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23]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873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 발행처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페이지 : 3-1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사이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전과 충남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2월 1일~2월 10일에 걸쳐 MMS를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SPSS 프로그램으로 기초 통계와 신뢰도를 구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회복탄력성과 전문성 발달수준 사이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전문성 발달수준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긍정성, 대인관계능력, 자기조절능력의 순으로 전문성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전문성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교사효능감을 통하여 전문성 발달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mong them, to suggest a way to increase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MMS from February 1, 2020 to February 10, 2020, targeting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SPSS program was used to obtain basic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te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influence was verifi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between recovery resili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Baron and Kenny's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Sobel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silience, teacher effica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ll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in the order of positiveness,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which are sub-elements of resilience, it affects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in order of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individual teacher efficacy, which are sub-elements of teacher efficacy,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was affected. In addition, the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teacher efficacy, indicating that teacher efficacy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orts not only to improve resilience but also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are necessar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99-127
    * DOI : http://dx.doi.org/10.37918/kce.2023.1.138.99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목적은 유아 부모의 긍정심리자본과 자녀 어린이집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유아가 어린이집에 원만하게 적응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주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실현을 위한 대상은 P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245명과 그들 부모 245명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에게 긍정심리자본, 그릿, 자녀 어린이집생활적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jamovi Advanced Mediation Models(jAMM) 1.0.5 버전을 활용하여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실행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부모의 긍정심리자본은 그릿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 부모의 그릿은 자녀 어린이집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 부모의 그릿은 긍정심리자본과 자녀 어린이집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 부모의 긍정심리자본과 자녀 어린이집생활적응, 그리고 그릿 간의 인과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유아의 어린이집생활적응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앞서 두 변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infant parents and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life. As the study subjects, 245 infants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from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P city.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rit, and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life for the study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version 2.3.13. Meanwhile,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t was analyzed using jamovi Advanced Mediation Models (jAMM) version 1.0.5.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infant parents had an effect on grit. Second, the grit of the parents of infants had an effect on their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life. Third, the grit of infant parent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lif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se two variables in order to increase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by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infant parents,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life, and gri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31-50
    * DOI : http://dx.doi.org/10.37918/kce.2023.1.138.3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모의 과보호가 유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모의 과보호와 유아 놀이성 관계에서 유아 그릿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만 4, 5세 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18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 먼저, 모의 과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그릿과 놀이성 수준이 낮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아의 그릿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놀이성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의 과보호와 유아 놀이성 간 관계에서 유아 그릿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어, 조절변인 유아 그릿은 모의 과보호가 유아 놀이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buffering effect)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모의 과보호가 유아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아 그릿의 조절효과를 규명한 것으로, 유아 그릿은 모의 과보호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유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그릿 및 놀이성과 관련된 부모 교육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grit between the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e 240 parents in J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of 218 participants was finally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correlation analysis among measure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grit.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playfulness and grit in young children. Second, the young children’s grit played a role as moderator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is study is important since it exploratively identified that there was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also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re was moderating effect of grit in young children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arent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77-98
