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발행년도별 검색

발행년도별 검색

[년-2024]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592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에서는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화용언어능력의 관계에서 ADHD 증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유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2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 ADHD 증상 및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 분석에서 먼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 화용언어능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유아일수록 화용언어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ADHD 증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유아일수록 높은 수준의 ADHD 증상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ADHD 증상과 화용언어능력 간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ADHD 증상이 높은 유아일수록 화용언어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화용언어능력 간 관계에서 ADHD 증상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ADHD 증상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화용언어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탐색적으로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유아의 ADHD 증상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언어발달의 중요한 시기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 그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DHD symptoms betwee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young children. The 250 parents in J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of 225 participants was finally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correlation analysis among measure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DHD symptoms in young children.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ADHD symptoms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young children. Second, the ADHD symptoms played a role as mediator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exploratively confirmed that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young children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demonstrated the involvement of ADHD symptoms in this process. It is valuable in targeting young children, who are at a crucial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al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young children's smartphone usag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1-22
    * DOI : http://dx.doi.org/10.37918/kce.2024.1.144.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소통이 폭증하였던 네 시기의 계기적 사건들에 대한 언론 보도들을 자기준거적 체계이론에 기초한 담론 분석 전략에 따라 분석하였다. 1997년은 학교폭력 사건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논의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2005년은 ‘일진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교폭력 양상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다. 2011-2012년에는 학교폭력 토론체계가 형성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이 물리적 폭력으로 집중화되어 소통될 수 있는 조건이 학폭위를 중심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토론체계의 작동은 2021년의 폭로 사건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토론체계는 다양한 양상에 대한 소통을 물리적 폭력으로 집중화하는 방식으로 법적 방식 이외의 학교폭력 해결책에 대한 소통을 제한한다. 이러한 소통 제한은 교육체계의 문제 해결 능력을 상실시키고 법적 처리에 대한 의문 제기를 어렵게 한다. 다양한 양상에의 대응과 새로운 문제 해결 가능성 모색을 위해서는 이러한 토론체계를 넘어선 관찰이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는 그러한 가능성 모색의 단초가 된다.

    This study analyzed media reports on motive events in the four periods when communication on school violence exploded in Korean society according to discursive analysis strategies based on self-referential system theory. 1997 is the time when school violence cases emerge as a social issue and discussions begin. In 2005, discussions on various aspects of school violence held around the Iljin. In 2011-2012, school violence discussion system was formed, and conditions for various and complex aspects to be centralized and communicated with physical violence were established around the school violence committee. The operation of this discussion system is more prominent in the disclosure events of 2021. The discussion system limitates communication on school violence solutions other than legal methods in a way that concentrates communication on various aspects into physical violence. These communication limitations lose the education system's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make it difficult to raise questions about legal process. In order to respond to various aspects and find new problem-solving possibilities, observations beyond this discussion system must be counducted, and this study is the starting point for exploring such possibilitie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39-170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4.01.77.139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방임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학업형·비학업형 집단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해 공교육 과정을 중단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 59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로부터의 학대는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방임은 우울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임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였고 우울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방임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둘째, 학업형·비학업형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형은 방임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로만, 비학업형은 학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방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방임과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개입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는 몇 가지의 논의와 생활유형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방임의 개념적 구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neglect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out-of school adolescents. Additionally, it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and non-academic groups in terms of the pathways leadi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out-of school adolescents, with the objective of providing foundational data and seeking specific intervention plans for understanding out-of school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in various contexts. For this study, a total of 595 individuals were surveyed as panel data for the second year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indicate that parental abus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out-of school adolescents. However, neglect does affect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ts influence on depression. In the multi-group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ly non-academic group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while only academic groups exhibi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smartphone addiction. Moreover, when examining the path coefficient by group, it was observed that both groups display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depression, as well as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concep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was emphasized.