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이동성이 사회적 차별경험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장애인 이동성 연구는 주로 주관적 이동지표를 사용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주관적 이동지표와 함께, 핸드폰으로 수집한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출한 객관적 이동지표를 사용하였다. 먼저 2017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출횟수는 사회적 차별경험을 매개로 우울겸험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9년에 수집한 본 연구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도 2017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분석모델에 GPS 데이터로 도출한 객관적 이동지표를 추가한 결과, 일평균 이동거리가 사회적 차별경험을 매개로 우울에 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동이 지니는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이동약자의 이동성 연구와 정책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discrimin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bility and depression among wheelchair users. Previous studies on mobility of the disabled relied on subjective measures of mobility. To address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subjective measures and objective measures based on GPS data from participants’ cell phones were used together. Results of path analysis based on data from “2017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going out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discrimination. When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used, the results were same. The final path analysis estimated a path model adding objective measures of mobility. Results showed that the daily average moving-distance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discrimina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social meanings of mobility need to be considered when scholars and policy makers work on mobility issues of the mobility disabl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135-16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교회학교에서 사역하고 있는 사역자들의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교회가 어떠한 재교육 과정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규교육과정 이외에 이루어지고 있는 비정규적인 ‘재교육’을 중심으로 사례들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는 교회학교 사역자들을 위한 재교육 과정의 현황과 의미들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교회학교 사역자들의 재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 현장자료, 인터넷 검색 자료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총회와 사역 단체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회학교 사역자들의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역자들의 재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네트워크 형성이다. 둘째, 현장 교회의 사역 현실을 반영한 재교육의 수행이다. 셋째, 교회학교 사역자에게 필요한 실용적 내용 구성이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what kind of continuing education process the Korean church is carrying out in order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of ministers in church schools. In particular, cas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focusing on non-regular ‘continuing education’ outside the regular curriculum. Through this, tried to derive how the current status and meaning of the continuing education process for church school ministers are being formed.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ntinuing education of church school minister, field data, and internet search data were mainly analyzed. An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denominations and ministries that are actually carrying out continuing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of church school minister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formation of a systematic network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of ministers. Second, it is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the ministry of the church. Third, the contents of practical continuing education necessary for church school ministers are organiz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 페이지 : 35-5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지역사회 무질서 인식 수준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낙인감과 충동성 각각의 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당시 학업중단 상태였던 32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Model 6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지역사회 무질서는비행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지역사회 무질서가 한 단위 증가할 때, 비행의 위험성이약 2.0배 증가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지역사회 무질서가 비행에 미치는영향을 매개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충동성 수준이 지역사회 무질서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매개했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임감과 충동성이 지역사회 무질서가 비행에 미치는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즉, 지역사회 무질서는 사회적 낙인감을 증가시켰고, 증가된 사회적 낙인감은 충동성을 증가시켰으며, 최종적으로 증가된 충동성이 비행의 위험성을 증가시켰다. 이상과 같은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dividual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tigma and impulsivity and their dual-mediation effect in the influence of community disorder on delinquenc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is study performed analyses with the PROCESS macro Model 6 on a sample of 329 out-of-school adolesc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perceived community disorder positively significantly influenced delinquency. When community disorder increased by one level,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delinquency increased about 2.0 times.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social stigma mediated the influence of community disorder on delinquency.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impulsivity mediated the influence of community disorder on delinquency. Fourth, out-of-school adolescents’social stigma and impulsivity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community disorder on delinquency. The levels of community disorder increased the levels of social stigma, which, in turn, increased the levels of impulsivity and, finall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delinquency. Based on the results, practice implications to address the delinquency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89-11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와 관련하여 발표된 교회교육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목회의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코로나 이후 한국교회는 다양한 교육의 방법을 활용하여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 교회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목회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교회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업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목회의 다섯 가지 주요한 교육과정인 예배, 교육, 교제, 봉사, 전도의 영역에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와야 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예배와 관련하여 신앙의 본질을 세울 수 있는 예배와 올라인 신앙교육을 제언하였다. 