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mily and school factors as predictors of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in Malaysia. A total of 101 juvenile offenders, 86 at-risk students, and 92 low-risk stud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predict the likelihood of an adolescent being in a group of juvenile of-fenders or of being an at-risk or low-risk student, based on four predictor variables: family structure, family relationships, school relationships, and commitment to learn-ing. The results show that family relations, school relations, and commitment to learning have different predictive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different levels of de-linquent behavior. However, family structure is not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in the logistic regression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keeping young people in school can serve as a strong protective factor that serves to prevent at-risk students from moving along the trajectory of serious delinquent behavior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46-15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paper adopts a longitudinal approach toward examining what lies behind income mobility of older people aged 50 and over in England and aged 45 and over in South Korea over the period between 2006 and 2012, using panel data from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ELSA) an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breakdown of income mobility which takes into account different type of divis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income sources are also performed. The findings reveal that income growth has very little impact on aggregate income mo-bility in England, while it is crucial for the income mobility levels in Korea. There is a great deal of income mobility among single people under the age of 65 in England, while older people who are aged 65 or above and live alone experienced a greater variation in their income over time in Korea. In the case of breakdown of income mobility by income sources, it appears that labor income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mobility in both countries and income from self-employment for Korea and income from social transfers in England also play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income mobili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9-20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Civil Society spaces provide citizens opportunities to frame their collective identities and interests through the formation of voluntary interest groups and organisations set to specific purposes. In the west, historically these interest group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thought that assisted to forge the economic interests of emerging bourgeoisie. This paper situated in the context of India begins with a thematic perspective and reviews the challenges that emerge as a result of the demands that emerge within the civil society space. The paper considered three broad range organizations for this review such as the Narmada Bachao Andolan (Save the river Narmada Campaign); National Alliance for People's Movement (NAPM); and the Self-Employed Women's Association (SEWA). The authors see civil society as a conciliating place―where individual interests appear to mingle with societal require-ments while providing adequate representation to the marginalized groups and ex-pression of concerns around economic and environmental righ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69-17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that have led some of Korea's immigrant work-ers into gambling addiction and examines possible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could support treatment. Immigrant workers' gambling experience as aliens in Korea was analyzed through the methodology of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The partici-pants, who voluntarily consented to the study, were five immigrant workers addicted to gamb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over 6 months, starting in July 2018. The essential themes that emerged in the inter-views were “changing strategies for survival,” “forgetting oneself without any sense of responsibility or shame,” “gambling as routine daily life,” “obsession with making a fortune in one go,” and “no home to return to.” Based on its result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he prevention of gambling addiction in immigrant workers. Further, future research needs to be broadened to analyze nationwide cases of immigrant workers with more diverse demographic background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59-16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어르신정책모니터링단 활동이 참여자의 세대 간 이해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양적연구를 통해 세대 간 인식변화 여부를 검증하고 질적연구로 해당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청년 19명, 노인 34명)의 다른 세대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이후 노인에 대한 청년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 4명과 노인 4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내용 분석한 결과, 청년은 노인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어르신 정책에 대해 노인과 함께 활동하면서 노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반면 노인은 자신들의 경험에 비추어 노인에 대한 청년들의 공경심을 바라고, 위계관계를 고수하였기 때문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정책 등 사회적 이슈를 매개로 운영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세대 간 이해 증진 효과를 뒷받침한다. 향후 세대 간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여러 세대가 함께 사회 쟁점을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eek the effect of a Senior Policy Monitoring Group Project on intergenerational percep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uses mixed methodology,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to do one-group pre/post-test and content analysis. Of 40 participants, 34 of older adults and 19 BSW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for measuring participants’ perception toward other generations. Interviewees for content analysis consist of 4 older and 4 younger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perception changes toward other generations, positive perceptions among younger participants toward older adults increased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ception change among older participants. Results from the content analysis show that younger participants paid no attention to older generations but later on became more award of the capabilities of older adults’ during project activities. Older adults had expectations toward younger generations and they held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 hierarchical relationships toward younger generations. To narrow generational gaps, older adults may benefit from educations that help them understand younger generations. Intergenerational cooperation should be promoted and develop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77-201
