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종합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적 지지의 하위 유형에 따라 두 변인의 관련성이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연구 59편을 수집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상관을 바탕으로 효과크기(Hedges’g)를 추정한 결과, 총효과크기는 .744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의 출판편향을 확인한 결과 심각한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특성 변수들(출판연도, 출판유형, 표본수, 성비, 연령대)에 따라 효과크기가 이질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메타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효과크기에서 연령대(청소년, 대학생)가 유의한 조절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종합함으로써,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 따른 차이점을 확인하고 실질적인 제언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meta-analysis in order to synthe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depending on the sub-factor of social support. To carry out this research, effect sizes (Hedges’s g) were estimated based on the correl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from 59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till December 2018 and showed significant effect sizes above .744. To find heterogeneity of effect sizes, meta-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moderators such as study characteristics (i.e., publication year, publication type, sample size, gender ratio, school level). It was verified that school level (adolescents, college students) was a significant moderator for effect size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friends). This study provided a practical suggestion in terms of intervention by identifying the deferences depending on source of social support.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73-19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우울,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과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반면, 자아존중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대인관계문제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과 대인관계문제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예방과 개입 시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우울과 대인관계문제를 함께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youth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by comparing students and out of school youth’s experiences and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76 students and 411 out of school youth.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xperience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out of school youth are a little later to enter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an students, and the field of participation is somewhat different. Out of school youth are participating in short-term rather than students, bu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lso, the satisfaction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mong out of school youth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Second,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youth were enrolled or not. Based on these results, we made policy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for students and out of school youth.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15-14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우울,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과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반면, 자아존중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대인관계문제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과 대인관계문제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예방과 개입 시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우울과 대인관계문제를 함께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data by administering self-esteem, depression, interpersonal probl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ventories to 390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was appli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depressi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NS addiction tendency, but had no direct effects on their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ly, depression had no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hereas interpersonal problem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ir relationship; and finall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consider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s well as self-esteem in interventions to prevent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87-11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다문화 경험, 공감, 비판적 사고성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문화적 민감성이 매개변수로 기능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9개 대학에 재학 중인 사회복지학전공의 2, 3, 4학년 학생 374명이다,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문화적 역량은 평균 3.74이고, 여학생과 3학년의 문화적 역량이 더 높았다. 둘째, 문화적 민감성에는 다문화 경험, 공감, 비판적 사고성향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화적 역량에 대해, 다문화 경험은 문화적 인식?태도, 문화적 지식?기술, 전체 문화적 역량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공감은 문화적 인식?태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화적 민감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은 하위 문화적 역량 및 전체 문화적 역량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적 민감성은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이 이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증진에 관한 이론적 및 실천적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empath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ultural competence, and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sensitiv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4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of 9 universiti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thod for testing mediation effec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an score of cultural competence was 3.74, and female and junior’s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was higher. Second, multi-cultural experiences, empath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fluenced cultural sensitivity. Third, multi-cultural experiences did not influence cultural awareness & attitude, cultural knowledge & skill, and total cultural competence; Empathy influenced cultural awareness & attitude and total cultural competence; Cultu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fluenced sub cultural competence and total cultural competence. Fourth, cultural sensitivity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empath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cultural competence.