 ‘사회복지’ 담론의 해체를 뜻하는지, 그렇다면 그에 기반한 전달체계의 조직과 인력, 전문성 요소들에 대한 정향이 보다 근원적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Korean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ts pathway, from which the pending issues are to be discussed on the organizations and personnel of the delivery system using the word ‘social welfare’ with its related discours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s chosen as the perspective to explain path-dependent change and critical juncture, and various legislative data are used as the indicative signals for the discourse of ‘social welf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rm ‘social welfare’ began to be institutionalized in Korea by the enactment of Livehood Protection Law(1961). Second, the policies by the year 1987 of expanding social welfare center and introducing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as civil servants form a critical juncture which makes the social welfare discourse realized as the institutional realities. Third, until the year around 2014, the system has not changed in the perspective of macro framework. Fourth, currently the system shows several signs of severe turmoil, which might lead to dismantle the system of ‘social welfare’ discourse. To conclude,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explaining organizations and personnel composing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by the usage of discourse analysis, treating it as an analytical ent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75-197
    * DOI : 10.20970/kasw.2017.69.1.008
    * UCI : G704-000330.2017.69.1.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종단적 시각에서 손자녀 돌봄 유형과 중·고령층 여성의 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여성노인의 노후생활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2차년도 자료부터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손자녀 돌봄 유형을 돌봄지속, 돌봄전이, 돌봄중단, 미돌봄으로 구분하고 이 유형들이 50대 이상 중·고령층 여성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손자녀를 돌보지 않는 여성에 비해 손자녀를 돌보다가 중단한 여성일수록 좋은 신체건강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손자녀 돌봄 경험은 여성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손자녀 돌봄 유형이 중·고령층에 있는 여성의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손자녀 돌봄을 제공하는 여성노인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 및 제고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Korean women in later lif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and the health of women who aged above 50 years old. Focusing on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providing care of grandchildren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waves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and regression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women who stopped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physical health status in later life than those who providing no care between the second wave to the fourth wave of the KReIS(p < .05). In addition, women who have continuously provided care for grandchildren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physical health status at marginally significant level.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and women‘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the different finding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and physical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based on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providing care of grandchildren. Lastly this paper discuss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r and social welfare practition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9-77
    * DOI : 10.20970/kasw.2017.69.1.003
    * UCI : G704-000330.2017.69.1.009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개념적 모델로서 지원생활모델을 소개하고, 이의 한국 장애인복지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원생활모델의 개념 및 그 의미, 원칙을 살펴보고, 이 모델이 먼저 도입된 서구 서비스 현장에서 보고된 지원생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함께 다룸으로써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지원생활모델이 발달장애인 자립에 적용되는 실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영국의 지원생활네트워크와 호주의 지원생활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영국과 호주에서 개발?사용되고 있는 지원생활 매뉴얼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난 지원생활 실천의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개념적 모델로서 지원생활모델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제도적, 기관, 이용자 차원에서의 향후 적용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가능성과 함의를 논의한 연구로서, 향후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main concepts of Supported Living(SL) model, very few of which hav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 Korea, explore the potential to employ SL model, and draw the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S.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al background, main concepts, and principles of SL model, compared SL with supported housing and explained the features of SL model. Additionally, this study reviewed SL schemes in the UK and Australia to understand how SL schemes impact the lives of people with DD. Furthermore, this study addressed the contents of SL manuals used in the UK and Australia and identified the core aspects of SL practi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L as the conceptual model for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SL model in S. Korea in terms of the national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D, service agencies, and service us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SL model as a conceptual model for the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D, potentials to employ SL model, and its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 Korea. SL model and its application showed that SL model is effective and flexible in supporting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 Findings and implications regarding SL model could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upported living system to improve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57-283
    * DOI : 10.20970/kasw.2017.69.1.011
    * UCI : G704-000330.2017.69.1.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의 장기요양서비스 제도적 맥락 속에서 발생한 시장화와 공존하고 있는 공공성의 관점에서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서비스의 낮은 생산성과 시장화로 가중된 저임금노동시장의 문제가 서비스 질 저하를 가져온다고 추론한 것이지, 근로조건과 서비스 질의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한 것이 아니다. 본 연구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제도적 맥락에서 본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과 서비스 질과의 이론적 관련성은 Daly와 Lewis(2000)의 돌봄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조망하였다. 자료는 전국에 있는 노인장기요양시설을 소유권을 중심으로 비비례층화표집하여 248개 조직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다시 인터넷 자료와 병합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 가운데 3개 영역에서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부가급여가 존재할수록, 교육 및 훈련을 지원할수록 서비스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규제하는 노동시장정책과 평가제도상의 최소기준을 넘어서는 조직의 규범적 차원에서의 근로조건과 보상체계가 장기요양서비스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working conditions for care workers on the care qualit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particularly the coexisting perspective on publicness and the marketization of Long-term care services in South Korea brings about. Prior studies have not identifi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the care quality, only explained cause of a low-wage labor market and low productivity of social services. Theoretical relevance of working conditions and service quality on Long-term care in Korea is to view from a integrated care model by Daly and Lewis(2002). A non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consider Long-term care facility's ownership. A merged dataset combining surveys from 248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online resources from NHIC administrative was used and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s is showed as follows. Overall, organizations with better working conditions, having higher wage, having greater a fringe benefit, being skills development and training are likely to have good care quality in each area.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working conditions, rewards and support to care worker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normative dimension beyond the minimum standard on labor market policy and evaluation system by government regulat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Long-term care qual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3-57