* DOI : http://dx.doi.org/10.20970/kasw.2019.71.4.007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가들이 연구의 주체로 현장 사업에 대해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기관의 사회복지 사업 및 이용자에 대해 질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실천가 1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천가들의 질적 연구 경험을 관통하는 핵심내용은 “성찰을 통한 실천원형의 복원”으로, 이는 이용자와 실천가의 관계와 주체성 복원, 이용자의 시선으로부터의 사업의 의미 발견과 재구성, 실천행위와 실천 현장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비판적 성찰을 포함한다. 요컨대 실천가들의 질적 연구 경험은 실천가 개인의 연구 경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양적 패러다임과 신자유주의적 담론으로부터 대안적 실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적 성격과 그 가능성을 내포하는 경험으로 실천적 함의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performing qualitative research on their own field projec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10 practitioners who had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ir program and an inductive subject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main theme is “Reconstruction of the practice prototype through critical reflexivity”, which i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and subjectivity between the client and the practitioner, to discover and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program from the client's aspect, And this includes present and future critical reflection(reflexivity) on social work practice.
In short, the practitioners’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is not limited to their personal research experience, but its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e experience that implies the transitional nature and possibility from the quantitative paradigm and neoliberal discourse to the alternative practice paradigm.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87-11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러시아에서 A국제학교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들의 삶을 직?간접적으로 함께한 어머니의 인식을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국제학교 유치원의 교육적 특성과 가치를 발견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러시아의 A국제학교 유치원에 유아기 자녀를 보낸 경험이 있는 한국인 어머니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이 인식한 A국제학교 유치원의 교육적 특성은 부모참여의 당연성, 실제적 경험교육 지향, 능동적 주체로서의 유아, 다름과 차이의 존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이 인식한 A국제학교 유치원의 교육적 가치는 세계에 대한 예의 ‘배려’, 공존을 위한 ‘다양성’, 가능성으로 이끄는 힘 ‘주도성’, 공동체 유지의 기본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국제학교 유치원 교육을 이해하고 국제학교 유치원 교육에 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의 공급자인 교사, 유치원, 정부가 교육의 수요자인 어머니의 시각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보다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s to fi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an international school kindergart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South Korean mothers living abroad. Nine mothers with children at an international school in Russia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t Y international school were natural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pursuit of practical experience education, infant as an active identity, and respect for difference and deviation. The educational values of mothers at Y international school mothers were consideration for the world, diversity for coexistence, the initiative leading to the possibility and responsibility to maintain a community. These characteristics and values can only be applied to an international school kindergarten an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an international school kindergarten through detailed stories.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teachers, kindergartens and the government provide better and high quality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insights of mothers as potential consumer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01-12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의 초기 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으로, 연구참여자들은 한부모가정의 조부모들로 자녀의 이혼이 3년 미만의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부모가정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족의 생활실태 및 지원에 관한연구들로 조부모의 역할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의 초기 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삶 전체가 이해될 수 있도록 2017년 11월부터 자료가 완전 포화상태에 이르는
2019년 3월까지 약 17개월에 걸쳐 광범위한 영역에 대하여 구체적인 문화기술적 서술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영역구성은 첫째는 한부모가정과 조부모에게서나타난 생활의 변화, 둘째는 한부모가정의 이혼 초기 삶의 변화과정, 셋째는 현실세계에서의조부모의 고민에 대한 영역이며, 마지막으로 한부모가정의 초기 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영역으로 구성 하였다. 본 연구결과 먼저 건전한 정신건강을 위하여 손자녀들에게더 많은 사랑을 베풀고 있었으며, 둘째는 손자녀에 대한 보호자(아빠)와 조부모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었고, 셋째는 자녀(딸)의 사회생활을 위한 후원자로서의 역할수행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상적인 가정생활의 자립을 위한 경제적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한부모가정의 초기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실천적 개입 방향은 첫째는 한부모가정의 자녀(손자녀) 양육에 대한 서비스 제공과 거주공간에 대한 안전이필요하였고, 둘째는 한부모가정의 정상적인 생활을 위한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였으며, 셋째는한부모가정에 대한 지속적인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이 이혼 후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초기 자립을 지원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실천적 개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문화기술적 연구이다.