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cusing on neglect and depression,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tailored support measures based on individuals' lifestyles, were propos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71-207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4.01.77.17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문화예술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생생한 경험을 듣고 비대면 중심의 문화예술활동 프로그램의 성과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음악을 매개로 문화예술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SM엔터테인먼트의 스마일뮤직페스티벌(SMF)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청소년들의 성장 및 발달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SMF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진을 매개로 이들의 참여 경험을 탐색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범주와 8개의 하위 범주, 20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청소년들에게 SMF 프로그램이 주는 의미는 삶에서 주어지는 단 한 번의 소중한 기회, 지속되는 설레임과 도전 의식, 자신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성장, 꿈의 발견과 확장을 가능하게 해 준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청소년들은 SMF 프로그램을 통해 진로에 대한 확신, 팀워크 증진, 내외적 성장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과정에서 서포터즈의 지지와 전문적인 코칭이 청소년들의 음악적 및 인간적 성장과 발달에 직접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중심의 프로그램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비대면 중심의 청소년 문화예술활동 프로그램의 질적 발전을 위한 의견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utcome of participants in the youth arts and culture online program. We mainly focused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SM Entertainment's Smile Music Festival. We used the photovoice method, and six youths particip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youth's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was categorized into three overarching categories, eight subcategories, and twenty themes. The meaning of the program for adolescents was recognized as a precious opportunity given in life, a sense of excitement and challenge, discovery and growth of oneself, and an experience that enabled the discovery and expansion of dreams. Adolescents experienced career confidence, teamwork promo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growth changes through the SMF program. Throughout the program, it was evident that the support and professional coaching from instructors and supporter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musical and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Lastly,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programs were pointed out, and ways to overcome them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youth programs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y.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5-51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4.01.77.1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창의과학재단에서 주관한 2022년 동계 디지털새싹 캠프의 SW·AI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효과를 개념도 방법론을 적용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 효과 차이를 고려하여 학교급을 구분하여 모집하였으며, 그 결과 중학생 23명, 고등학생 1-2학년 16명, 예비대학생 2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학생들이 인식한 주요 효과는 ‘협업활동의 경험’, ‘신기술에 대한 이해 및 새로운 적용 가능성의 발견’, ‘도전 경험을 통한 성취감’, ‘SW·AI 관심의 심화’ , ‘체험을 통한 SW·AI 원리의 이해’였으며,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은 ‘SW·AI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만족’,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긍정적 자기평가 향상’, ‘진로 탐색’, ‘흥미 및 성취감’, ‘SW·AI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및 친근감’, ‘지식의 확장과 적용에 대한 의지’를 주요 효과로 인식하였다. 예비대학생(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경우, ‘SW·AI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만족’, ‘예비 대학생활 적응’, ‘SW·AI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향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성취 경험을 통한 관심의 심화’를 효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SW·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다양한 영역에 걸쳐 나타나며, 특히 발달단계에 따라 공통적인 효과와 특수한 효과가 공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perceived by tee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SW·AI education programs of the 2022 Winter ‘Digital Saessak Camp’ host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by using a concept-mapping approa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s a result, 23 junior high school students, 16 1st- and 2nd-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21 pre-college students (3rd-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dmitted to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current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jor outcomes reported b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experience of collaborative activities,’‘understanding of new technologies and discovering new applications,’‘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challenging experiences,’‘deepening of interest in SW·AI,’ and‘understanding of SW·AI principles through experience’ while high school freshmen and sophomores perceived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SW·AI education program,’‘learning through interaction,’‘enhanced positive self-evaluation,’‘career exploration,’‘interest and achievement,’‘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the SW·AI education program,’ and ‘willingness to expand and apply knowledge’ as important outcomes. Pre-college students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SW·AI training program,’ ‘adjustment to pre-college life,’‘improvement in knowledge and skills in the SW·AI program,’‘ learning through interaction,’and‘deepening of interest through achievement experiences’as significant o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W and AI education programs are effective across a wide range of domains, and common and special effects coexist across the developmental stage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209-242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4.01.77.209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코로나19 비상사태 종료 후에도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마스크 쓰기 행동 지속 현상을 이유별 하위유형으로 나눈 후, 그 심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3년 6월부터 최근 한 달간 마스크를 쓰는 것이 강제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마스크를 쓴 경험이 있는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남녀 300명이다. 