    * DOI : http://dx.doi.org/10.37918/kce.2023.1.138.77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성인지감수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인지감수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25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6.0 & AMOS 26.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매우 낮은 수준, 자아존중감, 성인지감수성은 높은 수준을 보였고, 성역할 고정관념과 자아존중감이 성인지감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지감수성 함양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성인지감수성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사회에서 교직생활을 해야 하는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감수성 향상을 위한 방안마련에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self-esteem, and gender sensi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 sensi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2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s. For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 AMOS 26.0.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role stereotypes and self-estee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gender sensitiv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effect of the gender role stereotyp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gender sensitivit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improve gender sensi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to work as early as possible in a society where gender sensitivit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social issu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51-75
    * DOI : http://dx.doi.org/10.37918/kce.2023.1.138.5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기의 또래상호작용의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아동 패널’ 5차(5세), 6차(6세), 7차(7세) 및 8차(초등학교 1학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5세(만3세)에서 초등학교 1학년까지 2,150명을 FIML의 결측처리한 자료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또래 상호작용은 5차에서 6차까지 감소, 7차는 유지하는 형태를 보였다. 둘째, 유아기의 종단적 또래상호작용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유아기 또래상호작용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상호작용이 높은 유아는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학교적응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기 또래상호작용의 변화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를 살펴본 결과, 5세(만3세), 6세(만4세), 7세(만5세) 시기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같은 시기의 유아기 또래상호작용에 동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세(만4세) 시기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7세(만5세) 시기 부의 양육스트레스는 같은 시기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부적영향을 미치며 동시효과를 나타내 보였다. 즉, 6세(만4세) 시기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높고 7세(만5세) 시기 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면 그 시기의 유아 또래상호작용은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지연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시기 긍정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유아기 또래상호작용능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기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 함양을 위한 교사의 교수효능감 향상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완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patterns and predictive factors of peer interaction in children’s early childhood, this study used the 5th (5 years old), 6th (6 years old), 7th (7 years old) and 8th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data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care and Education'. For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data from 2,150 children aged 5 to the fir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missing data processing using FIML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eer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decreased when they were 5 to 6 years old but it was maintained when they were 7 years old. Second, the longitudinal peer interaction in children’s early childhood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In addition, the children’s peer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chool adaptatio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other words, this indicates that children with high peer interaction are more likely to adapt to their schools well than other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pattern of children’s peer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multaneous effect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when they were 3, 4, and 5 years old.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fathers when their children were 4 years old and five years old, respectivel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peer interaction, showing simultaneous effects. This indicates that whe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fathers is high when their children are 4 years and 5 years old, respectively, the peer interaction of their children is lower than that of other children. However, the delay effect was not foun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peer interaction ability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for positive school adaptatio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alleviat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fathers is also considered necessary to promote positive peer interactions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9