This study is an ethnographic study for the role of grandparents to support the early independ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Participants were the grandparents of single-parent families whose children divorced less than 3 year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ingle-parent families have studied the living conditions and support of single-parent families, so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role of grandparents. For about 17 months from November 2017 to March
2019, specific ethnographic descriptions were conducted for a wide range of areas. The domain composition in this study is the change of life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grandparents. The scop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change of life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grandparents. Secondly, the process of change of life in the early stages of divorce of single-parent families. Third, the areas of grandparents’ concerns in the real world. Finally, the grandparents who support the early independ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y are giving more love to their grandchildren for healthy mental health, protecting them and serving as grandparents, and supporting their children’s social life. And lastly, they provide economic support for independent normal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practical intervention on the role of grandparents who support the early independ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provide care of parenting and safe living places. Secondly, economic support is needed to live normal life. and third, the need for continuous social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ies is raised. As such, this study is an ethnographic stud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ractical intervention on the role of grandparents to support early independence so that single-parent families can live a happy life after divorc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9-76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2019..66.002
* UCI :
서지정보 닫기
-
Most of the domestic studies conducted on the elderly using the social capital scale use the foreign scale as it is, or amend or supplemen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ocial capital which is embedded in social network or social network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developed social capital scale. Because the members living in the same culture show similar attitudes and attitude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esperate need to study the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in Korea.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components of the elderly social capital scal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ed a preliminary social capital scale consisting of 20 preliminary questions in five areas that were firstly verified by content validity through Group Interview focusing on elderly welfare professionals. Then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surveyed for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followed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to complete the Korean elderly social capital scale consisting of 14 items in four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Korean elderly social capital scale has been verified and developed variously and it will be used as a useful tool when studying social capital in the elderly in the futur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93-11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번 연구는 인구고령화 시대를 사는 노인의 삶의 질 문제를 중심으로 노인 관련 담론의 특징과 시기별 변화 추세를 논의한다. 여기서는 고령사회 관련 핵심 주제어들의 언급빈도와 이들의 상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각종 소셜 미디어를 통해 수집한 온라인 빅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앞서 먼저 고령자의 삶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4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로 명사형 주제어 사전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소셜 빅데이터 분석법의 하나인 웹 크롤링을 통해 시기별로 주제어 언급빈도의 추세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언급량이 많은 상위 100개 빈출단어를 추출해 주제어들 간의 연결 관계를 사회연결망 분석을 적용해 시각화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의 삶의 질과 상관성이 높은 요인은 노인의 경제 상태와 건강?기능 상태이며,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시기를 막론하고 빈곤, 일자리, 치매 등은 가장 두드러지게 공론화된 주제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소외감과 고립감 역시 노인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 문제와 긴밀히 연계되고 있다. 이런 결과는 한국의 많은 노인이 직면하는 빈곤, 질병, 고독이란 문제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으며 전반적인 삶의 질 수준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과거에는 주로 노인 관련 문제의 현상에 대한 단편적 언급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이를 해결할 구체적인 제도나 정책에 대한 담론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아울러 노인들의 적극적인 사회활동참여가 나날이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이들을 수동적인 정책의 수혜자로 바라보던 시각은 능동적인 정책의 수요자로 바뀌는 상황이다. 이상의 소셜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기존의 노인 대상 설문조사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온라인이라는 공론장에서 일어나는 사회 전반적인 여론을 반영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종래의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한 담론의 특징과 변화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isk distribution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future loss of income, and to predict the level and direction of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in Korea in the future. For this goal,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risk distribution and its changes. We calculated the unemployment rates by industrial and occupational status by using the data from the survey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applied them as potential risks for the future of individuals. Risk distributions in 1996, 1998, 2006, 2008, and 2016 are compared to see changes in risk distribu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isk distribution and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to identify if social risks also affect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in Korea. For this goal, the data from 2016 Korea General Social Survey are analyzed.