교육과 관련하여 가정연계교육과 블렌디드 심방을 제언하였다. 교제와 관련하여 공감의 만남과 인격적인 온라인 교제를 제언하였다. 봉사와 관련하여 기독교적 복지의 실천과 마을공동체와의 협력을 제언하였다. 전도와 관련하여 전도의 당위성에 대한 교육과 종교의 필요성에 대한 공유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rticles of church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and make recommendations for church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After the Covid19, Korean churches have made an effort to overcome the Covid19 crisi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church education to an educational ministr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designing a curriculum for church education based on the paradigm of educational ministry is an essential task. This study discussed what changes should be brought about in the areas of worship, education, fellowship, service, and evangelism, which are the five major curriculum of educational ministry. In relation to worship, all-line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the essence of faith is suggested. In relation to education, church-family linkage education and blended visits were suggested. Regarding fellowship, the researcher suggested empathy education and online fellowship. Regarding service, the practice of Christian welfare and cooperation with village communities were suggested. In relation to evangelism, it was suggested to share the necessity of evangelism and relig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 페이지 : 56-6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2019년 1 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아동 행복 관련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아동 행복과 관련하여 어떠한 이슈들이 시행, 논의되고 있는지를간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아동 행복을 핵심 목표로 하는 제1차아동정책기본계획(2015-2019)에 근거하여 기사를 분류하고 넓은 범위의 텍스트 자료에 잠재된 토픽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기사를 통해 나타난아동 행복은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시혜성 지원과 관련된 내용으로 편중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부 토픽들의 경우 국가의 아동 정책 내용들과 일치하여 지역사회에서 동일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실제로 정책들을현실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정적인 사건, 사고들이 토픽의핵심 내용으로 도출되거나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횟수로 노출되는 이슈들도존재하였다. 넷째, 우리 사회가 아동의 행복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논의가운데 아동의 생각이나 의견은 배제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아동행복을 제고할 수 있는 논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ssues related to children’s happiness by using topic modeling to analyze news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19. Specifically, news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x policy goals of children’s happiness, suggested by the 1st Plan for Child Policy (2015-2019). Latent topics in the news articles were explored in association with the six policy goal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ification of news articles revealed a disproportionately large number of news articles published regarding benefit support for vulnerable children. Second, some of the topics drawn from the analysis aligned closely with the current child policy, indicating that those topics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and implemented in Korea. Third, some topics highlighted negative incidents in Korea. In addition, some policy goals were seldom dealt with in news articles.
Fourth, children’s opinions were exclud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ir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to enhance children’s happines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223-26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rend of public discourse and key issues related to household debt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 analyzed media and academic articl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public discourse. In summary, the main topics of the press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price and exchange rate”, “household debt and assets”, “employment and jobs”, “politics and policy”, and “real estate”. The main topics of the academic paper were classified into “Furniture and Assets”, “Credit and Government Policy”, “Finance and Expenditure”, “Loan, Delinquency and Housing”, and “Real Estate”. When topics were categorized by subject and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on only documents that correspond to “assets and financial status,” the media focuses on card delinquency, savings, and loans to self-employed people. But academic papers focuses both the personal factors such as class, age, education, risk, self-employed persons and the social context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interest rates and housing prices. This study raised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expanding the topics covered by social welfare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 trends related to household debt. In addit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apply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method to household debt research to identify trends and key issues related to household debt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only focused media or research trends, it compares the issues that the media focuses on and the issues that the research group is paying attention to that play a major role in forming a social discours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5-3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탈시설 장애인이 거주시설에서 나와 지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주거이동 패턴의 유형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탈시설 후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2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당사자와 사례담당자에 대한 면접 조사를 통해 출생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주거이동을 조사하였다. 주거이동 패턴은 크게 주거 형태의 이동 패턴과 주거이동의 핵심 동기에 의한 패턴의 두 가지 단위로 분석되었다. 주거이동 패턴을 분석하고 유형화한 결과, 주거 형태의 이동에서는 ‘전환주거를 통한 탈시설 패턴’, ‘그룹홈을 통한 탈시설 패턴’, ‘독립적 탈시설 패턴’, ‘재입소 후 독립주거 패턴’이 도출되었다. 