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페이지 : 1-2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공적 노인돌봄제도가 대상 노인과 부양가족 간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제도의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3차∼1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노인장기요양보험과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수혜자를 실험집단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 이전과 시행 이후 기간에 있어 가족관계 만족도의 변화를 이중차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가족관계 만족도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제도효과의 추정계수 부호가 부(-)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적 노인돌봄제도 수혜자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오히려 가족관계 만족도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 노인들의 가족관계 만족도는 제도효과보다는 혼인상태, 연령, 가구소득, 지역권역 등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돌봄이 필요한 노인에게 배우자가 있는 경우 자녀들의 돌봄부담이 상대적으로 경감되어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공적 노인돌봄제도 수혜자인 노인은 서비스 만족 수준이 높지 않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에 대한 가족돌봄자의 실질적인 돌봄부담을 줄임으로써 대상 노인과 가족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적 노인돌봄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the public elderly care program on the satisfaction of the family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and the family members with care burdens. For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panel data from the 3rd to 12th waves of Korea Welfare Panel, and the beneficiar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the elderly care service were set as treatment group and constructing a control group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en, the change of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enforcement of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for the elderly was analyzed by Difference in Difference (DID) method. Interest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satisfaction of the family relationship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 the sign of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the policy effect was negative(-) and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family relationship was lower in the group of the elderly care giving program beneficiarie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such as marital status, age, household income, region are more important factors for the change of th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of elderly than institution effect. In particular, these results show that if there is a spouse in the elderly who needs care, th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could be increased by alleviating the burden of care for other family members, while the elderly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the public elderly care program do not have a high level of service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and their families by reducing the actual care burden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lderly caring servi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페이지 : 93-11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방임과 학대 양육경험과 비행 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중1 패널자료 중 2차(중2), 3차(중3), 4차(고1)자료를 사용하였고, 활용된 자료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적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부모의 방임과 학대, 학교적응, 비행은 각각 이후 시점의 부모의 방임과 학대, 학교적응, 비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부모의 방임과 학대는 이후 시점의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학교적응은 이후 시점의 비행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교적응은 부모의 방임과 학대, 비행 간의 관계에서 종단적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비행에 대한 개입과 예방을 위해 학교적응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aptation o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neglect and abuse parenting experience and delinquency. For the study, the second (2nd grade in middle school), third (3nd grade in middle school), and fourth (1st grade in high school) data of the Korean Panel on Child and Adolescent Survey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neglect, abuse, school adaptation, and delinquency at the previous tim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rental neglect, abuse, school adaptation, and delinquency at a later point in time. Second, parental neglect and abuse at an earlier time point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future school adjustment. Third, school adaptation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future fligh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adaptatio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 abuse, and delinqu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ool adaptation needs to be considered fo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juvenile delinquenc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45-17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특성을 진로성숙, 진로장벽, 진로활동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진로성숙의 예측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얻어진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해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성숙의 경우 상대적으로 독립성이 높고 진로행동이 낮아, 학교 밖 청소년이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고 준비하려는 성향이 있지만 이것이 직접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기에는 부족한 상황인 것으로 보였다. 진로장벽 중에서는 재정적 제약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여 원하는 진로를 준비하는데 비용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이나 검사 등의 소극적 진로활동에 많이 참여했는데 이로부터 얻는 도움은 적었고, 체험형 진로활동에 참여한 경험은 적은데 비해 도움이 많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진로성숙에는 도구적 장벽과 성차별의 부적 영향력이 나타나, 필요한 정보 및 도움의 부족과 성별로 인한 한계를 완화하는 것이 진로성숙에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진로활동을 통해 도움을 받을수록 진로성숙이 높아졌으며, 전반적인 진로성숙에는 무엇보다 진로활동에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who are addicted to smartphones, and also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was focused on developing a group art therapy based on an analysis of factors causing children’s addiction to smartphones, the delay of gratification theory and other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Then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program was evaluated and analyzed for amendment with the advices of a professional group which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The research group was composed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each with 15 children who had a smartphone and who scored high in high risk and potential risk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 community child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total duration of the program was twelve weeks which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per week for six week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major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rom these results,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whe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is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s, it showed effectiveness on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objectives of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e research may contribute to bring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if the program is consistently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s.