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South Korea's risk distribution, analyzed in terms of exposure to future risks, belong to the low risk group, also suggest that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may be small across society. Second, in terms of changes in the risk distribution, it suggests the overall risk exposure has increased, according to IMF risk, leading to an increase in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In 1998 to 2016 after IMF crisis, the level of risk is reduced and the difference of risk distribution is also large in the form of risk distribution and inequality, which seems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Thir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isk and social security support showed that social risk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 effect on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The facts that a majority, especially middle ranking voters belong to the low risk, and the difference of risk got bigger even though the risk level got lower after IMF risk, suggest some negative aspects of Korea's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However, since many Koreans experiencing the possibility of increased risk at the same time during the IMF crisis, those who belong to low risk may have a great anxiety about the future. Also, considering the relatively high sense of community in Korean society, it is hard to predict that social security support level will be lowered in Korea.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203-22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부행위에 계층인식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계층이동에 대한 인식이 양자 사이에서 어떤 매개적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계층인식은 신뢰감, 심리사회적 안정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기부와 같은 친사회적 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으로 그와 같은 영향은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검토 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이동 가능성을 세대 내, 세대 간으로 구분하여 매개구조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 방법은 잠재구조와 매개구조를 함께 다루기 위해 부분최소자승모형(PLS)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계층인식은 기부행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양자 사에서 매개 효과를 지니고 있음도 관찰했다. 계층인식이 계층이동에 대한 두 변인과 모두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계층이동에 대한 두 변인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은 서로 상반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lass recognition on donation behavior. Also,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perception of social mobility.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social behaviors such as donations due to factors such as social trust and psychosocial stability.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is that such effects could be mediated by the recognition of the possibility of class mobilit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structure by dividing the preception of class mobility into intra-generations and inter-generations. In order to deal with the path structure, this study used the partial least squares model(PLSM). The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donation behavior. We also observ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class mobility had a mediating effect in both companies. Although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variables of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class mobility, the influence of the two variables on donation behavior turned out to be opposit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145-16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음주 또는 약물사용과 같은 중독문제와 중독문제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는 사회복지와 클라이언트 간의 전문적 관계, 사회복지사의 개입방법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독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물질남용에 대한 태도 척도는 알코올을 포함한 다양한 물질 사용의 허용성, 물질을 사용하는 사람과 물질남용에 대한 태도, 물질남용의 치료에 대한 태도 등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권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한국어판 물질남용에 대한 태도 척도에 대한 평가 결과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다. 한국어판 물질남용에 대한 태도 척도는 평가과정에서 원척도의 문항 중 일부가 삭제되었으나 원척도의 5요인 구조를 유지하였다. 한국어판 물질남용에 대한 태도 척도는 유사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하위요인들 간 구분도 명확하여 척도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다만 척도의 신뢰계수의 범위는 .51-.68로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연구에 보고된 수준보다 다소 낮은 편이었다. 척도의 신뢰도는 후속연구에서 재평가될 필요가 있겠다. 후속 연구를 통해서 물질사용에 대한 한국인과 한국 사회의 태도와 분위기를 잘 반영하는 한국형 척도가 개발되길 바란다.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social workers’ attitudes toward substance abuse and substance abusing clients because their attitudes may have impacts on their interventions with clients. The Substance Abuse Attitude Survey(SAAS) is an instrument that include items measuring attitudes toward the permissiveness of alcohol and other drug, attitudes toward substance using people and substance abuse, and attitudes toward substance abuse treatment. A total of 293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satisfactory.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AA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lthough some items of the scale were dropped, he Korean version of the SAAS maintained the sam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SAA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 scale measuring the similar concept and its sub-scales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However, the Cronbach’s alpha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AAS were little lower than alphas reported in social work research articles.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AAS needs to be re-evaluated in the futur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develop a scale that reflects Korean culture and attitudes toward alcohol, cigarettes, and other drug us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41-7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요인들의 영향력을 문제행동이론에 기반하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18년 8월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 중 선정기준에 따라 총 29편이 선정되었고, 위험요인 14개 변인 103개 효과크기, 보호요인 10개 변인 48개의 효과크기, 인구사회학적 요인 4개 변수 18개의 효과크기가 최종 메타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위험요인으로는 개인수준에서 도박동기, 비합리적 도박신념 등의 순으로, 환경수준에서는 주변의 도박자 수와 가족갈등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보호요인으로는 개인수준에서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순으로, 환경수준에서는 가족원간의 정서적 유대, 긍정적 대인관계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도박행동에 있어 위험요인보다는 보호요인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연령이 유일하게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요인군별 이질성에 대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re to be influenced by not onl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but also research on the social welfare phenomena. Based on this insight, this study discussed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from both the perspective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education-first approach) and the perspective centered on social welfare research(research-first approach).