주거이동의 핵심 동기에 의한 패턴은 경제활동, 주거 환경, 가족 형성, 사회적 관계를 핵심 동기로 하는 패턴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요한 주거 형태와 주거이동의 동기에 따라 차별화된 탈시설 지원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에 대한 탈시설 지원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정책적?실천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ovement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left residential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housing movement patterns through a case study method. Twenty-five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after experiencing deinstitutionaliz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ll housing movements from birth to the present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case manager. The pattern of housing movements was classified by two perspectives: patterns by the housing type and the core motives of housing movement. As a result of the typology of housing movement patterns, in terms of the housing type, deinstitutionalization through transitional housing, deinstitutionalization through group-home, independent deinstitutionalization, deinstitutionalization after re-entry patterns were derived. And the core motives of housing movement were categorized as labor particip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family formation, and social rel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support for deinstitutionaliza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 required housing type and motive for housing m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everal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in the support for deinstitutionalization were present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255-29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하여 아동의 인적자본투자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득계층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빈곤가구와 비빈곤가구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2019-2020년의 가계동향조사 분기 자료를 활용하여 이중차이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로 인하여 빈곤 아동 가구와 비빈곤 아동 가구 모두 교육 지출에 대한 감소를 경험하였다. 하지만, 디지털 장치와 문화 오락에 대한 지출은 비빈곤 아동 가구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 및 문화생활과 같은 인적자본에 대한투자가 코로나19로 인해 소득계층에 따라 그 격차가 벌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빈곤 아동 가구를 대상으로 교육격차 및 디지털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공교육 및 지원서비스 확대가 요구되며, 코로나19로 인해 등한시 되고 있는 아동의 문화권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VID-19 on inequality in children’s human capital investment. For this purpose, we used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HIES) quarterly data for 2019-2020, and employed a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o compare child-related expenditures between households with and without children after classifying families into those living in poverty and those that are not. The analyses revealed that households with children, regardless of poverty status, experienced a decline in expenditures on children’s education due to COVID-19. However, expenditures on the digital equipment and cultural entertainment in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households with children not living in pover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pending on income class, COVID-19 contributed to widening gaps in parental investments in children’s human capital, such as education and cultural life, which can affect children’s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various aspects of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public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to reduce the educational and digital divides, and for ensuring children’s cultural rights neglected due to COVID-19.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167-19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코로나 시기, 취약계층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멘토링과 대학 멘토지원사업의 성과를 고찰하고, 이 모두에 참여했던 대학생 멘토의 경험을 이들이 경험한 도전, 성장, 코로나 시기의 멘토 필요역량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위 두 사업에 모두 참여한 12명의 대학생 멘토 전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코로나 시기 대학생 멘토가 경험한 도전, 성장 및 필요역량에 대하여 탐색하기 위해 위 12명 중 자원하는 6명을 모집하여 포커스집단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귀납적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평가결과, 대학생 멘토들의 목표성취도 평균은 4.24점(SD=.47)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별히, 사회복지실천역량과 멘토링 실천기술향상의 목표성취도가 높았음이 확인되었다. 포커스집단인터뷰를 통한 질적조사 결과, 이들이 경험한 코로나 시기 멘토링 및 멘토지원사업에서의 도전영역에서는 무의미한 사전 계획, 상황에 맞는 새로운 지원 필요성, 녹록치 않은 멘티와의 관계 진전 장벽 범주가 도출되었다. 성장영역에서는 눈높이 탐색과 기존 지식의 활용, 서로의 북돋움을 통한 진정한 성숙범주가 도출되었다. 코로나 시기 멘토가 가져야 할 필요역량 영역에서는 적절한 도구와 매체의 활용 필요성, 부딪치고 끌어가는 전문적 맷집 기르기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최종 도출된 주제는 ‘예측할 수 없는 상황과 제한적 기술 및 환경 속에서 여전히 쉽지 않은 사람세우기의 난관을 넘어, 나와 우리가 가진 자원과 지지를 활용해 이룩한 성취를 맛보았고, 끊임없이 다가올 새로운 도전에 대처하는 기술적 증진과 정성어린 관계 역량 필요성을 상기함’으로 정리되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비대면 소통 환경지원, 블렌디드 활동 계획 수립, 온라인 활동을 통한 프로그램 지원, 매체 활용 기술 교육 필요성, 멘티와의 관계유지를 위한 촘촘한 관심과 관찰, 인내심 있는 책임감 등 기초 실천기술 강화, 대학과 지역기관과의 상호성장적 연계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mentoring, college student mentor, mentor support program, program evalu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9-16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아동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보호대상아동 패널구축을 모색하기 위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계?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에서는 총 26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통합패널 구축에 대한 필요성과 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아동 관련 패널의 전반적인 역할과 기능, 통합패널 구축 필요성, 통합패널의 우려점, 통합패널 구축 설계방향, 통합패널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내용, 한국 아동복지 정책 및 실천에서 통합패널의 역할, 통합패널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복지 실천현장과 정책수립에서의 통합패널 필요성과 구축방안 등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lives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how these changes affected their mental health.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in Busan, Korea, and a total of 678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experienced similar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but the caregivers reported more difficulties in mental health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an the children did. Second, the changes that affected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were different.