    * DOI : http://dx.doi.org/10.37918/kce.2023.1.138.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목표 지향성, 우울의 매개역할에 초점을 두고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와 대학생 자녀의 삶의 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의 중1패널 7차년도 자료에서 1,139개의 대학생 사례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및 기술통계, 상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과잉간섭은 대학생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자녀의 자아정체감, 삶의 목표 지향성,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삶의 목표 지향성은 부모의 과잉간섭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 부모의 과잉간섭은 자아정체감과 삶의 목표 지향성을 차례로 경유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그뿐만 아니라, 부모의 과잉간섭은 자아정체감과 우울을 차례로 경유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끝으로, 부모의 과잉간섭은 대학생 자녀의 자아정체감을 통해 삶의 목표 지향성에 영향을 미쳤고, 차례로 우울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대학생 자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함의,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PI)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L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go identity (EI), life goal pursuit (LG), and depression. A total of 1,139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7th wave of middle school 1st year data of KCYPS 2010 was analyz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Moreover,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employ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rect effect of PI on L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total indirect effect of PI on LS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L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I and LS. Moreover, the indirect effect of PI on LS via the sequence of EI and LG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of PI on LS via the sequence of EI and depression was also significant. Lastly, the indirect effect of PI on LS via the sequence of EI, LG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This study explored the mechanism of how PI influences LS; and based on abov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by emphasizing some of the study's implications for practic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of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63-96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3.01.73.6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이 대학생 시기의 직업결정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 중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KCYPS 2010)을 활용하여 총 1,348명(여학생 719명, 남학생 629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은 대학생 시기의 전공만족도와 직업결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등학생 시기에 진로정체감 수준이 대학생 시기의 직업결정과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 시기의 전공만족도는 직업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공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직업결정 수준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이 대학생 시기의 직업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는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은 대학생 시기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직업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진로정체감 형성의 중요성과 직업결정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For teenagers, playing computer games is a significant daily cultural activity. They are a suitable medium and format for young people who enjoy experiencing new cultures, and can be an excellent learning material and subject for them. Therefore, computer games should be systematically studied as a cultural art form for future generations. Additionally, research on various and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using computer games is continuously needed. This paper focuses on the trilogy of game series Unfolded , which is an ‘indie game’ and a ‘serious game’, and explores the use of computer games in convergent literaturary education for teenagers and its potential. In convergent literary education, such as literature and history education, human rights and peace education, the goal is to develop useful methods to apply the finding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game text. It presents a systematic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of this game text,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computer games for literarary education can expand the scope of texts, provide new understanding, and increase its educational use.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1-36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3.01.73.1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이 대학생 시기의 직업결정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 중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KCYPS 2010)을 활용하여 총 1,348명(여학생 719명, 남학생 629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은 대학생 시기의 전공만족도와 직업결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등학생 시기에 진로정체감 수준이 대학생 시기의 직업결정과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 시기의 전공만족도는 직업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공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직업결정 수준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이 대학생 시기의 직업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는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은 대학생 시기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직업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진로정체감 형성의 중요성과 직업결정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during high school period on job decision and satisfaction of major, and to inspect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f major among these variables. To this end, data of a total of 1,348 (719 female students and 629 mal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ly influences the satisfaction of major and job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career identity during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job decisions and satisfaction of major during college students. Second, it proved that satisfaction in major in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decision,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the higher the level of job decision. Third, it appeared that satisfaction of major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high school students on job decisions in college student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creased the satisfaction in major of college student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through this. Focusing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ortance of forming career identity and a plan for career decision were propos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37-62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3.01.73.37