In Korea, certification of social workers has been based on course-completion system in which certificate of social worker can be issued if he or she completed only 14 subjects while in school. The course-completion system has exerted negative impact on the professional prestige of social workers as well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in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long-pending problem, an educational accreditation needs to be introduced but it will require much debate and time. In the short run, strengthening the field education would be both reasonable and realistic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resulted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st important research agenda are social relations and normative criteria need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social relation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radically change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social relations. To establish the identitie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and direc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aced with these great turn, we should stand open socio-political viewpoint rather than deterministic perspectives related with technological changes or population problems or fiscal prospec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페이지 : 233-26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최근 사회복지분야에서 새롭게 소개된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 분석방법(Qualitative interpretive meta synthesis, QIMS)을 적용하였다. 각각의 질적 개별연구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기존 연구물들이 제시하는 결과로부터 축적된 지식과 시너지적 이해로 풍성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분야에 맞는 QIMS의 적용방법 및 특성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표본추출은 국내에서 2000년부터
2019년 1월까지 출간된 학위논문 및 미출판 간행물, 학술지 게재논문 중 총 8편으로 광범위한 연구물을 포함하여 접근하였다. 질적 개별연구물에서 추출된 주제를 통합하여 새롭고 중요한 요소로 해석된 주제는 (1) 죽음의 경험적 해석, (2) 배려와 소망이 담긴 죽음, (3) 죽음을 준비하며 삶의 의미 유지하기, (4) 죽음을 받아들이며 총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통합된 주제들로부터 이끌어낸 시너지적 이해는 한국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은 삶의 경험을 통해 죽음을 이해하며 배려와 소망이 담긴 죽음을 준비하며 삶의 의미를 유지함으로써 다가올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노인의 좋은 죽음에 개입하는 노인복지정책 및 실천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recognition of good death by the elderly in Korea and conducted by applying the newly introduced the Qualitative Interpretive Meta Synthesis (QIM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each qualitative individual research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QIMS for the social welfare field because it can derive rich results through accumulated knowledge and synergistic understanding from the results presented by existing research papers. The sampling was extensively approached including eight dissertations, unpublished publications and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January
2019. The topics extracted from the qualitative individual research paper were integrated, and a total of four categories (1) empirical interpretation of death, (2) death with consideration and desire, (3) maintaining the meaning of life in preparation for death, (4) accepting death. The synergy understanding derived from the integrated themes is that a good death recognized by the elderly in Korea is understood as the acceptance of the future death by understanding the death through the experience of life, preparing the death with consideration and desire, and maintaining the meaning of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and providing social welfare practice services that intervene in the good death of the elderly in Korea.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93-21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이중노동시장의 분절구조에 따른 노후소득보장수준의 격차가 공적연금의 다양한 개혁안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특히각 공적연금 개혁안들이 분절된 노동시장에서의 격차를 어떻게 완화 또는심화시키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지난 15년간(2002~2016년)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을 유지해온 두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 집단들의 연금가입기간 등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들을 활용하여 2018년 정부가 제안한 개혁안을 포함하여 다양한 공적연금 설계안들을 구상하고, 각각의 개혁안에 따라 미래 연급수급액 수준 및 격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한국 이중노동시장에서 두 집단의 임금격차및 가입기간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비정규직 유지형은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나 모든 개혁대안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생계급여수준 이하의 연금을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행 제도에서기초연금을 인상하는 경우 이중노동시장의 격차를 완화할 수 있으나 보장성은 여전히 낮았다(대안 1). 다음으로, 소득대체율을 높이고 기초연금도인상하는 경우 보장성이 다소 개선되나 이중노동시장의 격차를 완화하는효과는 다소 떨어졌다(대안 2). 국민연금의 균등부분(A값)을 폐지할 경우정규직 유지형과 비정규직 유지형의 미래 연금 격차는 더욱 커졌다(대안3과 대안 4). 