Specifically, Children’s depression was affected by grade, smartphone addiction level, and strengthening of caregivers’ inappropriate discipline, while their anxiety and stress were affected by gender, smartphone addiction level, and strengthening of caregivers’ inappropriate discipline. Caregivers’ depression was affected by an children’s increased media us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level, strengthening of the caregivers’ inappropriate discipline, and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Caregivers’ anxiety was affected by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level, strengthening of the caregivers’ inappropriate discipline, increased burden in child care, and a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Further, stress was found to be affected by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level, inappropriate discipline, increased child care burden, and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a customized intervention plan is proposed addressing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67-9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지체 장애인의 정보화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연구대상은 지체 장애인 1,402명을 포함하였다. PROCESS macro를 활용한 자료분석 결과, 정보화 수준은 지체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은 지체 장애인의 정보화 수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지체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이들의 정보화 수준과 사회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level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2020’ which was investigat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Korea, this study conducted secondary data analysis and study sample consisted of 1,402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tudy results with PROCESS macro demonstrate that information level posi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ocial capital medic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level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ased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enhancing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y improving information level and social capital.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85-11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5년 이상의 지원 경력을 가진 서울시 여성장애인 홈헬퍼, 경기도 장애인맞춤형도우미, 장애인종합복지관 사례관리사 총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참여자의 일정에 맞춰 개별 또는 소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질적 분석 결과 ‘나를 거부하지만 또 너무 필요로 하는 가족’, ‘내겐 너무 낯설고 어려운 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된 어머니-자녀-나’,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바람’의 4가지 대주제와 14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지적장애 어머니와 가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첫 시도라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family members, having a purpose to figure out their experience and recogn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having supported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0, who are the home helpers of Seoul City with more than 5 years' supporting experience, the custom helpers of Gyeonggi-do Province,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it was condu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or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ir schedule. Every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ose were classified in 4 main-themes(family who denies me and needs me as well, the thing that is very strange and difficult to me, the mother-children-me which is changed as time goes by, wishes for providing the better support)and 14 sub-themes after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is the first meaningful attempt to seek an effective supporting method for the families through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hands-on workers involved in the supporting families having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389-41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포함된 중학생 1,622명을 분석하였다. 신뢰도,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조절효과 검증 방법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을 분석한 결과 평일과 주말 모두 미디어, 게임 및 놀이, 교제활동, 스포츠 순으로 시간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게임 및 놀이, 미디어에 여가시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미디어, 게임 및 놀이, 교제활동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은 평일보다 주말이 더 높았으며,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혼합모형과 남학생 모형에서는 교제활동, 미디어, 게임 및 놀이가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학생 모형에서는 미디어와 교제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과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 관계에서 성별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미디어와 게임 및 놀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제활동과 스포츠는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즉 미디어, 게임 및 놀이 시간이 증가할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행복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ime spent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o this end, 1,622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2019 living time survey were analyzed. To this end, 1,622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2019 living time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on effect verificatio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ime spent by leisure typ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both weekdays and weekends, media, games and play,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spend a lot of time. The female stud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media, games and play, and social activities. Seco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on weekends than on weekdays,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ime spent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mixed model and male student model, social activities, media, games, and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female student model, it was found that media and soci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ender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time of each leisure type and the 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media, games, and play, but not in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as media, games, and play time increased, men’s subjective happ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for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미래 사회경제학적 변화가 사회보험제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사회보험이 성숙하고 안정된 선진국을 중심으로 사회경제변화를 분석하고 사회보험의 기능과 역할변화를 예상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사회보험제도의 존속 가능성을 검증한다. 