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31-6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한국사회의 급격한 산업화와 현대화 과정은 국민들 간의 빈부격차 등의 경제적 양극화문제는 물론 사회구성원들의 정신장애 등 심리사회적인 문제를 가져왔다. 이혼율, 자살률, 약물중독률, 일반 대중을 겨냥한 무차별적인 범죄 등이 폭증하였다는 점은 그 증거가 된다. 아울러 온-오프라인을 통한 각종 무속 서비스나 유사종교가 성행하고 있는 것도 현대 한국인들의 불안한 정신건강상태를 방증하는 근거가 된다. 하지만 정신질환자를 제외한 일반인들의 정신건강문제에 대응한 국가차원의 정신건강상담 서비스나 학술적 연구는 극히 미진하다. 특히 학술분야에서는 특정한 심리치료이론에만 치우쳐진 연구경향이 농후하며, 통합 절충적인 정신건강상담 실천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연구축적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4단계로 구성된 통합 절충적인 정신건강상담 실천모형을 상담 관점과 상담 목표를 중심으로 모색하는 것에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에서와 같다. 첫 번째, 탐색수준단계에서는 인본주의와 실존주의 이론에 배경을 둔 상담 관점과 상담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보았다. 두 번째, 통찰수준단계에서는 정신역동주의와 인지주의 이론에 배경을 둔 상담 관점과 상담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설정되었다. 세 번째, 실행수준단계에서는 인지-행동적 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을 배경으로 한 상담 관점과 상담 목표 설정이 유용한 것으로 설정되었다. 네 번째, 유지수준단계에서는 사회환경체계이론과 강점중심주의적 배경이론에서 상담 관점과 상담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기존의 통합 절충적 3단계 모형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 절충적인 정신건강상담의 새로운 모형으로서의 정신질환자는 물론 일반인들의 정신건강문제를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상담 실천이론과 실천기술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이론적?실천적 함의가 있다고 본다.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brought about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such as the economic polarization of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s well as mental disorders of the members of society. Divorce rates, suicide rates, drug addiction rates and indiscriminate crimes against the general public are evidence of this. In addition, various shamanic services and Pseudoreligion are active on-off-line, which is a basis for demonstrating the unstable mental state of modern Koreans. However, national mental health counseling services and academic researches in response to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ordinary people except mental illnesses are extremely rare. Especially in the academic field,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specific psychotherapy theories, and there is littl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accumulation of integrated eclectic mental health counseling practic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four-step integrated eclectic mental health counseling practice model focusing on counseling perspective and counseling go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the stage of exploration level, it was found useful to set up a counseling perspective and a counseling goal with the background of humanism and existentialism. Second, at the stage of insight level, it was found useful to set the counseling perspective and counseling goal in the background of psychodynamics and cognitive theory. Third, in the stage of action level, counseling perspective and counseling goal setting are set as useful in the background of cognitive-behavioral theory and behaviorist theory. Fourth, in the stage of maintenance level, it is suggested that it is useful to set up the counseling perspective and counseling goal in social environment system theory and strength-centered background theory. These findings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tegrated eclectic three-stage mode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counseling practice theory and practice skill for mental health problems as well as mentally ill patients as a new model of integrated eclectic mental health counseling.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페이지 : 47-9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특성을 진로성숙, 진로장벽, 진로활동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진로성숙의 예측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얻어진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해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성숙의 경우 상대적으로 독립성이 높고 진로행동이 낮아, 학교 밖 청소년이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고 준비하려는 성향이 있지만 이것이 직접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기에는 부족한 상황인 것으로 보였다. 진로장벽 중에서는 재정적 제약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여 원하는 진로를 준비하는데 비용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이나 검사 등의 소극적 진로활동에 많이 참여했는데 이로부터 얻는 도움은 적었고, 체험형 진로활동에 참여한 경험은 적은데 비해 도움이 많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진로성숙에는 도구적 장벽과 성차별의 부적 영향력이 나타나, 필요한 정보 및 도움의 부족과 성별로 인한 한계를 완화하는 것이 진로성숙에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진로활동을 통해 도움을 받을수록 진로성숙이 높아졌으며, 전반적인 진로성숙에는 무엇보다 진로활동에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reveal career traits of out-of-youth with career barriers, career activities and career maturity but to examine predictors of career maturity. For this purpose, 250 out-of-school youth were surveyed by a written questionnaire and gather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2.0 program. Demonstrated in the findings that out-of-school youths were high in independence but low in career-act, they would like to prepare and decide on their career by themselves but were not in the situation of taking action.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y had financial barriers since they feel more cost burden to achieve their career goals. In addition, youths responded that even though they have les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field trips and experience real work places, these activities are more helpful than to receive counseling or to take career aptitude tests. Considering instrumental barriers and sex discrimination appeared to be negative factors of career maturity, it is helpful to lessen those barriers to increase career maturity. The more help from career activitie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eer maturity, and mostly for youths' career maturity, it is very important for out-of-school youth to have positive views on various career related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61-8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중도탈락의도 변화추이를 확인하고, 초기치와 기울기에 미치는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7~9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2,361명이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중도탈락의도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다. 