    * UCI : 서지정보 닫기


  • Extant research in Western countries have indicated that children's well-being may be influenced by children's own resilience, parent?child attachment, and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Yet,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in Malaysia on how these factors may influence well-being among children in middle childhood. The aim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self-efficacy―a resilience factor―and well-being,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attachment style. The study used a quantitative, cross-sectional survey method. Participants were 955 Malay-Malaysian children aged 11 years from intact families.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on demographic background, self-efficacy, well-being, parental harmony and conflict, and parent?child attachment style.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i) parental harmony was a significant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well-being; (ii) parental conflict was not a significant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well-being; and (iii) parent?child attachment style was a significant moder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well-being.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within the frameworks of optimal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These findings may also inform policies such as Malaysia'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3 (SDG 3) and National Family Polic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2-63
    * DOI : http://dx.doi.org/10.1111/aswp.1227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여성폭력 피해자지원시설 평가관련 문헌 및 피해자지원시설 종사자와 전문가 경험을 토대로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시설에 대한 평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연구를 위해 피해자지원시설 종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18일부터 9월 1 일까지 진행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점 그룹 인터뷰는 여성폭력 관련시설 7개 시설 유형의 현장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17차례 비대면 방식(zoom)을 통해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평가목적과 방향이 여성폭력 기관의 정체성에 부합하게 개선될필요가 있다. 또한, 여성폭력 피해자지원을 위한 전문성 및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는평가의 목적과 방향성이 서비스 전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평가가 서비스와 피해자지원의 전문성 향상 및 기관의 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평가체계가 제도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여성피해자지원기관 평가 방향성을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valuation of facilities for supporting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Based on the analysis, we intend to seek the evaluation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support facilities for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For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20 for workers in institutions supporting victim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17 times for field workers at seven types of facilities supporting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In addition, field and research expert meetings were held twice, and opinions from two experts from research and related organizations were receiv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evaluation need to be improved to suit the identity of the organization supporting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service to support victims of gender-based violence was confirm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evaluation need to lead to institutional capacity building. Finally, specific alternativ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evaluation direc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27-25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와 페미니스트 정치학 연구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며 젠더 관점에서제도에 대한 광범위한 분석을 시도하는 ‘페미니스트 제도주의(Feminist Institutionalism)’ 에 주목하고 복지제도, 복지정책 그리고 복지정치를 아우르는 복지국가 연구에서 해당 이론의 이론적, 방법론적 유용성을 논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젠더레짐 복지국가 유형화 연구의 기여와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 페미니스트 제도주의를 신제도주의의 하위 분파와 비교하며 설명한다. 다음으로, 페미니스트 제도주의가 주요하게 제시하는 개념들과 분석틀을 정리하고, 복지국가 연구에서 페미니스트 제도주의가 적용되는 방식들을 구체적인 연구 사례들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제도변화 분석, 2) 비공식 제도 분석, 3) 행위자(성), 아이디어, 담론 분석에서 페미니스트 제도주의가 제시하는 개념들과 분석틀이 복지국가 연구에 가지는 의의와 적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성평등한 복지국가라는 미완의 과제 달성을 위한 후속연구와 실질적 전략수립에 있어 페미니스트 제도주의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적극적인 활용을 주장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feminist institutionalism”, which combines neo-institutionalism and feminist political research to extensively analyze the system from a gender perspective, in the field of welfare state and social policy research. The study begins by reviewing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welfare state typology research using gender regimes and comparing it with “feminist institutionalism” as a research method to supplement existing research. The study then summarizes the concepts and analytical frameworks presented by feminist institutionalism, and provides examples of welfare state research that has applied feminist institutionalism. The study confirms the significance and applicability of the conceptual and analytical tools presented by feminist institutionalism, particularly in institutional change analysis, informal institutional analysis, and actor, idea, and discours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feminist institutionalism has the potential to further academic development and serve as a practical strategy towards achieving a gender-equal welfare state, which is an unfinished task.