분석 결과 첫째, 마스크 쓰기를 지속하는 이유와 예상 하위유형의 비교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공적자의식, 신체상, 건강신념모델의 지각된 민감성과 심각성, 정서행동특성의 기분과 자기통제부진의 8개 심리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해당 심리적 특성에 따른 잠재집단은 ‘자신감형’, ‘자기지향형’, ‘평범형’, ‘타인지향형’, ‘불안정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얼굴을 가리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청소년들은 불안정형과 자기지향형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사회적 불안, 또래동조, 사회적 낙인, 불안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마스크 착용이 건강 이외에도 다양한 문화적·심리적 이유와 연관됨을 알 수 있었고, 얼굴을 가리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청소년 중 정서적·사회적 부적응 양상을 보이는 집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새롭게 형성된 청소년 문화 현상 중 하나로서 마스크 쓰기 행동을 고찰하고, 최근 청소년들의 문화적 현상에 심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tivations underlying mask-wearing among adolescents who continued this behavior after the conclusion of the May 2023 COVID-19 emergency. Methods: A sample of 300 students spanning grades 8 to 12, who voluntarily maintained mask usage for one month post-mandat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encompassing motives for wearing masks, perceived COVID-19 stress, health belief model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image, emotional-behavioral characteristics, peer conformity, social stigm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alytical procedures encompassed demographic assessments, t-tests, latent profile analysis, chi-square tests, and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Significant distinctions emerged concerning motivations for mask-wearing, encompassing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ublic awareness, appearance orientation, self-perceived appearance, perceived health belief model sensitivity and severity, and emotional-behavioral traits. Latent profile analysis classified participants into five categories: confident, other-oriented, normal, self-oriented, and unst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played no variance, yet disparities materialized in mask-wearing patterns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The confident and normal types exhibited adaptability, while the self-oriented and unstable types manifested psychological challenges. Discu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olescent mask-wearing transcends health considerations, driven by a complex interplay of cul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Masks may serve as a coping mechanism for psychological distress, marking mask-wearing as a burgeoning youth cultural phenomenon with far-reaching implications for youth psycholog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53-79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4.01.77.5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멘토링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자기성찰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3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과목을 수강한 31명의 예비유아교사 멘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반성적 자기성찰지를 진행하였고 여기서 회수된 자료는 SPSS 21.0(ver.)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종속 하위변인별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고,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반성적 자기성찰지인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멘토링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현직 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멘토링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성찰지능 증진에 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entoring by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on their teaching efficacy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o achieve this, a survey and reflective self-assessment were conducted with 3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a language instruction course from March 2 to June 21,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aired sample t-test in SPSS 21.0 (ver.) to assess the effects by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qualitative data in the form of reflective self-assessment was analyzed to support the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entoring by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ly, mentoring by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3-43
    * DOI : http://dx.doi.org/10.37918/kce.2024.1.144.2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의 공동체의식, 임파워먼트 및 기관의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45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로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그리고 AMOS 26.0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적 연구모형의 변수 간 구조적 관계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관의 조직효과성에는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 공동체의식, 임파워먼트가 모두 직접적 영향요인이며, 유아교사 공동체의식이 임파원먼트에 영향을 미치고,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교사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의 부분매개효과가 각각 나타났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대표성 있는 표집으로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아울러 본 연구에서 규명된 조직효과성 영향 요인 외 다른 요인을 활용한 연구 설계로 조직효과성 관련 변인의 연구가 좀 더 심화되기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community,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5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 for reliability analysis, a frequency analysis, and with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22.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using AMOS 26.0 were also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hypothetical research mode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are all direct facto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ir institutes, with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ffecting s empowerment and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influencing 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were also found shown, respectively. In follow-up research, we hope to use conduct research with a more representative sample, and we also hope that research on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more in-depth comprehensive, with a research design that utilizes factors other than those influe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identified in this stud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45-78
    * DOI : http://dx.doi.org/10.37918/kce.2024.1.144.4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정서조절곤란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서조절곤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고통 감내력, 정서조절곤란, 사회불안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고,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사회불안 준임상집단에 해당하는 대학생 4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고통 감내력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곤란이 고통 감내력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고통 감내력을 통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66 subclinical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ocial Anxiety Interaction Anxiety Scale-6 (SIAS-6), Social Phobia Scale-6 (SPS-6),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 Report (PCS-YSR), Distress Tolerance Scale (DTS), and the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K-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stress tolerance, social anxiety, and emotion dysregulation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ly, the mediation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was established. Thirdly, the moderation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ocial anxiety was evident. Lastly, emotion dysregulation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through distress tolerance.