둘째, 개인요인으로 성별과 교외아르바이트유무가, 가족요인은 가정의 소득과 부모의 관여가, 학교요인은 대학소재지, 등록금, 대학만족도, 학업태만, 교수와의 교류, 선후배와의 교류 등 모든 요인이 중도탈락의도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도탈락의도 기울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인요인과 가정요인은 없었다. 학교요인에서는 대학소재지, 등록금, 대학만족과 선후배와의 교류가 영향을 미쳤다. 대학소재지가 수도권에 있는 경우, 대학만족도가 높을수록, 선후배와의 교류가 많을수록 중도탈락의도의 감소율을 더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in the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and to verify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affecting the initial values and inclin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7th ~ 9th year data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 total of 2,361 samples were tes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ime. Second, the initial values of the dropout intention were influenced by individual factors such as gender and presence/absence of out-of-school part time jobs and family factors such as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involvement. All school factors including college location, tuition, college satisfaction, academic neglect, exchange with professors, exchange with seniors and juniors exerted an influence. Third, in the cas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dropout inten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individual factors and family factors. In terms of school factors, college location, tuition, college satisfaction, and exchange with seniors and juniors exerted an influence. When the college i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higher the college satisfaction, the more interactions with seniors and juniors, the lower the dropout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5-3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교수효능감과 좋은 수업 실행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교수효능감과 좋은 수업 실행도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19명이며, 연구도구로는 교수효능감과 좋은 수업 실행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 일원변량분석과 Dunncan 사후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10년 이상의 경력교사와 40대 이상의 연령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년 이상의 경력교사는 좋은 수업 실행도가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좋은 수업 실행도간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일반적 교수효능감보다 좋은 수업 실행도에 보다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여서 좋은 수업 실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바,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프로그램 및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and good teach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verify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good teaching performance. The subjects include 219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kindergartens around Jeolla Provinces. Employed in the research were questionnaires on teaching efficacy and good teaching performance. Collected data was treated with the SPSS 21.0 program to obtai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data was also put to the t-test, one-way ANOVA, Dunncan’s post-hoc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efficacy was high among the teachers with a career of ten years or longer and among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or older. The level of good teaching performance was high among the teachers with a career of ten years or longe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eaching efficacy and good teaching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had more influences on good teaching practice than general teaching efficacy.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keep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supports to promote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nsure good teaching performan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페이지 : 29-4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이중노동시장의 분절구조에 따른 노후소득보장수준의 격차가 공적연금의 다양한 개혁안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특히각 공적연금 개혁안들이 분절된 노동시장에서의 격차를 어떻게 완화 또는심화시키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지난 15년간(2002~2016년)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을 유지해온 두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 집단들의 연금가입기간 등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들을 활용하여 2018년 정부가 제안한 개혁안을 포함하여 다양한 공적연금 설계안들을 구상하고, 각각의 개혁안에 따라 미래 연급수급액 수준 및 격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한국 이중노동시장에서 두 집단의 임금격차및 가입기간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비정규직 유지형은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나 모든 개혁대안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생계급여수준 이하의 연금을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행 제도에서기초연금을 인상하는 경우 이중노동시장의 격차를 완화할 수 있으나 보장성은 여전히 낮았다(대안 1). 다음으로, 소득대체율을 높이고 기초연금도인상하는 경우 보장성이 다소 개선되나 이중노동시장의 격차를 완화하는효과는 다소 떨어졌다(대안 2). 국민연금의 균등부분(A값)을 폐지할 경우정규직 유지형과 비정규직 유지형의 미래 연금 격차는 더욱 커졌다(대안3과 대안 4). 이는 균등부분의 소득재분배 기능을 기초연금이 대체하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의 분절로 인한 노후소득보장격차를 확인하고, 공적연금을 통해 소득격차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개혁안들을 논하였다. 공적연금 제도가 소득보장과 사회적 재분배라는 본연적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중노동시장의 격차 문제를 해소하는동시에 공적연금의 보장성과 재분배기능에 대한 통합적인 고민을 녹여낸연금개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why the number of mental hospital is maintained continuously even after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in view of the absence of a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concepts and types of decision-making support, the admission and discharge system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the special need for decision-making support of the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reviewed in the literature. And Korean procedural support system introduced as th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rights and interest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ases of Britain and Japa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procedural assistance services. First, the scope of the service should be expanded to thos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will receive orders to treat the community. Second, advance medical directive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and the public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prevent infringement of rights and secure service target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ty rights protection system linked to the procedural support service. Fourth, participation of peer support for mental disorder should be expanded. Fifth, procedural support services need to be enacted.