    * DOI : 10.20970/kasw.2017.69.1.002
    * UCI : G704-000330.2017.69.1.007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1950-70년대 한국 아동복지의 전개 상황을 『동광』이라는 한국 최초의 아동복지 전문지를 통해 사회사 관점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즉 기독교아동복리회 한국연합회가 1957년부터 1979년까지 발행한 『동광』으로부터 의미 있는 주제를 이끌어내어 사회사 관점으로 해석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설중심구호 시기(1957-61)에는 사회편견 속의 고아양육, 외원과 기독교에 치우친 사회사업, 신앙에 기반한 시설중심 케이스워크로 드러났다. 둘째, 가정중심보호 시기(1962-69)에는 사회복지 전반을 고민하며 제도화의 발돋움, 사회사업의 전문성 대두, 시설의 아동과 종사자를 위한 과제, 아동을 위한 실천의 통합화 기대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확대 시기(1970-79)에는 아동의 교육 및 보건 강화, 탈시설화의 거론, 외원기관의 철수 대비, 정부의 소극적 대응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 welfare between 1950s and 1970s in the light of Children’s Light as the oldest profess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in Korea. This journal had been published by CCF Superintendent Korea Conference from 1957. Particularl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social historical perspectiv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three periods, institution-centered care era(1957-1961), home-centered care era(1962-1969), and expanded services era(1970-1979). Finally, the resultant themes are as follows: firstly, orphans’ forster under social prejudice, social work inclined to Christianity, and institution-centered social casework based on faith; secondly, development of systematization on the whole social welfare, rising of social work professionalism, tasks for orphans and workers in orphanages, and expectations on the integration of practice; and thirdly, strengthening of children’s education and health in the institution, questioning on deinstitutionalization, preparation against withdrawal of foreign aid agencies, and the government’s passive correspondence. Unfortunately, this study limits to reveal the children’s services by non-Christian agencies because of the data based on the services by Christian agenc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9-32
    * DOI : 10.20970/kasw.2017.69.1.001
    * UCI : G704-000330.2017.69.1.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케어와 이민의 관련성에 관해 서구에서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한국의 경험이 이러한 연구 성과들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이 논문은 케어, 이민 그리고 그 둘의 결합, 이렇게 세 영역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했다. 케어는 다면적 개념이며 따라서 다양한 접근방법이 가능하다. 특히 케어를 사회적 재생산 노동으로 정의할 때, 케어는 개인과 가족 차원을 넘어 복지국가의 다양성과 진화의 경로를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계화와 국제이민의 맥락에서 케어 개념은 복지국가와 사회정책 연구에 있어 방법론적 국가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그간 축적된 증거들은 계급, 젠더 그리고 인종 등과 같은 사회적 실체들의 관계에 대해 초국가적 관점을 적용함으로써만 케어의 사회적 분배 역학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케어와 이민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유럽 복지국가들에서 케어의 이민자화 경향의 광범위한 수렴을 발견했지만, 케어와 이민이 결합하는 구체적 방식은 제도적,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여 다양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케어-이민 결합 연구가 널리 알려진 복지국가(레짐)들의 사례들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의 사례는 새로운 복지국가레짐 유형(소위 생산적/발전주의 복지국가)과 이민레짐 유형(동포이민과 결혼이민)을 기존의 케어-이민의 결합 연구에 포함시킴으로써, 이 연구의 지리적, 이론적 적용범위를 확대하는 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intersection of care and migration in Europe and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Korean case. The paper reviews the three bodies of research: care, migration and their intersections. When defined as social reproductive labour, the concept of care not only captures individual/family level of experiences but it can also be an effective tool to analyse the diversity of the welfare state and the path of its evolution. Furthermore, in the context of globalisation and international migration, the concept of care can help overcome so-called 'the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 the welfare state research. Accumulated evidence shows that only by applying a transnational perspectiv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social realities as class, gender and race, can we properly examine the dynamics of care distribution. Existing care-migration nexus research has found a widely observed trend of the ‘migrantisation of care' in European welfare states; however, the actual modality of care-migration intersection varies reflecting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This is why care-migration nexus research must go beyond the well-known welfare regime types. The Korean case can expand the geographical coverage and theoretical applicability of the intersection research by including a new welfare state regime type (productivist or developmental welfare states) and new patterns of migration (co-ethnic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which were rarely dealt with in this scholarship.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3-123
    * DOI : 10.20970/kasw.2017.69.1.005
    * UCI : G704-000330.2017.69.1.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가 경험하는 양육경험을 바탕으로 그동안 사각지대에 있던 중증뇌병변장애인의 생활을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어머니의 장애자녀 양육경험 연구에서 벗어나 아버지만의 고유한 양육경험을 Giorgi 현상학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 4명이 참여하였고, 일 대 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Giorgi(2004)의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양육경험의 명확한 주제는 ‘숯 덩어리 가슴’, ‘개똥밭에서 살아나기’, ‘삶의 폐허’, ‘현실에 대항하는 자세’, ‘가족 생활양식의 구성’, ‘업(業)으로서의 자녀’, ‘부성 바로 세우기’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의 경험을 통해 장애자녀의 어려움과 구조적 문제들을 논의했고, 사회복지 실천차원에서의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rental experiences of the fathers who reared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Since a brain lesion is considered a lifelong disability, children with brain lesions need the medical and social management through their entire life. Due to the lack of specialized caring servic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for such children, their families are forced to take care of them.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fathers who are rearing the children with brain lesions. For this purpose, four fathers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 to one in-depth interviews. Using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stantial themes were "charred heart", "surviving the hardships", "the ruins of life", "attitude against reality", "the unique composition of family life", "children as fate", "father's love." Based on the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cure the psychological and institutional difficulties and to provide supportive services for the fathers and families who care the children with brain les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9-222
    * DOI : 10.20970/kasw.2017.69.1.009
    * UCI : G704-000330.2017.69.1.004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