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81-109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4.01.77.8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수준 변수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집단수준 변수인 학교 관련 요인이 유해매체 접촉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7년 청소년보호 및 복지서비스 이용에 관한 조사의 1,847명의 청소년과 75개 학교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모형 분석 결과,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이 학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조건모형 분석 결과, 개인수준 변수인 성별, 연령, 부모의 자녀 존중이 유해매체 접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에 비해 남성이 유해매체에 많이 접촉하는 반면, 부모가 자녀를 존중할수록 유해매체 접촉이 감소하였다. 집단수준 변수인 문제행동에 대한 친구들의 제어가 많을수록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 감소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We analyzed the effects of adolescents' individual-level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roup-level variables (school-related factors) on exposure to harmful media using a multilevel model. We used 1,847 adolescents and 75 schools from the 2017 Youth Protection and Welfare Service Use Survey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null model analysis,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media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ol. As a result of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parental respect for children affect exposure to harmful media. Compared to females, males had more exposure to harmful media. However, exposure to harmful media decreased as parents respected their children. As peers’ control over problem behavior, which is a group-level variable, increased,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media de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policy and practical support measures to reduce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media.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11-137
    *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24.01.77.111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community space experiences and social networks affect media-based cultural activities among older men, using the data from a sample of 989 older men from the 2022 Na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Surve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lder men with community space experiences, especially community center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attend media-based cultural activities. Second, presence of a spouse, presence of children living together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But older men with a spouse were less likely to attend media-based culture and arts viewing on cinema. In terms of control variables, older men who were younger or economically inactive were more likely to attend media-based culture and arts viewing. It is found that older man who have used community centers or older adults welfare centers tend to engage in media-based cultural activities. Social relations formed through cultural space experiences play a facilitating role for the older m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31-5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한국 사회 내 결혼이주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와 그에 따른 불안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주제로 급부상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학문적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중에서도 심각한 수준의 노후 불안을 경험할 것으로 사료되는 중장년기 결혼이주여성의 노후 불안에 집중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의 노후 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제 5차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 중 40세-64세 중장년기 결혼이주여성 1,495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R 4.3.1 버전을 활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검토하였고, 이들의 노후 불안 및 우울 수준을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 간 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중장년기결혼이주여성의 노후 불안이 이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장년기 결혼이주여성의 노후 불안은 이들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중장년기 결혼이주여성의 노후 불안은 이들의 우울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기에,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number of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n society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leading to a growing social discussion on anxiety toward later life among the population. However, there is limited interest in this topic among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midlif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ater life anxiety on depression. Using data from 1,495 midlif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 examin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We conducted a descriptive analysis of main variables: anxiety toward later life and depression. Additionally, we explored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nd perform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influence of anxiety toward later life on depression among midlife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ult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anxiety toward later life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directions for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at could help alleviate anxiety about later life and depression among midlife female marriage immigrant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41-6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자기 돌봄은 스트레스와 소진과 같은 부정적 결과로의 진행을 예방하고 직무만족, 삶의 만족 등과 같은 긍정적 결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대인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의 자기 돌봄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사회복지사의 자기 돌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자기 돌봄, 직무스트레스, 소진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로 자기 돌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사회복 지사협회에서 2023년 시행된 ‘사회복지사 자기 돌봄(Self-care)에 관한 연구’의 데이터를 2차자료로 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총 912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돌봄과 소진, 직무스트레 스의 부(-)적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즉 자기 돌봄을 실천할수록 소진과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정(+)적 관계가 검증되었는데, 직무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소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분석결과, 자기 돌봄이 높을수록 소진은 낮아지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돌봄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무스 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돌봄의 실천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개인적 차원의 노력과 사회복지시설 차원의 다양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시적·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이 이들의 취업 상태(무직, 임시일용직, 상용 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22년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 및 주요 변수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종속변수 와 독립변수, 통제변수 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 의 가시적·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이 취업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가시적 소수자 특성은 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에 비해 취업을 하지 않은 상태와 취업을 한 상태(임시일용직, 상용직)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으나, 취업의 질(임시 일용직, 상용직)을 결정하는 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혼이 주여성의 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68-37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는 건강,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사람들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요인 별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판데믹 전후로 어떻게 변화했는 지 조사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의 서울서베이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의 행복감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소득수준, 신뢰, 계층이동 가능성, 노후준비 여부, 기부 여부 등을 제시하였다. 