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33-27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환기의 발달장애 학생과 가족이 성공적인 전환을 이루기 위해 각각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Track 1 학생프로그램; Track 2 가족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과 그들의 가족(주양육자 1인) 20쌍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쌍씩 배치한 후, 실험집단에 한하여 학생 프로그램과 가족 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참여가 학생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생이 자신의 자기결정력을 평정한 결과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족의 관점에서 측정한 결과에서는 학생의 자기결정력이 프로그램 참여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이후 두 집단 간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 자녀를 둔 가족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가족역량강화 수준이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환을 준비하는 발달장애 고등학생과 그들 가족의 효과적인 전환준비 과정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Purpos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ransition support program for students and families (Track 1 student program; Track 2 family program), which consisted of the contents required for successfu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wenty pai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udents and their families (one primary caregiver) who enrolled in a special class of high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 pai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o assess the effect of program participation on students and families, the pre-post 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stud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s measured by the family's perspective,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students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program. Thir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family empowermen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direction for the effective transition preparation proces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35-16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2차조사에 응답한 장애인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1,624명을 대상으로 직장요인(직무몰입과 일자리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일자리만족도, 장애수용 간의 각 경로는 모두 정(+)적인 효과를 가졌다.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은 직무몰입, 일자리만족도, 장애수용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몰입은 일자리만족도와 장애수용을 유의하게 높였고, 일자리만족도는 장애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음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에 직무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관계에 일자리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직무몰입을 거쳐 유의하였다. 시사점: 본 연구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잠재변인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선행연구에서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거나 혼용되고 있었던 변수 관계를 재정립하고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간의 관계에서 직장요인(직무몰입과 일자리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disabled employee in term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Method: For this research, 1,624 disable employees, who responded 2nd survey of 2nd wave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were analyzed by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of their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Results: First, all path were positively significant between the four variables: self-efficacy, jog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disabled employees. Self-efficacy positively affected jog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Job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 disabled employees had, the better disability acceptance was formed. As for results about mediation effects, job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Additionally,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via job engagement was critica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Implications: This study had a significance in regard to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uch factors by using latent variables. Also,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redef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hich were not clear or mixed, and found serial multiple medication effect of job factors with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05-13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인고용을 동향분석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장애인 고용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7년 12월 7일부터 2018년 12년 7일까지 텍스톰에서 수집한 SNS와 온라인 뉴스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단어빈도(TF), TF-IDF분석, 연결중심성, 토픽모델링, 감성분석에 대한 N-gram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NS와 뉴스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된 상위 빈도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발달장애인, 일자리, 취업,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 빈도는 연결중심성의 상위순위와도 관련이 있었다. 둘째, SNS의 상위토픽은 ‘기관 고용의무’이며 뉴스의 상위토픽은 ‘편의점 직업교육’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와 뉴스의 긍정감정으로 나타난 상위 N-gram은 협약-체결, 자회사형장애인표준사업장-설립 일자리-창출, 장애인-고용이었다. 반면, 부정감정으로 나타난 상위 N-gram은 장애인고용촉진-직업재활법, 장애인-고용, 장애인-고용의무 등이 있었다. 결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몇몇 기업의 직무개발로 장애인의 고용을 늘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다. 이와 동시에 장애인의 고용에 부담을 느껴 많은 기업이 여전히 장애인 고용에 소극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rection of employment of disabilities. Through the big data to analyze the employment trend of the disabilities. Method: From December 7, 2017 to December 7, 2018, using SNS and online news collected from Textom. The analysis methods were word frequency(TF), TF-IDF, connection centrality, topic modeling, and N-gram analysis for emotional analysis. Results: First, the highest frequency commonly mentioned in SNS and news was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developmental disability, jobs, employment and support. This frequency was also related to the higher ranking of connection centrality. Second, the top topic of the SNS is ‘Institution Employment Duty’ and the top topic of news is ‘Convenience Store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 top N-gram represented by the positive emotion of SNS and news were the convention-contract, subsidiary company for disabled-establishment, work place-creation, disability-employment. On the other hand, the top N-gram of negative emotion were employment promotion for disability-vocational rehabilitation law, disability-employment, disability-employment