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97-12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보호전문기관 실무자가 인식하는 사례관리 실천의 중요도와 수행도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 내용을 토대로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수행하는 아동학대 사례관리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아동보호전문기관 실무자 5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사례관리 단계별 수행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행 정도를 파악하고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t-test와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단계별 실천항목들이 4개 분면에 고루 분포하였고, 아동학대 사례관리 활동에서 중요도는 높게 인식되나 수행도가 낮아 향후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다양하게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초기면접에서 가정방문 거부 시 대응, 사정단계에서 피해아동 행위자 특성과 욕구 파악, 계획수립 단계에서 질환 등 만성적 문제가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에서 부모 양육기술과 가족관계 개선 서비스 제공 부분이 해당되었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사례관리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향과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case management practices perceived by child protection specialists,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ing child abuse case management performed by child protection specialists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a survey was conducted on 545 child protection specialists nationwide. Through the survey, perceptions and levels of execution for case management activities in each stage were examined and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actice items for each stage were evenly distributed in four quadrants, and although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in managing child abuse cases was perceived to be high, various areas requiring improvement were also identified where performance was low. Specifically, these areas included how to respond when a home visit is refused during the initial interview,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the perpetrator of child abuse during the investigation stage, addressing chronic issues such as illness during the planning stage, and providing services such as parenting skills and family relationship improvement during service delive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olicy support directions and practical solutions for enhancing case management professionalism were propo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131-156
    * DOI : http://dx.doi.org/10.22944/kswa.2023.25.1.00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제도를 역사적 산물로 상정하는 역사적 제도주의 이론을 토대로 자활제도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자활제도 변화 과정에서 행위 주체들을 풍부하게 해석하지 못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토대로 자활사업이 제도화된 이후 제도 내부의 구성요소및 행위자들의 상호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자활사업의 제도화 이후시기는 제도화기(2000년 10월~2005년), 제도확대기(2006~2012년), 제도변화모색기(2013~2017년), 제도다각화기(2018~2021년)로 구분하였다. 각 시기마다 자활사업은수행체계, 내용, 참여 주체 등의 측면에서 확장의 경로를 보였다. 그러나 자활제도를 둘러싼 외부적 환경은 자활사업에 비판적이었고 오히려 경쟁적인 제도를 구축함으로써 기존 제도에 위기를 유발하기도 하고 이에 대응으로 끊임없는 변화를 시도해왔다. 이 과정에서 자활사업 제도 내부의 행위자 사이에 이견이 발생하면서 주체 간 다양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측과 제도의 일원화된 방향성을 나아가기 위해 집합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측사이에서 혼란으로 인한 유보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처 간 칸막이로 인한권력 강화의 완화, 근로빈곤층 당사자 중심으로의 제도 전환, 생산적 복지 중심의 근로연계복지제도에서 공동체 중심의 자활제도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self-suffciency institutions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ory, which sees institutions as historical products. Previous studies were unable to adequately understand the 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chang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interactions between system and actors aft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s. As a result, the period after institutionaliza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 was divided into institutionalization period (October 2000-2005), institutional expansion period (2006-2012), institutional change search period (2013-2017), and institutional diversification period (2018-2021). In terms of structure, content, and participants, the self-sufficiency program showed a path of expansion since 2000s. However, the self-sufficiency program's external environment was critical of it, and by creating a competitive system, it actually made a crisis in the pre-existing system and forced ongoing reform as a result. There are disagreements in this process between a variety of subjects within the self-sufficiency program, and there is hesitancy because of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side that needs to reflect the diversity of the actors and the side that needs to demonstrate aggregation to advance the system's unified direction. Through this, this study suggested easing power caused by ministry division, switching to a system focused on the working poor, and changing the paradigm of a labor-linked welfare system centered on productive welfare to that of a community-centered self-sufficiency program.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79-22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생태적 전환이라는 거대한 담론 안에서 공유부 배당으로서 기본소득을 주장하는 것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이를 위해 이미 생태적 삶을 살아가고있는 청년활동가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생태적 전환과 기본소득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기본소득이 생태적 삶과 만나는 지점은 공생공락의 자율성을 확장시키고, 자급의 삶을 지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의 개념을 경제적 가치에서 생태· 사회적 가치로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에 있었다. 동시에 소비사회를 부추길 수 있다는 염려도 존재했다. 둘째, 대부분 공유부 철학에 대해 긍정하였지만, 고갈가능한 자연적 공유지를 개발하여 상품화한 배당 모델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생태적 한계의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탈성장의 관점에서 공유부 배당 기본소득론을 옹호했다. 본 연구는 공유부 배당 기본소득론의 주장이 ‘공유’의 가치를 소환하기 때문에 생태적이지만 공유에 대한 성찰 없이 ‘배당’에 치우치는 순간 생태적 가치를 놓칠 수 있다는점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meaning of insisting on basic income as commons wealth dividends within the discourse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For the analys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youth activists who are already living an ecological lif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transformation and basic income, where basic income come across ecological life were expectations of expanding the autonomy of symbiosis, the concept of work from economic value to ecological and social ones, and sustaining self-sufficient life. At the same time, concerns were raised about the potential for basic income to stimulate a consumer society. Second, although participants endorsed the desirability of common wealth dividends, they opposed the natural commons dividends that would destroy and commercialize natural resources. Within the degrowth perspective that setting ecological limits is indispensable within a finite planet, the basic income supported. Through this study, it shed light on that the basic income as common wealth dividends can be ecological because it would summon the value of ‘commoning’, but its ecological value can be dismissed when it leans toward ‘dividends’ without reflecting on the value of sharing.