그 중 팬데믹 기간 동안 행복감 회복이 가장 필요한 집단이 30-40대 저소득층임을 확인하고 해당 집단을 돕기 위한 전략으로 중요한 요인이 계층이동 가능성임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판데믹 극복을 위한 핵심요인 파악을 통해 행복증진 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본 논문의 결과는 정책 수립과 관련한 실무자들 이 판데믹 이후 사람들의 행복감을 회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74-37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region's level of collective donation behavior. Most studies examining factors affecting donation behavior were conducted at the individual level. However, regional­level comparative studies enable a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donation behavior.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number of nonprofit fundraising organizations per unit population in each region was included to observe how much the activities of related organizations affect the regional donation rate and average donation amount. The number of fundraising organiza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onation rate of the region but had a limited positive effect on the average donation amount of donors. In addition, the regional economic level also significantly impacted the regional donation level.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poor households or maj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donation rate and the average donation amount, respective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11
    * DOI : http://dx.doi.org/10.1111/aswp.12295
    * UCI : 서지정보 닫기


  • As a significant social subject force, social work plays a unique role in the new pattern of community governance. Through continuous practice and exploration, it has accumulated particular practical experience and theoretical foundation with considerable application value, which provides good references and references for the study. This study is based on a review of published articles that reflect 10?years of research on social work participation in community governance. After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24 peer­reviewed articles were included. These were searched among papers published in different journals of Web of Science and Scopus databases on social work practices in community governance for the period of 2011?2021.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studies allows the researcher to get a more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state of research in the field, especially the research results and findings that have been made. In the process, literature gaps, challenges, impediments, and possibilitie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examined. In this context, a framework and insight for future researchers on social work engagement in community governance regarding content areas, theoretical models, outcomes, methodologies, and evaluation tools are provid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14
    * DOI : http://dx.doi.org/10.1111/aswp.12296
    * UCI : 서지정보 닫기


  • Implementing the child director policy is an innovation in China's child protection practice, and the work of child directors aims to provide care and protection services for vulnerable children in communities and villages. According to the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i.e., needs?supplies fit), this study evaluated the work effectiveness of child director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from environmental and personal perspectiv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upportive work environment (i.e., management, training, and supervision) and personal factors (i.e., professional competency and career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d the work effectiveness of child directors, and professional competency and career ident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ive work environment and the work effectiveness. The findings provided evidence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child director policy in the futu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12
    * DOI : http://dx.doi.org/10.1111/aswp.12302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late­life depressive symptoms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gender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n that trajectory. Data from 4943 older adults aged 60 and above from the China Health and Retirement Longitudinal Study (2011, 2013, 2015, and 2018)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LGCM) in Mplus. The results were (1) late­life depressive symptoms increased during the survey; (2) at the initiation level, depression was higher in women than men,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e; and (3) lower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significantly negatively affected the increase of depressive symptoms in old age at that time. The findings implicated that, first, it is essential to screen for depressive symptoms and prevent or slow the growth of depressive symptoms in geriatric services on time. Second, services to improve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do not simply work separately by gender. Finally, welfare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how to support older adul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to prevent or slow down the growth of depressive symptom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
    * DOI : http://dx.doi.org/10.1111/aswp.12300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paper explores anecdotes about and experiences of implicit and explicit acts of racism experienced by 16 Asian Americ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who narrate stories about incidents of race­based verbal, physical, or emotional violence.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detail hardships and experiences before COVID­19, at the onset of COVID­19, and most important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of the study build on the growing literature on the experiences of racism, othering, and invisibility among Asian communiti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apture the diversity of experiences of the Asian American communities and to identify interventions and practices that will best support their need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
    * DOI : http://dx.doi.org/10.1111/aswp.12293
    * UCI : 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