duty. Conclusion: Big data analysis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employment of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many companies were still passive in employment of disabilities because they felt the burden on the employment of disabilit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55-8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지각하고 있는 감정노동의 정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4년 3월 31일부터 4월 25일까지 약 4주에 걸쳐, 전국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 39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지각하고 있는 감정노동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지각하고 있는 감정노동이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시에 감정노동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감정노동임을 확인하였으며, 감정노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associ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ersonnel. Method: In this study,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efficacy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effects was examined by the Sobel tes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labor had nega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elf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policies and interventions for heightening self-efficacy and alleviating emotional labor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ersonnel.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65-18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사회적 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의 정책적 대응과정 자체를 유형화함으로써 복지황금기 시기의 복지국가 모델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 아니면 새로운 유형으로 재편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그동안 사회적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레짐의 유지 혹은 변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회적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정책적 대응 ‘과정’을 반영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의 정책적 대응과정 자체를 분석단위로 하여 복지국가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점진적인 정책적재조정(recalibration) 과정을 반영했을 때 여전히 복지황금기의 복지레짐은 유지되고 있는지, 아니면 새로운 양상으로 재편되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퀀스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유주의 레짐과 보수주의 국가들 내부에서 분화가 일어나고 있다는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복지국가 레짐의 재편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증세가 필연적이라는 사실과 점진적인제도변화 과정에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재조정하느냐가 관건이라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rinking behavior problems and to compare affecting factors of drinking problems between the first and fourth graders of same university student group but in different development subjects and psychological social contexts.
Participants were full-time 417 students enrolled at five private colleges located in Chung-cheong areas. First, we identified the level of drinking problems of the participa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rinking motives, drinking norms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on drinking proble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63.9% of freshmen and 71.4% of seniors were problem drinkers( AUDIT≥8). Second, social and coping drinking motiv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the freshmen’s drinking problems and coping drinking motives was significant in the seniors’ one. Lastly, descriptive drinking norms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were also significant predictors of both students. Based on major results, we discussed the drinking problems prevention strategies in college and community settings.
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75-30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사회적 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의 정책적 대응과정 자체를 유형화함으로써 복지황금기 시기의 복지국가 모델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 아니면 새로운 유형으로 재편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그동안 사회적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레짐의 유지 혹은 변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회적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정책적 대응 ‘과정’을 반영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의 정책적 대응과정 자체를 분석단위로 하여 복지국가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점진적인 정책적재조정(recalibration) 과정을 반영했을 때 여전히 복지황금기의 복지레짐은 유지되고 있는지, 아니면 새로운 양상으로 재편되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퀀스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유주의 레짐과 보수주의 국가들 내부에서 분화가 일어나고 있다는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복지국가 레짐의 재편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증세가 필연적이라는 사실과 점진적인제도변화 과정에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재조정하느냐가 관건이라는 점이다.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who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to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often experience compassion fatigue due to repeated exposure to suffering and feelings of loss their clients face. This study explored the service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to reduce their compassion fatigu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31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nine oncologists, 10 nurses, and 12 medical social workers) recruiting from five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Participants’ age was 34.68 years old on average (SD = 9.35), and they were currently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to adult (64.5%) or pediatric (32.3%) cancer patients. Results from qualitative data analysis indicate service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to reduce their compassion fatigue fall within the following six service domains: (a) psychological counseling with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ystem of oncology health care services; (b) self-help groups for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c) education for improving stress coping skills; (d) training for building professional expertise and skills; and (e) enhancement of healthy work environment.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service development among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who are critical resources for oncology ca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velop programs that reflect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for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nd thus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s that they provide.