먼저 사회보험의 존립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변화가 사회보험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소득 양극화와노동시장의 양분화에 따른 사회보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OECD 데이터를 통해 장기적인관점에서 최저임금, 최저연금과 공적부조 추이가 수렴한다는 것을 추정하였다. 먼저 거시적 관점에서 주요 선진국의 사회보장 부담 비율을 통한 조세부담률과 사회보장 부담비율을 확인하였고, 사회보험 부과체제는 소득의 다양화와 모호성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조세체제로 대체하는 압력을받을 수 있으며, 적용 및 부과기준 그리고 급여지급 및 시기에 대한 기존의 기준은 합리성을 잃게되어 사회보험체제는 상당 부분 기능을 상실할 것으로 파악하였다. 기존의 사회보험 체제는 과거사회경제적 상황을 반영하여 사회보장의 중심 역할을 하였으나, 미래 사회에는 적합하지 못할것이라는 데에 연구가 귀결된다. 즉, 미래의 변화에 대하여 사회보험체제는 현재 체제로는 도태되어 소멸될 위험이 높다. 이에 대하여 제도를 개혁하고 적응력을 높이는 진화를 통하여 존립할것인가 기로에 서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보험의 체제 존립을 위한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대안 마련에 노력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The Influence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f mid-age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n wellness level: mediating effects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level of wellness, and retirement preparation of mid-age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and verifies the meditating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n their wel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54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the second wave of the employment panel data for the disabled (2019). For statistical analysis,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level of wellness, and retirement preparation of mid-age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Furthermor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projec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wellness.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subjects was observed to have meditating effect on their wellness as wel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addressing policy considerations to improve the level of wellness for the disabled in later lif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with employment policies for the disabl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aging of the disabl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개발원
* 페이지 : 80-10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재활시설 이용자들이 인식하는 복지서비스 필요도와 충분도를 기반으로, 확충되어야 할 복지서비스의 우선순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정신재활시설 299개소의 이용자 60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정신건강복지법에 규정하고 있는 복지서비스를 소득, 주거, 고용, 교육, 신체 및 정신건강, 사회참여부분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세부 서비스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서비스에서 필요도는 높으나 충분도가 낮은 집중노력 전략이 요구되는 서비스는 소득과 주거 및 고용지원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지서비스에서 필요도와 충분도가 모두 높아 지속유지 전략이 요구되는 서비스는 신체와 정신건강 및 사회참여지원서비스로 나타났다. 셋째 점진적으로 개선할 복지서비스 영역으로는 교육서비스 분야로 인식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 중심의 복지서비스 확충 및 지원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ority of welfare service expansion based on the needs and sufficiency of welfare services perceived by consumers using community rehabilitation ag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607 consumers in 299 community rehabilitation agencies. As stipulated in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MHWA), we divided welfare services into income, housing, employment, education, physical-mental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iority of welfare service expansion, we appl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involving the needs and sufficiency of each welfare services stipulated in the MHWA.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rvices that that are high in needs but low in sufficiency included income, housing,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 requiring intensive efforts and strategies for expansion. Second, services that are high in both needs and sufficiency included physical-mental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support service, requiring continuous effort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ird, welfare services related to education was identified as a service that should be gradually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expand consumer-centered practical welfare servi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111-13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푸코의 사회통제라는 관점에서 정신장애인의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정신장애인실태조사에서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된 성인정신장애인 600명의 자료이여, 통계방법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의 재입원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통제요인으로는 장애등록여부(B=-.486, p<.05), 교육수준(B=.206, p<.05), 가구원수(B=-.309, p<.01), 외래빈도(B=-.251, p<.10)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의 함의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재발 혹은 재입원은 사회통제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일상적 권력의 훈육에 순응할 가능성이 높은 고연령층과 정신장애 등록자일수록 재입원경험이 감소하며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은 재입원경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적 훈육체계인 가구원의 수가 많아지거나 외래 정신의료서비스와의 접촉빈도가 증가할수록 재입원경험은 감소한다. 둘째, 불명확하고 재입원에 의존하는 재발개념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식적 통제도구로 기능하고 있어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재발은 재입원의 필요가 아니라 더 많은 돌봄의 요구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념적 전환을 통해 재발상황은 당사자가 타자의 통제에 순응하는 방식이 아니라 본인의 원하는 방식으로 더 많은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적 도구로 변화해야 한다. 넷째, 사회통제의 도구로서 기능하는 재발개념을 새로운 언어와 개념으로 대체해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readmission of mentally disabilities persons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s social contr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ata of 600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in the National Survey of Mental Disabiliti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control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admission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include disability registration (B=-.486, p<.05), and education level (B= .206, p<.05), number of household members (B=-.309, p<.01), outpatient frequency (B=-.251, p<. 10), etc.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hospitalization experience.