이는 균등부분의 소득재분배 기능을 기초연금이 대체하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의 분절로 인한 노후소득보장격차를 확인하고, 공적연금을 통해 소득격차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개혁안들을 논하였다. 공적연금 제도가 소득보장과 사회적 재분배라는 본연적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중노동시장의 격차 문제를 해소하는동시에 공적연금의 보장성과 재분배기능에 대한 통합적인 고민을 녹여낸연금개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dual labour market and the level of old-age income security differs according to the pension reform combinations. A simulation analysis of the level of old-age pension income in 2063 was conducted and we analysed whether each alternative intensifies or mitigates the gap in the dual labour market. The Korean Labor Panel is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the wage gap between the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gap in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re very large, which shows that the effect of income protection and redistribution of public pension is limited.
Non-regular workers received pension income below the level of the minimum living benefit irrespective of the reform combinations and the pension gap between regular workers was 3-4 times up to 10 times. If the basic pension benefit rises, the gap in the dual labor market can be mitigated, but the level of protection is still low (Alternative 1). While increasing the replacement rate of national pension benefit and raising the basic pension, the protection is somewhat improved, but the effect of mitigating the gap in the labor market has declined (Alternative 2). The abolition of the equal part of the national pension (A value) further widened the future pension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lternative 3 and Alternative 4).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income redistribution function of the equal part of the national pension with the basic pension. In the future, in order for the public pension system to achieve the fundamental function of income security and redistribut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pension reform plan that solves the gap in the dual labour market in Korea and strengthens the redistribution function of the public pension as well.
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93-23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지난 30여 년간 진행된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이직행동에 관한 연구와 관련해서 비교 및 종합적 차원에서 이에 대한 이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이직행동 주제에 속한 기존 연구들을 체계적 문헌고찰의 방법을 통해 정리해 본다. 연구대상 문헌의 선정을 위해 국내외 주요 사회과학문헌 데이터베이스들에서 사회복지사 이직연구가 보고되기 시작한 1991년 11월부터
2019년 8월까지의 문헌들을 검색하였고, PRISMA의 4단계 권고에 따라 53편의 문헌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고찰은 다음의 과정을 거쳐 진행했다. 첫 번째, 연구대상 문헌들의 일반적 특성인 저자 및 발표연도, 시간속성, 자료유형, 조사기간, 연구대상, 조사지역, 표집방법, 유효표본 크기, 종속변수, 분석방법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 연구대상 문헌들에서 사용된 이직행동 측정도구에 대해 정리하였다. 세 번째, 분석대상 문헌 중 분석모형에 공변량의 통제를 위해 통제변수를 투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28편의 문헌들에 초점을 두고 사회복지사 이직행동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통계적 유의성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문헌들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전체 연구대상 문헌 중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문헌이 46편(87%)이고, 횡단연구를 진행한 문헌이 52편(98%), 연구자가 직접 조사한 일차 자료를 활용한 문헌이 45편(85%), 2010년대 이후에 조사된 자료를 사용한 문헌이 27편(51%), 민간사회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일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문헌이 29편(55%), 특정지역에 한정해 조사가 진행된 문헌이 33편(62%), 비확률적 표집을 실시한 문헌이 38편(72%), 200명이상 400명 미만의 유효표본 크기를 가진 문헌이 32편(60%), 종속변수를 이직의도의 유무가 아닌 이직의도의 수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문헌이 48편(91%), 분석방법으로 다중회귀분석에 기반한 방법을 사용한 문헌이 34편(64%)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행동 측정도구와 관련해서는 전체 분석대상 문헌 중 이직의도에 대한 구조화된 척도를 사용한 문헌이 45편(85%), 이직의도의 유무 또는 이직의도의 수준을 단일문항으로 측정한 문헌이 7편(13%), 실제의 이직행동 유무를 측정한 문헌은 1편(2%)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 이직행동에 대한 영향요인과 관련해서는 일관성을 나타낸 요인들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면, 개인적 요인 중 연령(-), 우울수준(+), 소진(+)과 그 하위차원 중 정서적 탈진(+) 및 비인간화(+) 변수가 일관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및 직무 요인에서는 조직유형(민간사회복지시설 근무의 경우 +), 고용형태(비정규직인 경우 +), 급여수준(-), 클라이언트 폭력경험(+), 조직에 대한 긍정적 인식(-),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변수가 일관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향요인들 중 외부환경요인은 국내 사회복지사 이직행동 연구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다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이직연구들의 속성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체계적 문헌고찰로서 국내 사회복지사 이직행동 연구의 전반적 특성과 기본 내용을 제시하며 사회복지사 이직행동의 주요 영향요인에 관한 포괄적 이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한국 사회복지사 이직행동 연구의 향후 과제들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conduc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systematically buil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social workers’turnover in Korea.. For the selection of literature, this study searched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November 1, 1991 and August 31,