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47-10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사회적 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의 정책적 대응과정 자체를 유형화함으로써 복지황금기 시기의 복지국가 모델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 아니면 새로운 유형으로 재편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그동안 사회적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레짐의 유지 혹은 변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회적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정책적 대응 ‘과정’을 반영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위험 양상의 변화에 따른 복지국가의 정책적 대응과정 자체를 분석단위로 하여 복지국가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점진적인 정책적재조정(recalibration) 과정을 반영했을 때 여전히 복지황금기의 복지레짐은 유지되고 있는지, 아니면 새로운 양상으로 재편되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퀀스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유주의 레짐과 보수주의 국가들 내부에서 분화가 일어나고 있다는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복지국가 레짐의 재편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증세가 필연적이라는 사실과 점진적인제도변화 과정에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재조정하느냐가 관건이라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welfare state model of the golden era is maintained or restructured into a new typology by modeling the trajectory of welfare states’ policy response against changing nature of social risk after the mid 1980s.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maintenance or change of welfare state regime due to the changing nature of social risks,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 the process of policy response itself. In this manner,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welfare state model of the golden era is maintained or restructured into a new typology by categorizing the policy response process due to changing nature of social risks after the mid 1980s which reflect incremental policy recalibration. The result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reveal that the differentiation process is undergoing in liberal regime and conservative regim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of tax rate is inevitable considering the countries that actively responding to new social risks.
Second, it is important to recalibrate interests of social actors during incremental institutional change.
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47-19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이중노동시장의 분절구조에 따른 노후소득보장수준의 격차가 공적연금의 다양한 개혁안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특히각 공적연금 개혁안들이 분절된 노동시장에서의 격차를 어떻게 완화 또는심화시키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지난 15년간(2002~2016년)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을 유지해온 두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 집단들의 연금가입기간 등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들을 활용하여 2018년 정부가 제안한 개혁안을 포함하여 다양한 공적연금 설계안들을 구상하고, 각각의 개혁안에 따라 미래 연급수급액 수준 및 격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한국 이중노동시장에서 두 집단의 임금격차및 가입기간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비정규직 유지형은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나 모든 개혁대안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생계급여수준 이하의 연금을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행 제도에서기초연금을 인상하는 경우 이중노동시장의 격차를 완화할 수 있으나 보장성은 여전히 낮았다(대안 1). 다음으로, 소득대체율을 높이고 기초연금도인상하는 경우 보장성이 다소 개선되나 이중노동시장의 격차를 완화하는효과는 다소 떨어졌다(대안 2). 국민연금의 균등부분(A값)을 폐지할 경우정규직 유지형과 비정규직 유지형의 미래 연금 격차는 더욱 커졌다(대안3과 대안 4). 이는 균등부분의 소득재분배 기능을 기초연금이 대체하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의 분절로 인한 노후소득보장격차를 확인하고, 공적연금을 통해 소득격차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개혁안들을 논하였다. 공적연금 제도가 소득보장과 사회적 재분배라는 본연적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중노동시장의 격차 문제를 해소하는동시에 공적연금의 보장성과 재분배기능에 대한 통합적인 고민을 녹여낸연금개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age of full employment, individual independence through paid work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social value. But dependence was considered to be weakness and irresponsibility.
However, in a time when neither full employment nor stable jobs are maintained, the dichotomy of independence and dependence is no longer meaningful. Presently, new way of dependency is solidarity among people.
This study will show the results of the ‘Comma Project’, conducted by BIKN(Basic Income Korean Network)’ Jeonbuk Network, is an experiment of distribution system of basic income. The Comma Project has informed the general public of basic income in the Jeonbuk area, has received a basic income project application, has selected 4 applicants randomly among 820 applicants, has payed 500,000 won a month for six months, and has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basic income payments to individuals, the interviews of the experiment analyze the effects of basic income on the goals, principles, expectations, and results. Also,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bout how they understood the effects of basic income on happiness, leisure, working motivation, time use, bargaining power, change of diet, relationship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and politics, and education(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01-14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