The implications of such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pse or readmission of a person with a mental disabilitie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social control. It was found that the readmission experience decreased for the elderly and those with mental disorders, and the readmission experience for those with a high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A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ncreases or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outpatient psychiatric services increases, the experience of readmission decreases. Readmissions decrease in groups that are likely to comply with the discipline of ordinary power, and readmissions decrease if there are many discipliners or contact frequency. Second, the concept of relapse, which is unclear and dependent on readmission, functions as a knowledge tool to control the mentally disabilities and needs to be reviewed. Third, relapse needs to be reinterpreted as a demand for more care, not a force for readmission. Through this conceptual shift, the relapse situ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an intellectual tool that provides more care in the way the person wants, rather than the way the person adapts to the control of oth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concept of relapse functioning as a tool for social control with a new language and concep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361-38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5년 이상의 지원 경력을 가진 서울시 여성장애인 홈헬퍼, 경기도 장애인맞춤형도우미, 장애인종합복지관 사례관리사 총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참여자의 일정에 맞춰 개별 또는 소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질적 분석 결과 ‘나를 거부하지만 또 너무 필요로 하는 가족’, ‘내겐 너무 낯설고 어려운 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된 어머니-자녀-나’,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바람’의 4가지 대주제와 14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지적장애 어머니와 가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첫 시도라는 데 의의가 있다.
Given low rate of unemployment among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mental health peer suppor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viable job for individuals who are mentally
ill and recove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to train the recovering mentally ill as peer counselors and evaluate the effect of the training. After a review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literature on competencies and curriculums for peer supporters, this study constructed a training curriculum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in peer counselors. The principles of narrative approach, a postmodern counseling and therapy model, were applied as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consisted of theoretical courses (face-to-face counseling, counseling administration, and social solidarity) and practical courses. Fifteen adults with mental illnes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300 hours (10 weeks), taking both pre- and post-surveys and participating in a focus group interview after the training. Results of Wilcoxon's signed-rank test showed that participant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recovery, and mental health confidence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mental health symptoms compared to the levels before their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Thematic analysis identified major themes related to their changes after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such as recovery in daily life, restructuring of personal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of an occupational identity as a peer counselor. This study highlights the efforts necessary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to develop their identity and competency as peer counselors and provides an ecological environment to increase access to stable job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419-45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현장과 사법 판단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행동 범주 및 하위 행동 유형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행동 범주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를 모두 수집?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수차례의 연구진 회의를 통해1차 조사용 델파이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1명의 아동복지 관련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내용 타당도 비율, 전문가 의견 수렴도 및 합의도, 안정도, 평균 및 표준편차, 신뢰도를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적 학대의 행동 범주는 모두‘자극 및 상호작용 차단하기’, ‘무시/거부하기’, ‘겁주기’, ‘모멸감 주기’, ‘위험한상황에 노출시키기’, ‘능력 이상의 무리한 기대와 강요하기’의 6개이며, 각각의행동 범주에 따른 하위 행동 유형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방임의 행동범주는 ‘물리적 방임’, ‘정서적 방임’, ‘의료적 방임’, ‘교육적 방임’, ‘환경적 방임’으로 5가지이며, 각각의 행동 범주에 따른 하위 행동 유형에 대해 타당성을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의 행동 범주와 하위 행동에 대한분석결과는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행동의 맥락과행동 범위 그리고 행동 양상에 대한 이해와 판단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아동보호서비스 과정에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을 분별하여 간과되는 사례가 없도록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relevant behavioral categories and sub-behaviors in determin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hile examining social and judicial criteria to consider the applicability of these categories in the field of child abuse. To this end,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behavioral categorie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as analyzed. Based on this, the first Delphi questionnaire was composed through several research team meeting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with 21 child welfare professionals. Then these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feasibility ratio, expert opinion convergence and consensus, stabilit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reliability.