2019 through major social science databases and finally selected 53 published empirical paper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Based on the 53 paper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uthors and the publication year, time dimension (cross-sectional vs. panel) of data, types of data(primary data vs. secondary data), survey period, target population, survey area, sampling method, sample size, dependent variable, and analysis methods. Second, this study summarized methods and tools of turnover behavior measurement from the 53 papers. Third, this paper identified key factors which influence social workers’turnover behavior based on variables’ statistical significance reported in 28 papers which included control variables in their analysis model.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46 studies(87%) were published after the 2000s; 52 studies(98%) utilized cross-sectional data; 45 studies(85%) used primary data; 27 studies(51%) used data collected after the 2010s; 29 studies(55%) focused on social workers working in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33 studies(62%) limited their survey on specific areas; 38 studies(72%) used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in 32 studies(60%) effective sample size was between 200 social workers and 400 social workers; 48 studies(91%) measured level of turnover intention; and 34 studies(64%) used multiple regression method as a analysis. Secondly, in measurement of turnover behavior measurement, 45 studies(85%) used multidimensional scales to measur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7 studies(13%) used a single question to measur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and only 1 study(2%) used a single question to measure actual turnover behavior. Third, relatively consistent factors affecting social workers’turnover behavior were as follows: in personal factor, age(-), depression level(+), overall burnout(+),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of burnou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ganizational and job-related factor, type of organization(+ when working in a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mployment status(+ with temporary employment), pay level(-), experience of client violence(+), positive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in these paper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were very limitedly included in their analysis models to examine social workers’turnover behavior in Korea. As the first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aper, this study contributes to broadening and deepening understanding on social workers’turnover studies in Korea.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74-11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국 사회의 저출산 관련 논의의 내용적 구조를 살펴보고 시기적으로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저출산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시작된이후 한국 사회의 저출산 정책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 검토하고 향후관련 정책의 방향성을 타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난 18년간 저출산을다룬 기사문 약 7만 건을 수집하여 토픽 모델링을 실시하고 추출된 토픽의 시기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저출산과 관련된 논의는 크게 “위기”, “대응”, “적응”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시기적으로 그 중요도가 변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증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저출산 정책이가시적 효과를 거두기 힘들었던 원인을 고찰하였다. 우선, 저출산에 대한 대응이 거시적인 사회경제 문화적 요인들을 포섭하는 정책적 노력으로 이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인구 구조에대한 정부 주도식 관리주의 논리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끝으로, 저출산 사회가 가져올수 있는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과 정책 전략 마련이 필요함을 결론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scourse pattern related to South Korea’s birth-rate decline issue, and the topics that have emerged and their evolution over time since year 2000. The study explores the underlying causes behind policy failure in regards to fertility policy.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methods are used to extract key topics based on 70,000 articles extracted from on-line newspapers. Three key words have emerged, which include “crisis,” “reaction,” and “adaptation.”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the key words’ appearance frequency by year show a steady increase of the “adaptation” related topics whereas the “reaction” topics showed a decreasing pattern. Policy directions are inferr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Measures regarding the low birth rate need to encompass a broader range of issues regarding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that affect individuals’ childbirth decision.