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57-9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이 지역발전에 미치는지 그 영향을 살펴보고, 각 특성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지역발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효과성 연구>의 서울시 사회적기업 전수조사 자료 177부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이어서 부트스트래핑, 집단간 등가제약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적기업가 정신이 높게 함양될수록 사회적기업 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정지원을 많이할수록 사회적기업 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성과가 향상될수록 지역사회가 발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사회적기업가 정신은 사회적?경제적 성과 창출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역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재정지원은 지역발전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기업 성과를 매개로 할 때는 지역발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를 통한 간접적 지역발전 도모, 정부와 민간의 재정지원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기업 성과 확산, 사회적기업가 정신 함양 교육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on regional development and explores multiple pathways through which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regional development. To this e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77 social enterprises in Seoul as part of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in Seoul.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higher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Second, a higher level of financial support led to better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ird, the better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significantly strengthened regional development. Fourth,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development indirectly by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Fifth, financial support had a negative impact on regional development, but it showed a positive impact when it was mediated by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promotion of regional development by increasing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providing more financial support to improve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and expanding training and education for social entrepreneu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97-130
    * DOI : http://dx.doi.org/10.22944/kswa.2023.25.1.004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단위 통합돌봄 사업의 경험과 성과를 분석하여 향후 커뮤니티케어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기획사업인 ‘마을단위 통합돌봄사업’에 참여한 13개 기관의 사업보고서, 성과관리대장, 초점집단인터뷰(FGI) 결과자료 등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컨소시엄 구성, 네트워크 활성화, 네트워크를 통한 협력사업이 활성화되었는데, 거점기관의 유형에 따라 연계 범위와 활성화 정도가 달랐다. 거점기관과 유사한 성격의 기관들끼리 연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사업 초기에는 성격이 다른 기관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연계과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회복지서비스기관은 서비스 효과성이 가장 높았고, 사회복지협의회/협의체는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폭과 양이 가장 뛰어났으며, 사회적경제조직/시민단체는 연계기관의 지속적 참여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을범위는 행정구역, 이용자 거주지역(활동 반경), 기관의 서비스 제공범위로 차이가 있었다. 자원연계과정에서 농촌지역은 자원부족과 의료서비스 자원연계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이용자들의 일상생활수행성 향상뿐 아니라 심리, 정서, 사회적 안정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o improve community care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and performances of integrated care in “maeul”(community). To achieve this purpos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13 organization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care in Maeul’ funded by Community Chest of Korea were analyzed, including operation reports, performances reports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activated consortium, networks and cooperative activities. However, the scope and activation levels of networks varied across the different types of stronghold groups. They built stronger collaboration with organization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had difficulties collaborating in the early stage because they had little understanding of other groups. Social service providers provided more effective services, while the associations of social services/community social security committees were excellent in linking useful and broad resources. Social economy organizations/civil groups showed more active participation. Second, the scope of ‘maeul’ which received integrated care services differed by administrative districts, service users’ residential areas (living radius), or the scope of service providers. People in rural areas experienced a lack of resources and a weak linkage with medical services during the resources linking processes. Lastly, the performance of integrated care services showed positive changes in improv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well as all other outcomes such a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well-be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29-66
    * DOI : http://dx.doi.org/10.22944/kswa.2023.25.1.002
    * UCI : 서지정보 닫기