The six behavioral categories of emotional abuse were “cutting off stimuli and interactions”, “ignoring/rejecting”, “intimidating”, “giving a sense of humiliation”, “exposing to dangerous situations”, and “excessive expectations and coercion of abilities”, and the validity of each type of behavior (in determining that a child is a victim of emotional abuse) was verified. The five behavioral categories of neglect were “physical neglect”, “emotional neglect”, “medical neglect”, “educational neglect” and “environmental neglect”, and the validity of each type of behavior(in determining that a child is victim of neglect) was verified. The behavior categories and sub-behavior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 this study would help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scope, and aspects of behavior in determin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child protection services clearly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do not minimize their seriousness in the assessment proces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101-13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정위탁부모를 대상으로 양육 경험을 심층적으로규명하고 당사자의 목소리로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전문가정위탁의 실현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시범사업에 참여한 전문가정위탁부모를 대상으로 전문가정위탁 부모의 양육 경험을 위탁 시작 동기, 위탁 양육 과정, 위탁 종결 과정 3개의 시점으로 구분한, 총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위탁부모의 시작 동기는 ‘아동에 관한 사랑과 일반위탁의 경험이 전문위탁으로 이끎’, 위탁 양육 과정은 ‘알을 깨고 나오기’, ‘진정한 부모가 되어가기’, 위탁종결 과정은 ‘일반위탁과는 달랐던 전문가정위탁 경험’, ‘종결을 준비하며느끼는 복잡스러운 감정’, ‘전문가정위탁 정착을 위한 필요 지원’등이다. 마지막으로 이 결과에 기반하여 아동복지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deeply into the experience of parenting among specialized foster parents and to explore the suitability of specialized foster care to the Korean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s concerned. Eight specialized foste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pilot project. Six themes were drawn from the following three points in time: motivations for specialized foster care, the foster care process, and the end of foster care. Motivations for specialized foster care included “love for children and experience of general foster care led to specialized foster care.” The foster care process consisted of “breaking the mold” and “becoming a true parent.” The end of foster care consisted of “experience of specialized foster care, which was different from general foster care,” “complex feelings in preparing for the end,” and “required support for specialized foster car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were discuss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133-16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적 삶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자연적 지원에 대한 종사자의 실천 경험을 살펴보았다. 자연적 지원은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욕구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의 자연적 지지자를 발굴하고 연계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자유로운 삶과 다양한 관계를 확장시키는 실천방식이다. 이에 자연적 지원 실천경험이 있는 종사자 10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종사자들은 자연적 지원이라는 새로운 실천방식에 대해 경계와 우려 속에서 지역과의 만남을 시작하지만 점차 자연적 관계의 매개자 역할에 익숙해져 간다. 실천이 진행되면서 종사자들은 지역에서 어울려 함께 살아가는 발달장애인의 모습에 자연적 관계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하며 발달장애인의 새로운 성장을 지켜본다. 이러한 자연적 지원실천의 전 과정은 종사자들이 오랜 관습에서 깨어나 새로운 전문가로 거듭나는 계기가 된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자연적 지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자연적 지원의 확대와 종사자들을 위한 지역기반 실천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actical experience of workers on natural supports that enables them in the reality that the independent life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emphasized in the community. Natural supports is a practice method that expands the free activities and various relationships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in the region by discovering and linking natural supporters in the region based on the needs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workers with experience in natural support practic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workers start meeting with the region in the boundary and concern about the new practice method of natural support, but gradually become accustomed to the role of mediator of natural relationship. As the practice progresses, workers observe the new growth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natural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together in the region. The whole process of this natural supports practice is an opportunity for workers to wake up from long-standing practices and become new experts.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natural supports for people with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based on this,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expanding natural supports and strengthening the regional-based practical capacity for worker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291-32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