Moreover, there is a strong need to critically reconsider the existing instrumentalist approach led by the Korean government. More expansive research is required to broaden our perspective on policy alternatives to address the declining birthrat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54-176
* DOI : http://dx.doi.org/10.20970/kasw.2019.71.4.006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5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전문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간 관계에서 전문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자기성찰지능은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전문성은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은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을 실행하는데 의미 있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을 위해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n increasing number of older adults use smartphones and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ir usage. This study used Latent Class Analysis to classify the smartphone usage of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using data from the 2017 Korean Media Panel Survey. After categoriz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hree types of users: “multifunctional/active users,” “message-oriented users,” and “passive/limited users.” Each class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ability to use smartphone features such as messaging, the Internet, online banking, online shopping, and advanced features. Each type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ge, socio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and type of residential area.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determined the appropriate social welfare practical intervention plan for each class.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proposes that modified services be provided to each group.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57-8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불평등한 부부간 가사분담은 성 평등한 역할분담이라는 ‘거대한 혁명’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자 결과이기 때문에, 가사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개인의 경제적 능력과 관련한 요인에만 초점을 두었고, 개인의 가치관 측면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기혼 부부의 가사 분담에 개인의 가치관인 ‘성역할태도’가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개인의 성역할태도가 본인의 가사노동시간과 비중에 영향을 미치는지,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서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의 성역할태도는 남편 본인과 아내의 가사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편일수록 본인 가사 참여가 적고, 아내의 가사 비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내의 성역할태도는 남편과 아내의 가사 참여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남편의 성역할 태도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남편이 전통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경우는 아내의 성역할태도는 본인의 가사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비전통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편과 결혼한 아내는 본인 성역할태도에 따라 가사에 참여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의 성역할태도가 배우자와의 평등한 가사 분담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 하는 것을 밝힘으로써 개인들의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제고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중심의 일-생활 양립 정책, 수준 높은 보육과 육아휴직 제공, ‘국가의 성평등 수준 제고’ 자체를 목적으로 한 여러 정책들이 실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Unequal house-sharing has been both a cause and a consequence of the “great revolution” of gender-equal role-sharing, so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housework sharing. However, existing studies focused only on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s economic ability, and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s values or attitudes. 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attitude' on the share of household chores of Korean married coup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usband's own and his wife's participation in housework. Husbands with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showed less participation in their own households and a higher proportion of their wives. On the other hand, the wife's sex role attitude had no direct effect on husband and wife's participation in housework, but it was foun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with husband's sex role attitude. If the husband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he wife's sex role attitud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his or her participation in the household, whereas a wife married to a husband with a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different degree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depending on her gender role attitud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individuals have an equal gender role attitude. As a policy effort, it was suggested that service-oriented work-life balance policies, high quality child care services and parental leave should be provided, and that policies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raising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in the countr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41-6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패널조사의 5차 년도(2017년) 자료의 318명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 낙인감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아존중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함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among youth after school dropout. The participants were 318 youth after school dropout, with data taken from the 5th year (2017)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among youth after school dropout. In addition, a bootstrapping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the depression. Secon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81-10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