  • 최근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사업장에서 같이 일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타인과 떨어져 혼자 일하는 독립노동이 확산되고 있다. 개인화와 신자유주의,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라는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청년의 노동이 개별화되고 있는 것이다. 직장을 중심으로 하는 조직노동이 1인 노동으로 파편화되는 배경에는, 노동세계에서 개인의 취미와 선호, 자율성을 중시하는 청년세대의 개인화된 특성도 존재한다. 그러나 청년 또한 사회적 존재로서 자신의 개별성과 고유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타인과 관계하길 원함에도, 청년의 개인주의나 이기주의를 부각하는 담론에 비해 청년의 관계지향성은 상대적으로 잘 조명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청년 독립노동자 25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혼자 일하는 청년들이 소속감이나 조직정체성을 갖기 어려워진 작금의 현실에서 타인과 어떻게 연결되고 연대하길 원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청년 독립노동자들은 혼자 일하면서도 ‘우리’를 지향하는 관계지향적 욕구들이 있었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거나 함께 일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을 추구하는 현상이 포착되었다. 이 연구는 개인화된 청년세대의 연결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청년의 관계지향성에 주목하여 이들의 실질적 욕구에 기반한 사회정책이 고안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Recently, the phenomenon of working alone has been spreading among young people. They leave or do not choose office work and select independent work, staying separated from other workers. Individualization, neoliberalism,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re driving forces behind this phenomenon. However, as social beings, young people also have a basic need to unite with others. But, existing studies on young adult workers have shed more light on their individualism or selfishness. Therefore,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25 young independent workers, this study examines how young workers want to be connected with other people. These days, it is difficult for the young independent workers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or organizational identity. This study found that young independent workers also have relationship-oriented needs and try to create connections with other people. Addressing the relationship orientation of young people, this study suggests forming more relational support and participatory policies for young adults, based on their practical needs for human relationship and solidarity.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7-5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글은 2020년 연금계좌 세액공제 적격 납입액 연간 한도를 연 4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200만 원 추가한 조치가 연금저축 연간 납입액에 미친 효과를 재정패널조사 제13~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한다. 연금저축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조치가 50세 이상 납세자에 국한된 사실에 착안하여 이중차분 추정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2020년 연금계좌 세액공제 적격납입액 한도 인상이 연금저축 납입액을 증가시켰다는 분명한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추정치는 세액공제 적격납입액 한도가 200만 원 늘어날 때, 소득이 있고 연금저축 납입 이력이 있는 집단에서 연금저축 연납입액을 평균 약 10~14만 원 증가시켰음을 시사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그림 분석은 이 추정치의 크기가 연금계좌 보유자들 가운데 일부 개인들의 강한 반응에 의해 좌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금계좌를 보유한 개인들이 전체 노동 인구의 약 17%에 불과하며 고소득층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이들 가운데 소수만이 추가 한도에 반응한다는 점 등은 세제지원 적격 납입액 한도 인상을 통해 사적연금 납입액을 증대시키고자 했던 그간의 정책은 수혜 대상이 지나치게 협소할 뿐 아니라 그 귀착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evaluate the effect of the “catch-up limits” introduced in 2020 for the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s (IRA) and DC plans on the amount of retirement savings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in South Korea. Exploiting the provision where the annual catch-up limit of two million won applies for those aged 50 or more, we employ a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with those aged 49 or less a control group. We find that the catch-up limit of 2 million won increases annual contributions to IRA by 10 to 14 thousand won, but the estimated effec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ack of statistical power arises from the fact that only a subset of the working population contribute to private pension accounts in South Korea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estimated effect may be driven by a few observations as is indicated in a graphic 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policy aiming to raise contributions among existing IRAs may be too limited in its scope and undesirable in its incide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43-6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article unveils the voice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 Universiti Sains Malaysia by exploring their belongingness and community well-being in Malaysia.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4 international students (seven males and seven females) studying at the Universiti Sains Malaysia for at least a year. A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using in-depth case interview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challenges they experienced while studying abroad. The specific challenges reported among the international students are their well-being in distinct aspects such a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international students' reliability on conational communities for social support. When achieving belongingness with their conational friends, international students can flourish well in their current community in Malaysia, thus achieving social community well-being although they are far away. Besides maintaining established close friendships, the international students develop a sense of comfort and familiarity by forming new friendships with conational and other international students. Sharing similar backgrounds and nationalities, as well as experiences and struggles, are significa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maintaining close friendships and situational harmony. This study highlighted the meaning behind physical and emotional distance, as well as the situation of “being temporarily abroad” and its relations to intimacy practices and belongingness in close friendships.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article contribute to an increasing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tudents' challenges and the future of social harmony and community well-being while temporarily living in Malaysia. Correspondingly,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will be more deferential of cultural differences and cross-cultural sensitivity, which will also help to decreas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4-74
    * DOI : http://dx.doi.org/10.1111/aswp.12274
    * UCI : 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